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간부족

검색결과 2,295건 처리시간 0.041초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부부의 지각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 이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145-160
    • /
    • 1994
  • 이 논문의 목적은 남편의 장시간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실정에서 남편이 직업노동과 관련해서 소비하는 시간이 어느정도나 되며 이것이 다른 생활시간배분에 어떤 영향을 주고 또 가정생활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총직업노동시간의 실태를 보면 평일 11시간 43분 토요일이 8시 간 21분 일요일이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평일 직업노동시간을 5집단으로 나누어 다른 생 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노동시간이 긴 집단이 짧은 집단에 비 해서 다른 모든 생활시간- 생리적, 가사적, 사회문화적 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이짧은 것으 로 나타났다 . 2) 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남편 은 주로 자신의 피로회복문제나 스포츠.여가시간 부족문제 생활의 여유가 없다는 문제 가 족단란시간 부족문제 자녀와의 접촉시간 부족문제 등을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부인은 남편의 건강염려 남편의 자녀접촉시간 부족 가족단란시간 부족 남편과 취미 스포츠를 할 시 간 부족 부부간 대화시간 부족등이 문제가 된다고 지각하였다 3)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 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은 남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내자녀연령, 직업 노동시간,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부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 내자녀연령, 남편의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 성역할태도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실버계층의 레저스포츠 참여정도와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nstraint Factors to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Degree in Silver Class)

  • 김성훈;최웅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0-273
    • /
    • 2008
  • 본 연구는 실버계층의 레저스포츠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제약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취지에서 55세-64세의 뉴 실버세대와 65세 이상의 실버세대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의도적 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55세 이상의 레저스포츠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총 933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주당참여빈도는 신체 심리적 부담, 시설, 정보 기술, 대인관계, 관심부족, 시간부족, 비용부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하루운동시간은 신체 심리적 부담, 시설, 정보 기술, 대인관계, 관심부족, 시간부족, 비용부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경력은 신체 심리적 부담, 시설, 정보 기술, 대인관계, 관심부족, 시간부족, 비용부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웹 기반 서예교육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Web-based Calligraphy Education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 김현주;박선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68-676
    • /
    • 2004
  • 미술영역 중 서예영역은 7차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3{\sim}5$학년 각 8시간, 6학년 6시간으로 한 단원씩 배당되어 6차에 비해 시간수가 11% 감소되었다. 그로 인하여 각 단계별 학습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시간이 부족하며, 지도할 자료 부족과 자료제작의 어려움, 또한 학생 개인 수준 차이로 서예지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초등 미술과 서예영역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각 학년별 교과 내용의 효과적인 필법 자료를 단계별로 학습의 흐름에 맞추어 투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본 학습 자료와 심화 학습 자료를 재구성하거나 개발하여 적용하는 초등학생을 위한 웹 기반 서예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서예 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자료 준비와 부족에 대한 부담감이 줄고, 학생 개인차를 고려하여 자료를 투입할 수 있어 자기 학습력 신장을 엿볼 수 있으며, 학생 스스로도 서예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져 향상된 작품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촌 지역주민들의 연령대에 따른 신체활동의 장애요인 (Barriers related to Walk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Rural residents)

  • 김보경;이경예;서애림;김미지;서성효;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2호
    • /
    • pp.89-99
    • /
    • 2020
  • 이 연구는 연령대를 성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구분 후 신체활동과 인지된 운동장애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두 군데 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걷기실천율의 정의는 주 5회 이상, 한번 할 때 10분 이상, 하루에 30분 이상 하는 것으로 하였고, 인지된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사회적 지지 부족, 기력 부족, 의지력 부족, 부상에 대한 공포 등 5개의 영역으로 조사하였다. 연령대를 세 개 군(~64세 이하, 65-74세, 75세 이상)으로 구분했을 때 의지력 부족이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였고, 64세 이하의 경우는 시간부족이 관련이 있었으며, 65세 이상은 부상에 대한 공포가 관련 있었다. 결론적으로 의지력 부족과 시간부족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마을 내에서 일정한 시간대에 함께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노인들에게는 낙상예방을 위하여 걷기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을 권장할 때 근력운동을 병행해 실시하여 부상에 대한 공포를 줄여야 할 것이다.

성별 가사노동시간 측정 : 시간일지와 서베이문항 방식 비교 (Gendered Reporting Gap of the Housework Time: A Comparison of Time Diary and Stylized Survey Questionnaire)

  • 김은지;김수정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1
    • /
    • 2009
  • 본 연구는 시간일지 방식의 생활시간조사와 서베이문항 방식의 노동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탐색적 수준에서 측정방식의 차이가 성별 가사노동시간 추정에서 어떤 차이를 낳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서베이문항 방식에서 남성은 자신의 가사노동시간을 과다보고하고 여성은 과소보고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보고차이에 관한 기존연구에 비추어 볼 때 남성의 과다보고는 일치하지만 여성의 과소보고는 매우 독특하다. 하위집단별 가사노동시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사별/이혼자 집단에서 과다보고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유급노동, 돌봄 및 가사노동 부담이 큰 집단에서 과소보고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보고차이는 가사노동과 관련된 젠더화된 사회규범과 시간부족 인식에 비추어 설명될 수 있었다. 기존연구에서는 과소보고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는데, 본 연구는 시간부족 인식이 여성의 과소보고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적 가설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 PDF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311-32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시간과 수면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U광역시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보건계열 대학생 280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시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충분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률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인식시키기고 불필요한 스마트폰 사용을 근절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수면부족, 수면시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ing Hours of University Students)

  • 한현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13-21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수면시간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의 G대학에 재학 중인 28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9월 6일- 10월 10일까지이며 자료 분석은 SPSS ver.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생 64명(22.9%), 여자 216명(77.1%)이었고, 평균연령은 $20.31{\pm}3.37$세이다.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평균 $34.79{\pm}7.6$, 평균수면시간은 $6.43{\pm}1.34$시간, 수면부족 척도 평균은 $10.14{\pm}3.14$점이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수면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77, p<0.01)가 있었으며, 하부영역인 일상생활 장애영역(r=.269, p<0.01), 가상영역(r=.151, p<0.01), 금단영역(r=.303, p<0.01), 내성영역(r=.18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과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평가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ural water supply network)

  • 양미혜;남원호;신지현;윤동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81-81
    • /
    • 2023
  • 농업용 저수지는 전체 수리답 면적 중 61.3%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작물의 수확과 생산성을 위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요구된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물 공급 안정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수안전도를 사용하고 있지만, 농업용 저수지는 기준의 부재로 10년에 1회 정도의 갈수를 기준으로 하는 설계기준인 10년 한발빈도를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약 86%가 1940-1970년대에 축조되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내한능력의 변화, 용수관리 및 수요량의 변화, 설계한발빈도 변화 등으로 현시점의 이수안전도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수안전도는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을 활용한 양적기준 신뢰도와 물 부족 발생기간에 따른 시간기준 신뢰도로 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야부 용배수계통을 고려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양적 및 시간기준 신뢰도 관련 이수안전도 기준인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수요량 산정방법은 물수지 분석 모델인 수리수문설계시스템 (K-HAS, Hydraulics & Hydrology Analysis System)을 활용하여 물 부족량과 물 수요량 및 물 부족 발생기간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며, 용배수계통을 고려하기 위해 수로 네트워크 적용 및 수리학적 용수공급 모의가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rom Water Management Model)을 통해 평야부 필지마다 물공급 만족정도를 비교하여 필요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최대 부족량과 수요량으로 산정가능한 양적기준 신뢰도인 이수안전율과 물공급부족기간으로 산정가능한 시간기준 신뢰도인 공급신뢰율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해당 이수안전율과 공급신뢰율을 한발빈도로 환산하여 기존 설계한발빈도와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Time Use and Time Famine in Single-Parent Families: A Comparison of Single-Mothers and Fathers)

  • 김외숙;박은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3호
    • /
    • pp.1-19
    • /
    • 2018
  •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time famine between single-parent famili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ime use surveys, that were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4. A total of 500 time diaries (168 from fathers, 332 from mothers) from single-parents aged between 20 and 59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ngle-parent families exhibit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subjective time famine. The single-mothers spend a significantly longer amount of time on housework and less time on leisure than do the single-fathers. The single fathers and mothers also differ in time use and time famine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days on/off.

척수장애인들을 위한 휠체어 전용 신체활동 스마트 트레드밀 개발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smart wheelchair treadmill for Spinal cord disorder)

  • 서상준;최현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43-144
    • /
    • 2019
  • 본 논문은 현대에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를 하지 않으면 심혈관계질환, 당뇨, 암, 골다공증 등과 같은 질환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부족, 시간부족, 날씨 등으로 제약을 받아 신체활동이 부족한 척수장애인의 들을 위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을 개발함이다. 기존의 휠체어 트레드밀은 휠체어를 생활할 때 사용하는 대상자들에게 신체활동을 제공하였다.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은 경사(Slope-Incline, Decline)를 조절하여 개별마다 다른 건강체력능력에 운동강도(Exercise intensity)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은 거리측정, 속도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부착하여 대상자의 운동량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측정도 가능하여 대상자의 운동량에 대한 칼로리소모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과 VR(Virtual reality) 프로그램, 게임을 접목시켜 척수장애인들의 신체활동에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