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공기준안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공사 낙찰률 상향조정 - 재정경제부, 정부계약제도 개선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18
    • /
    • pp.30-33
    • /
    • 2000
  • 재정경제부는 지난 4월 28일 정부계약제도 개선안을 확정하고 29일부터 1천억원 이상 대형공사를 제외한 공공공사의 낙찰 하한율을 동전보다 2.8$\~$10$\%$ 상향조정토록 한 적격심사기준을 개정했다. 또 10억원 미만 소규모 시설공사는 시공실적을 평가하는 한편 기존업체와의 역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시공실적에 가산점을 부여하게 된다.

  • PDF

500kg/cm$^2$고강도 콘크리트 - 재료특성$\cdot$현장시공성에 관한 연구

  • 안재현;권영호
    • 어항어장
    • /
    • s.18
    • /
    • pp.69-77
    • /
    • 1992
  •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 일환으로 설계기준강도 500kg/cm$^2$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 생산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장 최적배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수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kg/cm$^2$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afety Code and Design Guide of Wind Power Plant (발전용 풍력설비 안전관련 기술기준 및 규정제정 연구)

  • Kim, Han-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13-16
    • /
    • 2005
  • 본 연구는 발전용 풍력설비의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계통운영에 필요한 기술기준 및 규정을 제정하는 것으로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에 따라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운영중인 기술기준 중 현재 제정되어 있지 않은 $\ulcorner$발전용 풍력설비기술기준$\lrcorner$과 법정 기술기준을 구체화하여 설비의 설계, 제작, 시공, 운영, 검사 및 보수시에 기술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ulcorner$풍력발전규정$\lrcorner$을 신규로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기술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 및 동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 발전용 화력설비기술기준, 발전용 수력설비기술기준 및 발전설비 용접기술기준 등 4개가 고시로 운영중이다. 그러나 국내 풍력발전기 설비용량은 약 22MW이고, 다수가 건설중 이거나 계획 중에 있으나 설치허가 및 검사기준이 되어야 할 기술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국내기술의 안정적인 전원공급 및 계통운영에 필요한 기술기준(안) 및 규정(안)등을 실현하였다.

  • PDF

An Analytical Study on Prefabricated pier in the coastal areas (연안지역에서의 조립식 잔교의 거동특성에 관한 해석)

  • Sin, Ha-Myung;Yoon, Ki-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4-2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잔교용 설계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지반조건을 고려한 잔교의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잔교는 구조적인 합리성과 시공성(조립시공)이 우수한 조립식 잔교를 대상으로 하였다.(강효기 외, 2010) 서해안의 연약지반을 고려하기 위해 지반스프링을 이용한 해석모델을 개발하고, 다양한 해석조건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of Tunnel Construction Cost Standards Considering the Site Conditions in Korea (현장실태를 고려한 국내 터널공사 공사비산정기준 개선)

  • Ahn, Bang-Ryul;Lee, Han-Soo;Oh, Jae-Hoon;Song, T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26-35
    • /
    • 2020
  • Tunnel constru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quipment and technologies has led to advances in tunnel construction methods that are implemented on sites, the cost standards related to such works do not yet reflect the realities of the construction sites. A literature review and site surveys were conducted to suggest reasonable cost standards for tunnel work that reflects the realities of the field. First, each item in the cost standards for tunnel work, as established in the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Rat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costs implemented on tunnel projects. The key items analyzed included those regarding the work cycle time, such as rock classification, profiling survey, drilling speed, and muck-disposal processing equipment combination, as well as the number of people put to tunneling work. Based on the site survey results, improved estimates regarding the cycle time per one tunnel drilling blast, drilling speed of the machine, muck disposal processing equipment combin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put to tunneling work were suggested. This study suggests the cost standards that reflect the realities of tunneling sit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ensure adequate costs for tunnel construction projects.

Damages on lee side of breakwaters by wave overtopping: Case study (월파에 의한 경사제 배후면 피해 : 실험사례)

  • Kim, Young-Taek;Lee, J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16-716
    • /
    • 2012
  • 최근 항만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대수심 및 고파랑 지역에 설치되는 외곽시설의 상당수는 직립식 케이슨 혼성제 단면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고, 설계파와 같은 외력 조건이 크기 때문에 경사제에 비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유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소규모 항만 및 어항시설에 있어 경사제를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경사식 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월파에 의한 방파제 배후 경사면에 피복된 피복재의 안정성을 검토하며, 실험사례를 통하여 최적 설계안 및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사식 구조물 배후 사면 피복재의 안정 중량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항만 구조물의 설계기준(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2005) 뿐만 아니라 국외의 설계기준(CEM, Coastal engineering manual, 2005 등)에서도 아직까지 설계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단면 수리모형실험에서는 1/50의 실험축척을 적용하여 대상 외곽 구조물에 대하여 수리특성과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경사제 배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려 동일 구간에 대하여 설계파 조건 등을 중심으로 총 9개의 실험안을 설정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아래 그림은 이중 초기 설계안과 최종적으로 제안된 제시안에 대한 완성모형, 실험장면 및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접안시설과 외곽시설이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어 적정량의 월파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 상치콘크리트의 형상 및 마루높이을 변경하여 월파의 낙하 및 도달거리를 배후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물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VE Process in Pre-Construction Phase for GMP Determination of CM at Risk Project (시공책임형 CM 사업의 GMP 결정를 위한 시공이전단계 설계VE 프로세스 적용방안 도출)

  • Park, Bo-sung;Kim, Ok-kyu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5
    • /
    • pp.56-64
    • /
    • 2022
  • Although pilot project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from 2017 to present to institutionalize CM at Risk, one of the major tasks for innov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tandards and processes related to Design VE, a key tool for determining GMP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rough research and operation status related to CM at Risk and Design VE, and survey on project participants' perception, the problem of the existing design VE process was derived, and the design VE process suitable for the CM at Risk project was proposed. The application plan was proposed in three aspects: Schedule, Cycle, and Process, and the appropriateness and applic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FG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and legislation of order standards to be mad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aster Spec. and Operation System for the Prosperity of Electrical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전기설비 시공기술 발전을 위한 MASTER SPEC. 및 운용시스템 개발)

  • Wang, Yong-Peel;Ahn, Joon-Ho;Park, Min-Young;Jang, Young-Gill;Seo, Soon-Seok;Kim, Gwang-G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23.1_2124.1
    • /
    • 2009
  • 전기설비 시공분야에서 전문적 시방서 관리 체계는 그동안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각 발주기관별 자체적 관리체계 하에서 운영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명칭이 서로 상이한 부분과 진술 및 구성의 체계 또한 일관되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전기설비 분야의 시방서를 체계적이고, 공통된 의사표현이 가능한 기준시스템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에 따른 기준시방서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체계를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