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ime Use and Time Famine in Single-Parent Families: A Comparison of Single-Mothers and Fathers  

Kim, Oi-Sook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
Park, Eun Jung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2, no.3, 2018 , pp. 1-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time famine between single-parent famili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ime use surveys, that were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4. A total of 500 time diaries (168 from fathers, 332 from mothers) from single-parents aged between 20 and 59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ingle-parent families exhibit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subjective time famine. The single-mothers spend a significantly longer amount of time on housework and less time on leisure than do the single-fathers. The single fathers and mothers also differ in time use and time famine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days on/off.
Keywords
single-parent family; single-father; single-mother; time use; time famin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영호(2015). 한부모가족의 시간빈곤 해결을 위한 전략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5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57-168.
2 양세정(2005). 편모가계와 양부모가계의 소비지출 행태 비교. 사회과학연구, 20, 1-20.
3 윤소영(2013).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 실태분석: 행복한 생활을 위한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18.
4 주익현(2015).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사회과학논문, 46(1), 111-135.
5 조영희(2004). 한부모가족 부, 모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39-151.
6 전지현(2015). 취업모의 종사상 지위별 생활시간 사용 양태 및 시간부족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차승은(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8 차승은(2011). 취업남녀의 시간부족인식과 시간 활용: 1999년과 2009년의 생활시간자료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131-151.
9 차승은(2015).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시간압박감과 관련요인의 차이: 아내의 시간, 남편의 시간, 그리고 가사노동 사회화의 효과.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33(5), 37-53.
10 통계청(2015). 2014년 4/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 통계청.
11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통계청.
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3). 2013 아동종합실태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한영선.윤소영(2009).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14 Burchardt, T.(2008). Time and income poverty.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Case Report, 57.
15 Gunthrope, W., & Lyons, W.(2004). A predictive model of chronic time pressure in Australian population: Implications for leisure research. Leisure Science, 26, 201-213.   DOI
16 Kalenkoski, C, M., Ribar, D. C., & Stratton, L. S.(2006).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 on parents' child care tim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ZA Discussion Paper No. 2441. 1-44.
17 Mencarini, B. L., Pasqua, S., & Romiti, A.(2014). Children's time use and family structure in Italy. Families And Societies: Working Paper Series, 21, 1-32.
18 Merz, J., & Rathjen, T.(2009). Time and income poverty: An interdependent multidimensional poverty approach with German time use diary dat. IZA DP No. 4337, 4-31.
19 Musick, K., & Meier, A.(2012). Assessing causality and persistence in associations between family dinners and adolescent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4, 476-493.   DOI
20 Raymo, J. M.(2014). Single motherhood and work-family conflict in Japa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Department of Sociology, 1-29.
21 Raymo, J. M., Park, H., Iwasawa, M., & Zhou, Y.(2014). Single motherhood, living arrangements, and time with children in Japa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6(4), 843-861.   DOI
22 Roxburgh, S.(2004). There just aren't enough hours in the day's: The mental health consequence of time pressur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5(2), 115-131.   DOI
23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24 Zick, CD., Bryant, WK., & Osterbacka, E.(2001). Mothers' employment,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mediate child outcomes. Social Science Research. 30(1), 25-49.   DOI
25 Zuzanek, J.(1998). Time use, time pressure, personal stress,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5(1), 26-39.   DOI
26 Zuzanek, J.(2004). Work, leisure, time-pressure and stress. In J. T. Haworth., & A. J. Veal (Eds.), Work and Leisure, PP. 123-144. London: Routledge.
27 고선강(2015).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95-120.
28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99-118.
29 강기정(2006). 이혼 한부모가족의 생활시간 구조 분석과 가족복지 대책. 진리논단, 13, 11-28.
30 Robinson, J. P., & Godbey, G.(1997).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1 김경년(2010). 한부모가족 자녀의 인터넷과 TV이용이 학업성취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연구, 20(4), 27-54.
32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2004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DOI
33 김승권.송수진(2001). 기혼여성의 혼인상태별 생활시간 배분실태와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1(1), 67-105.
34 김연우(2012).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보건복지포럼, 50-59.
35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2016).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25-43.
36 김외숙(2012).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33-152.
37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38 김외숙(2017). 청소년의 시간사용 및 시간부족감의 변화: 2004년과 2014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35-59.
39 김진욱.고은주(2015). 시간압박, 누가 얼마나 경험하는가?: 한국 기혼부부의 수면, 개인관리, 여가시간 결핍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42(2), 135-161.
40 노혜진.김교성(2010).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 사회복지연구, 41(2), 159-188.
41 문은영.김보람(2010). 서울시 한부모가족 생활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여성가족재단.
42 박민자.손문금(2007).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2), 93-120.
43 박은정.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DOI
44 손문금(2004). 맞벌이주부의 시간부족(time famine) 인식. 여성연구, 2, 159-198.
45 송혜림.김유경.김주희(2017). 남성 장시간 근로집단 및 그 배우자집단의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43-59.
46 여성가족부(2015). 2015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7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DOI
48 이성림(2004).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69-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