• 제목/요약/키워드: 식이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8초

정신건강의학과 직원 대상의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Psychiatric Staff)

  • 강범승;양혜정;홍민하;김현수;송후림;김영종;김우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12-18
    • /
    • 2017
  • 연구목적 정신건강의학과 직원들이 겪는 임상현장에서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소진의 심화, 업무 만족도 감소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근무 효율이 저하되거나 스스로의 정신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직원을 대상으로 한 그룹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이하 MBCT)의 업무 스트레스, 소진, 자기 효능감, 회복력, 업무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소속 직원 중 5개 직역 28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 동의 하에 그룹 MBCT를 시행하였다. MBCT 시행 전 후에 각각 업무 스트레스, 소진, 회복력, 자기 효능감, 업무 만족도를 자가보고식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룹 MBCT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 척도 별 MBCT 전 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 척도 별 그룹 MBCT 시행 전 후의 업무 스트레스, 소진 척도 점수는 MBCT 시행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회복력, 업무 만족도, 자기 효능감 척도 점수는 MBCT 시행 후에 시행 전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정신건강의학과 직원 대상의 그룹 MBCT가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줄이고, 회복력, 자기 효능감 및 업무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환경에서 직원들이 그룹 MBCT를 통하여 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직원들의 정신건강 증진은, 나아가 치료환경에 있는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 영향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Factors 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in Health Majors in Studying for TOEIC)

  • 홍수미;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15-32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일부 대학생의 토익학습에서 학업소진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보건계열 토익학습반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학생 2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4월 3일부터 4월 14일까지 기간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여학생이, 수면시간이 부적절할수록,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이 낮을수록,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이 높을수록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5%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적절히 수면하고,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유연성 및 학습몰입을 높이고 자기유능감, 취업스트레스 및 시험불안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토익학습의 학업소진을 낮추어 국제화 역량을 키우기 위한 영어 학습 능률을 높이는 데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이들 요인들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조절 및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 영향요인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factor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 문인오;정지나;서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407-416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J도 소재의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 의료분야 전공 대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전략은 진학동기, 전공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년, 진학동기,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전략과 독립변수 간 상관계수는 학업적 자기 효능감(r=.478, p<.001), 자기주도적 학습(r=645, p<.001), 학업 스트레스(r=-.193, p<.001)로 유의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beta}=0.61$), 전공만족도(만족)(${\beta}=0.31$), 전공만족도(보통)(${\beta}=0.24$)의 순으로 학습전략에 영향을 주며, 전체 설명력은 42.6%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공만족도 개선방안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방안의 모색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전략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학생의 라이프스타일이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fe Style on Eco-Friendly Clothing Practices and 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1-154
    • /
    • 2015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라이프스타일이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과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지역 중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친화경적인 의생활 실천 점수는 남학생이 $2.95{\pm}.49$점, 여학생 $3.19{\pm}.55$점으로 여학생의 실천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1학년의 실천점수가 $3.23{\pm}.56$점, 2학년 $3.09{\pm}.53$점, 3학년 $2.94{\pm}.58$점으로 3학년 학생의 실천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친환경적 의생활 실천 효능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3학년이 1, 2학년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친환경 의생활 실천 효능감과 라이프스타일 요인은 친환경 의생활 실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특히 라이프스타일의 계획된 구매요인이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 및 효능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녹색생활 단원의 교육에서 학생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고, 친환경적인 의생활 실천 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의복의 재사용과 재활용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융합교육을 통한 보다 적극적인 창의성 교육이 요구되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 탐색 효능감이 진로 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valuation on Career Support by the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 전은숙;노은미;고효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8-635
    • /
    • 2015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효과적인 진로 탐색 행동으로 성공적인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진로지도 및 진로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2014년 12월 1일부터 2014년 12월 12일까지 울산 지역과 대구 지역에 소재하는 2개 대학 치위생과 여학생들을 편의 표본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 탐색 효능감은 전공에 대하여 만족하거나 자신의 적성에 맞을 경우 높았고, 가정형편이 좋지 않거나 성적이 하위권일 경우에는 낮았다. 관계구축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졸업 후 교육계를 희망하거나 취업성공에 있어서 적극적인 태도와 정보습득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진로 탐색 행동은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탐색 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 탐색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탐색 효능감(${\beta}=0.702$, p<0.001)이며 개인탐색 효능감(${\beta}=.0.242$, p<0.001), 실제적 진로지원(${\beta}=0.165$, p<0.05)과 관계구축 효능감(${\beta}=0.152$, p<0.0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위생과 학생의 효과적인 진로 탐색 행동으로 성공적인 취업을 이끌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향상과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 선택이 아주 중요하고 체계화된 직업 탐색 프로그램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강화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하며 대학의 실제적인 진로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진로 및 취업지도에 관한 지원부서 및 전문 상담기관 활용, 직업 탐색 프로그램의 운영효과 등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Caring efficacy and Resilience on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김순구;도은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31-239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D시, K시, G도에 소재한 5개의 대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간호학과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4 학년 학생 총 253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23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PASW/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집단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주요변인의 평균은 5점 만점에 감성지능은 3.63점, 돌봄효능감은 3.69점, 회복탄력성은 3.79점, 임상실습만족도는 3.46점이었다. 임상실습만족도는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 감성지능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봄효능감, 회복탄력성,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among Nnursing Students)

  • 차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81-391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증진행위, 스트레스, 자아효능감이 간호대학생 1, 2 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1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2.0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program 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 평균점수는 $75.85{\pm}9.43$ (범위:25~125) 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트레스는 자아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건강증진행위 (수면시간, 간식섭취, 음주, 취미활동),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이었다. 덧붙여 건강증진행위,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은 대학생활 적응에 13.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건강증진행위(수면시간, 간식섭취, 음주, 취미활동), 스트레스, 자아효능감 등은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후속 연구에서는 건강증진행위와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의 의미있는 변수들을 반영한 대학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to the Safety Practices of in-home Child-care Providers: Focusing on Safety Knowledg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efficacy)

  • 문하람;어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36-546
    • /
    • 2020
  •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 안전인식, 안전효능감과 안전행동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북도 소재 2개 시에서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과정을 이수하여 아이돌보미 자격을 갖춘 아이돌보미 19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이돌보미의 안전지식은 0.64(±0.09)점이었으며, 안전인식은 1.92(±0.37)점, 안전효능감은 4.18(±0.51)점, 안전행동실천은 2.55(±0.36)점이었다. 안전행동 실천은 안전지식(r=.14, p=.042), 안전효능감(r=.43, p<.001)과 안전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r=.32, p<.001), 주위사람 도움(r=.40, p<.001), 주위환경 조절(r=.3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실천 영향요인으로 안전효능감의 하부요인인 주위사람 도움(β=.24, p=.009)과 주위환경 조절(β=.19, p=.039)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안전행동 실천 설명력은 20.0%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아이돌보미의 안전행동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체성분과 식이효능감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박형숙;하재현;이현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97 female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st to May 31th in 2015.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of body protein was $7.90{\pm}1.17kg$ and normal range was 33%. A BMI's average was $21.02{\pm}2.94kg/m^2$ and 62.9 fell into standard range. The average of dietary self-efficacy of subjects was $3.42{\pm}0.53$. The subjects performed intense physical activities during three or more days had higher body protein (F=5.89, p=.003), body minerals (F=6.15, p=.003) and body-efficacy (F=4.13, p=.017) but remarkably lower body fat (F=4.04, p=.019). There is no noticeable correlation of body composition with dietary self-efficacy. However, it is obvious that each category of body compos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s who were inclined to overeat had higher body protein, body minerals, body fat, and BMI. Students performed intense physical activities had high body protein, body minerals, and dietary self-efficacy, whereas they had low body fat. Each entry between the body composi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이 구강건강관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 김미나;임도선;김명희;김아름;김성임;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로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 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