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공성 분석

검색결과 2,259건 처리시간 0.035초

시공성 분석업무 개선을 위한 BIM 기술의 적용방안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alysis Tasks by Applying BIM Technology)

  • 박찬식;박희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37-146
    • /
    • 2010
  • 최근 건설 프로젝트는 대형화, 복잡화, 고층화 그리고 발주방식의 다앙화에 따라 사업 초기단계부터 설계, 입찰, 계약, 시공 유지관리의 모든 과정을 연계하는 업무의 통합관리가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설계와 시공단계의 시공성 분석은 프로젝트의 목표와 성능의 극대화에 필수적인 주요 업무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건설실무에서의 현행 시공성 분석 업무는 2D 도면과 문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단계별로 분석되어야 할 업무수행 범위, 방법과 절차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또한 실무자의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여 생성되는 분석정보의 일관성의 유지와 축적 및 활용이 어렵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적절한 기술이나 기법의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븐 연구는 현재 국내 건설 산업에서 수행되고 있는 시공성 분석의 업무내용을 규명하고, 그 실무적 한계를 파악하여, 최근 전 세계적으로 건설프로젝트에 활발히 도입 및 활용되고 있는 BIM의 개념과 기술의 시공성 업무에의 적용성을 분석하였고, 현행 시공성 분석 실무에의 적용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고층 건물에서 시공성 요인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철골 공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nstructability Factors Affecting on the Productivity of Tall Building Construction -With Focus on the Area of Steel Work-)

  • 윤현보;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0-38
    • /
    • 2014
  • 시공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시공성이 공기, 원가, 품질, 생산성을 높인다고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시공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사례조사나 설문을 통한 결과가 대부분이여서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시공성에 관한 연구가 세부 특정 공정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것들이 대부분이여서 다양한 공종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hard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도출하고 이 요인들이 각 공종의 시공성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한 후 실제 공사 데이터를 가지고 시공성 요인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기존 연구에 대한 뒷받침이 되고자 한다.

현장실무자 관점에서의 시공성 검토 지원을 위한 BIM 업무프로세스 제안 (A Proposal of BIM Work Process to Support Construct-ability Analysis from Practitioners Viewpoint)

  • 김대성;최혜미;김주형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61-569
    • /
    • 2014
  • 본 연구는 시공단계 BIM 도입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가 면담 및 현장실무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BIM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행 BIM을 통한 시공성 분석 및 검토 관련 연구는 개념 정립과 업무 프로세스 등의 규명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실질적인 건설프로젝트 현장실무자를 위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음에 본 연구는 기 연구방식과의 차별화된 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건설 기술자들의 BIM 도입 시공성 분석에 대한 필요성 및 BIM을 도입해 수행했으면 하는 시공성 분석 업무 분야의 세부적 내용, 그리고 기존의 시공성 분석 업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대안으로 BIM을 적용한 시공성 분석방안을 이론적으로 조사하고, 도출된 사항을 현장 실무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현장적용 우선순위인 공종간 간섭체크 및 시각화에 대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내용을 적용한 개선된 시공성 검토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 BIM 도입을 위한 현장실무자 관점 BIM 기능 요소 도출, 프로세스 개선 및 협업도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으므로, 향후 현장실무자 관점 BIM 기반 시공성 분석 협업체계에 대한 프로세스 정립 및 공사 관리를 위한 견적 공정 시뮬레이션 업무 프로세스 정립과 BIM 저작도구를 전면적 개선이 아닌 부분적 개선을 통한 BIM 도입 현장적용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어진다.

일반건설업의 직접시공과 하도급시공의 공사원가 및 수익성 비교분석 (The Analysis about Construction Costs and Profitability of Direction between Subcontracting Construction in General Construction Industry)

  • 황욱선;이현숙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4
    • /
    • 2006
  • 직접시공이나 하도급시공은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해 정한 시행령에 따라 시공하는 것이 원칙이나 직접시공이나 하도급시공시 수익성을 비교하여 이익 창출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민간공사 사례를 바탕으로 직접시공과 하도급시공의 공사원가와 수익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S건설에서 2002년과 2003년에 공사한 근린생활 및 단독주택을 토대로 하였다. 공사건수의 사례는 직접시공과 하도급시공 각각 3건의 공사에 의한 평균비율 값에 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공급가액 대비 매출총이익에 대한 수익률은 하도급시공이 직접시공 보다 1.3% 높은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업이익에 대한 수익률은 하도급시공이 직접시공보다 2.3% 높은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하도급시공(영업이익률 11.7%)이 직접시공 공사에 대해 4대 보험료 차감후의 최종 영업 이익률이 4.4%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건설회사는 하도급을 주는 것이 수익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노무자 관리 또한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공성 향상을 위한 비개착 H.A.S 공법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Non-Open Cut H.A.S Method to Improve Constructability)

  • 최정열;장성호;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65-773
    • /
    • 2022
  • 본 연구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수평 굴착 기계 시스템이 적용된 비개착 공법(H.A.S. 공법)에 관한 연구로서 현장 계측과 설계 시 해석한 구조계산과 지반과 일체화된 수치해석을 비교하여 비개착 가설시설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결과에 대한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를 적용한 분석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계측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개착 시설물 시공 시 사용되는 강관 연결고리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및 장기 내구성을 수치해석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관 및 강관 연결고리는 충분한 구조적 안전성 및 장기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개착 공법(H.A.S. 공법)은 지반조건의 불명확성을 감안하더라도 설계 시 고려한 수치해석결과보다 실제 현장에서의 거동이 보다 안전측으로 나타나 구조적 안전성 및 시공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부문 일괄사업 실시설계단계의 파트너링과 시공성 분석 적용방안 (Application of Partnering and Constructability in the Design Development Phase of Public Design-Build Projects)

  • 남용호;연희정;홍태훈;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31-534
    • /
    • 2007
  • 현행 국내의 일괄입찰방식은 설계와 시공의 겸업금지로 공동도급 형태의 분담이행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참여업체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해 설계변경 클레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수행절차 과정에서도 사업참여자간 의견대립으로 인해 상호교류가 부족하여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괄입찰방식, 파트너링과 시공성 분석의 특성을 파악하고, 예비적 고찰을 통한 상호교류의 영향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일괄입찰방식 실시설계단계에서 프로젝트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파트너링과 시공성 분석 연계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에서 135° 갈고리 대체 클립형 연결장치의 시공성 및 비용 분석 (Constructability and Cost Analysis of the Clip-Type Binding Implement Substituting 135° End-Hooked Transverse Reinforcement i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 박경언;윤현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59-469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띠철근 상세로 이용되는 갈고리 양단 135° 교차시공에 대해 동등이상의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시공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클립형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90° 갈고리 띠철근에 결속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안한 클립형 연결장치에 따른 시공성 평가 및 소요비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둥 1개 전체 철근 조립하는 데 작업 시간은 클립형 연결장치 사용시 50%의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용분석 결과 클립형 연결장치 1개 사용시 절감효과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표준 갈고리 상세 대비 약 32%의 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목구조물분야에서 DMU 적용을 통한 시공성개선 사례 연구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MU to Civil Infra Structures to Improve Constructibility)

  • 박경래;이광명;이윤범;이충희;이태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20-32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BIM의 기술 중 하나인 DMU(Digital Mock-Up)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에 기여한 결과를 소개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경우 DMU는 건설 프로젝트의 입찰단계 및 시공계획 단계에서 적용되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입찰단계의 경우 대상 프로젝트의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을 실제와 같은 지형조건 및 설계 조건으로 모델링하여 프로젝트의 개요 파악, 정보의 공유, 선정된 공법의 효과 분석 등에 적용하였으며 시공단계에서는 주로 복잡한 구조물의 철근 간섭 검토 및 효율적인 배근 방법 분석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적용결과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성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DMU는 향후 프로젝트 관리도구로 통합되어 구조물공사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노즐이동속도와 변장비에 따른 3D 프린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성 (Buildability of 3D Printed Concrete Structures at Various Nozzle Speeds and Aspect Ratios)

  • 박지훈;이정우;조창빈;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75-3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린팅 재료 및 장비를 사용하여 대상 구조물의 시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초 성능평가 프린팅 실험을 수행하였다. 3D 프린팅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성은 콘크리트 필라멘트 재료 특성, 시공 프로세스 및 구조물의 기하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층하는 동안의 시공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변수로서 노즐 이동속도(=80 및 100mm/s), 토출 버킷의 스크류 분당회전속도 (RPM) 및 구조물 벽체 길이의 변장비(1.67 및 5.00)를 고려하였다. 실험변수에 따른 3D 콘크리트 구조물의 최대 적층 수 및 파괴 패턴을 토대로 시공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80mm/s의 노즐 이동속도 및 1.67의 변장비가 3D 프린팅 시공성에 유리함을 나타낸다. 또한, 적층 시 구조물 하단부의 상대변위측정을 통해 구조물의 전도 파괴 과정을 분석하였다.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설계단계의 시공엔지니어링 업무 도출 -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 (Identifying Construction Engineering Tasks at the Design Phase for Enhancing Constructability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emporary Work -)

  • 이진웅;조규만;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53-463
    • /
    • 2017
  • 건물의 고층화와 규모의 증가로 인해 프로젝트 설계단계에서의 시공성을 반영한 엔지니어링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설계단계에서의 가설작업을 위한 설비, 장비 및 공법과 관련된 엔지니어링 기술적용의 노력은 시공성 및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축공사의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가설공사를 중심으로 설계단계에 요구되는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고찰과 전문가 집단면접을 통해 27개의 예비 업무를 도출하였으며,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업무의 필요성 및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골조공사 및 양중장비 계획과 관련된 대부분의 업무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21개의 엔지니어링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이들 업무는 크게 1)골조공사 및 측량/동선계획, 2)양중 및 콘크리트 압송계획, 3)공간구획계획, 4)용수계획, 5)가설건물 및 전력/조명계획의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설계단계에서 시공엔지니어링 업무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