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습윤접착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Benzalkonium Chloride가 NTG-GMA/BPDM계 및 DSDM계 상아질접착제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ALKONIUM CHLORIDE ON DENTIN BONDING WITH NTG-GMA/BPDM AND DSDM SYSTEM)

  • 신일;박진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699-720
    • /
    • 1995
  • 본 연구는 양이온 계면활성효과를 가져 소독제로 사용되고 있는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을 상아질 표면에 대한 습윤용 처리제로 적용시킬 경우 상아질접착제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소의 하악전치 80개를 8개군으로 분류하여 순면의 상아질을 노출시켜서 산처리한 후 물로 습윤 상태를 유지시킨 대조군과 0.1%, 0.5% 및 1% 농도의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으로 습윤시킨 실험군으로 나누어 NTG-GMA/BPDM계 상아질접착제인 All-bond 2와 DSDM 계 상아질접착제인 Aelitebond를 각각 접착시킨 후 접착시험을 시행하였다. 상아질 표면을 10% 인산수용액으로 처리한 후 습윤과정을 거친 시편을 각 접착시스템의 primer와 bonding resin을 도포하고 Aelitefil 복합레진으로 접 착시 킨후 항온조에서 24시간 방치한 뒤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상아질표면 및 파단면의 양상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FT-IR을 사용하여 전처리 전후의 상아질 표면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NTG-GMA/BPDM 계 상아질접착제 (All-bond 2)로 접착시킨 경우 물로 습윤시킨 대조군에 비해 0.1 %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으로 습윤시킨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보였으나(p<0.05), 0.5% 및 1.0 %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으로 습윤시킨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DSDM계 상아질접착제 (Aelitebond) 로 접착시킨 경우 물로 습윤시킨 대조군과 0.1 %, 0.5% 및 1.0 %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으로 습융시킨 군 간의 인장접착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의 적용과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NTG-GMA/ BPDM계 상아질접착제로 접착시킨 경우가 DSDM계 상아질접착제로 접착시킨 경우보다 인장접착강도가 높았으며, 파단양상의 관찰결과에서도 NTG-GMA /BPDM계 상아질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는 응집성 및 혼합성 파단양상이, DSDM 계 상아질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는 부착성 파단양상이 우세하였다. 4. 주사전자 현미경적 관찰상에서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 적용 유무에 따른 각 상아질 표면의 primer 도포양상의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아질 표면에 대한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 적용 전후의 FT-IR 분석결과 에서는 0.1 % benzalkonium chloride 수용액으로 습윤 처리 시킨 군이 대조군에 비해 NTG-GMA/ BPDM 및 DSDM primer의 도포효과를 다소 향상시킨 소견이었다.

  • PDF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 Jee, Ju-W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직물의 구조와 수분율에 따른 습윤팽창 및 기공도 변화

  • 나미희;이대훈;김은애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6-269
    • /
    • 1998
  • 세 번수 단사로 제직된 모직물은 그 사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의복의 형태안정성이 문제되고 있다. 형태안정성 중에서 특히 공기중 수분의 흡수, 발산에 따른 수분율의 차이로 발생하는 습윤팽창은 시임 퍼커링, 의복의 뒤틀림, 의복 사이즈의 불량, 접착심지의 이탈등의 다양한 의복 외관상의 문제점을 야기시킬수 있다$^{1-4)}$ . 이러한 모직물의 습윤팽창은 직물의 길이와 두께를 변화시켜서 기공도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의복의 쾌적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중략)

  • PDF

치질접착에서 접착강도와 변연누출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IN RESIN BONDING TO TOOTH STRUCTURE)

  • 김진희;박정원;박진훈;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4호
    • /
    • pp.570-577
    • /
    • 1999
  • 치질에 대한 접착수복은 건전한 치질을 보존하면서 유지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치질과 수복물 계면에서의 미세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임상에서 그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레진충전후 중합과정에서의 수축현상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한 변연누출은 술후 지각과민, 변연변색이나 이차우식과 아울러 치수병변의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치질과 레진수복물간의 접착강도를 강화시킴으로써 변연부위의 누출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많은 종류의 상아질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 검사와 미세누출 검사가 행해졌으나 접착강도와 변연누출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치를 이용한 동일시편에서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의 정도를 측정 후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의 하악 전치를 이용하여 법랑질 또는 상아질 시편을 각 군마다 30개씩 준비하였다. 32% 인산으로 15초 처리 및 20초 수세 후 치질처리 방법에 따라 법랑질/완전 건조시킨 군, 법랑질/습윤상태의 군, 상아질/완전 건조시킨 군, 상아질/습윤상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시편을 One-Step$^{TM}$ adhesive를 적용 후 Charisma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그 후 2% methylene blue에 1주일 간 침잠시킨 후 24시간 흐르는 물에 수세한 뒤 인장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접착 강도 측정 후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색소의 침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법랑질 및 상아질 군 공히,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을 비교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접착강도가 높을수록 미세변연누출은 적게 나타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r=-0.50, p<0.05). 2 법랑질 군 및 상아질 군 공히, 습윤상태의 시편이 완전히 건조된 시편에 비해 높은 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3. 상아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이 건조시킨 군 사이에 유의하게 적은 미세변연 누출을 나타낸 반면(p<0.05), 법랑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과 건조시킨 군 사이에 미세변연 누출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PDF

AC와 DC 코로나 처리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접착성질 비교 (The Comparison of Adhesion Properties on Polyester Fabric by AC and DC Corona Treatment)

  • 이재호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3호
    • /
    • pp.104-109
    • /
    • 2016
  • AC 코로나와 DC 코로나 처리 효과들을 비교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DC 코로나 처리 조건들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직물들을 전류세기 5, 10, 15 A로, 공급속도 5, 10, 15 m/min로 AC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들의 표면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ray 광전자분석기(XPS)로 확인하였고, 또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건조 시와 습윤 시의 접착강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대기압에서 AC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표면변화는 DC 코로나 방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AC, DC 코로나 처리 양쪽에서 건조 시의 접착강도는 전류세기와 공급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습윤 시의 접착강도는 전류세기가 증가할수록 공급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류가 20 A일 때 DC 코로나 방전에서는 탄화가 발생하였으나 AC 코로나에서는 탄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열화처리에 따른 고무와 강선코드간 접착계면의 변화 (Changes in Adhesion Interface between Rubber and Steel Cord with Aging Treatment)

  • 서곤;손봉영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30-636
    • /
    • 1994
  • 열화처리 후 고무와 황동이 피복된 강선코드의 접박계면 변화를 오제 광전자 분광기와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열열화 후에는 접착층의 부분 산화와 추가 성장이, 습윤열화 후에는 접착층과 황동의 부분 소실이, 동적열화 후에는 접착층의 파괴와 철심의 부식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접착계면의 변화를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접착 성질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 PDF

코로나 처리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의 접착력 향상 (Improvement of adhesion of Polyester Fabric and Knit by Corona Treatment)

  • 이언필;윤래원;이재호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3호
    • /
    • pp.16-23
    • /
    • 2007
  • 폴리에스테르 편 직물들을 전류세기 5, 10, 15, 20 A로, 공급속도 5, 10, 15 m/min로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들의 표면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ray 광전자분석기(XPS)로 확인하였다. 또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인장강도, 건조 시와 습윤 시의 접착강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는 열경화성 반응형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이다. 대기압에서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편 직물에 관능기들이 도입되어졌고,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여 그 결과 접착력은 향상되었다. 건조 시 및 습윤 시의 접착강도를 모두 고려할 때, PET 직물의 코로나 처리에 있어 적절한 조건은 공급 속도 10 m/min, 전류 세기 15 A라 생각되며, mesh형 PET knit는 공급 속도 10 m/min, 10 A 이상의 전류세기라 생각된다.

  • PDF

산 부식된 상아질에 대한 용매를 이용한 프라이밍이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MING ETCHED DENTIN WITH SOLVEN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HYDROPHOBIC DENTIN ADHESIVE)

  • 박은숙;배지현;김종순;김재훈;이인복;김창근;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42-50
    • /
    • 2009
  • 장기적인 상아질 접착의 내구성 악화는 접착층과 혼성충의 친수성 부위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콜라겐 망상체를 유기용매로 프라이밍하면 콜라겐 조직을 붕괴시키지 않고 수분을 밀어내고 소수성 단량체와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침투하여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두 소수성 단량체인 Bisphenol-A-glycidylmethacrylate (Bis-GMA)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를 아세톤, 에탄올 또는 메탄올에 용해시켜 세 가지의 실험용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산 부식과 수세과정 후에, 접착제를 습윤 상아질 표면(습윤 접착)이나 동일한 용매로 프라이밍 된 상아질 표면(용매 프라이밍 접착)에 적용하였다. 48시간 후와 1개월 후, 및 10,000회의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계면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접착 방법에 무관하게 대부분의 시편의 접착계면에서 잘 발달된 혼성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가장 높은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의 48시간 후 시편에서 관찰되었다. 용매를 이용하여 프라이밍하는 접착 방법에서는 에탄올이나 메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에서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접착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습윤 접착의 경우에는 시효처리 후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에탄올을 이용한 상아질 프라이밍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었고, 열순환 후 접착력 이 더욱 증가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이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와 교원질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CHONDROITIN SULFATE ON BOND STRENGTH OF DENTIN ADHESIVES AND COLLAGEN ARCHITECTURE)

  • 김종률;박상진;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3호
    • /
    • pp.211-221
    • /
    • 2010
  • 본 연구는 상아질의 비교원성 단백질을 chondroitinase ABC (C-ABC)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비교원성 단백질의 제거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교원질망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상아질의 다양한 습윤상태에 따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의 상아질접착제의 미세인장강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 3대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두 군으로 나누고 한 군은 C-ABC, 다른 군은 증류수를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 적용한 후, 상아질의 습윤상태(wet, dry 및 re-wet)와 상아질 접착제(Single Bond 2, One Step Plus)를 다르게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수복하였다. 24시간 후 가로 1 mm, 세로 1mm의 시편을 제작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상아질 교원질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상아질 시편에 산부식을 시행하고 C-ABC 적용 후, 시편을 제작하였고 미세인장강도 측정후 파괴된 접착면의 파괴양상과 각 접착제의 접착계면 관찰을 위하여 FE-SEM 관찰하였다. C-ABC 처리여부와 관계없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은 모든 접착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C-ABC를 적용하였을 경우, Single Bond 2에서는 재수화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이 습윤한 상아질면에 접착한 군에 비해 미세인장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p < 0.05). FE-SEM 관찰결과, C-ABC를 적용후에는 접착성 파괴가 주로 일어났으며, 교원질 섬유간 거리가 증가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교원질 섬유들간에 응집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코로나 처리를 이용한 신발용 나일론 직물의 접착력 향상 (Improvement of Adhesion of Footwear Nylon Fabric by Corona Treatment)

  • 이재호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3호
    • /
    • pp.26-33
    • /
    • 2006
  • 나일론 직물들이 전류세기 5, 10, 15, 20 A, 공급속도 5, 10, 15 m/min로 코로나 처리되었다. 나일론 직물의 표면변화를 X-ray 회절장치,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ray 광전자분석기(ESCALAB)로 확인하였다. 또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인장 인열강도, 접착 및 습윤강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는 열경화성 반응형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이다. 대기압에서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 나일론 직물에 관능기들이 도입되어졌고, 그 결과 접착력은 향상되었다. 코로나 처리된 나일론 직물의 접착강도는 전류 세기가 증가할수록, 공급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