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IN RESIN BONDING TO TOOTH STRUCTURE

치질접착에서 접착강도와 변연누출

  • Kim, Jin-He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eong-Won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in-Hoon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yo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진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 박정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 박진훈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 김성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학교실)
  • Published : 1999.12.02

Abstract

Intuitively, higher bond strengths should result in less leakag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bond strengths and microleakage value is complex and not clea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nsile bond strengths and microleakage values in the same restorations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resin bonding to tooth structure. One-hundred and twenty enamel or dentin specimens from freshly extracted bovine mandibular incisors were used. The specimen was treated with 32%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and rinsed for 20 second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means of wet bonding technique or dry bonding. One-Step$^{TM}$ adhesive were applied to the specimen.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7 days, and tensile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ond strengths and micro leakage values. Hence, higher bond strengths seem to be associated with lower microleakage, and vice versa (r=-0 50, p<0.05). 2. The Enamel/We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Enamel/Dry one, and Dentin/Wet group showed higher strength than Dentin/Dry one (p<0.05). 3. Microleakage was significantly less ill wet bonding than in dry one at dentin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et and dry bonding at enamel (p>0.05).

치질에 대한 접착수복은 건전한 치질을 보존하면서 유지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치질과 수복물 계면에서의 미세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임상에서 그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레진충전후 중합과정에서의 수축현상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한 변연누출은 술후 지각과민, 변연변색이나 이차우식과 아울러 치수병변의 유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치질과 레진수복물간의 접착강도를 강화시킴으로써 변연부위의 누출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많은 종류의 상아질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 검사와 미세누출 검사가 행해졌으나 접착강도와 변연누출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치를 이용한 동일시편에서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의 정도를 측정 후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의 하악 전치를 이용하여 법랑질 또는 상아질 시편을 각 군마다 30개씩 준비하였다. 32% 인산으로 15초 처리 및 20초 수세 후 치질처리 방법에 따라 법랑질/완전 건조시킨 군, 법랑질/습윤상태의 군, 상아질/완전 건조시킨 군, 상아질/습윤상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시편을 One-Step$^{TM}$ adhesive를 적용 후 Charisma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그 후 2% methylene blue에 1주일 간 침잠시킨 후 24시간 흐르는 물에 수세한 뒤 인장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접착 강도 측정 후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색소의 침투 면적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법랑질 및 상아질 군 공히, 접착강도와 미세누출을 비교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접착강도가 높을수록 미세변연누출은 적게 나타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r=-0.50, p<0.05). 2 법랑질 군 및 상아질 군 공히, 습윤상태의 시편이 완전히 건조된 시편에 비해 높은 집착강도를 나타내었다 (p<0.05). 3. 상아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이 건조시킨 군 사이에 유의하게 적은 미세변연 누출을 나타낸 반면(p<0.05), 법랑질에서는 습윤상태의 군과 건조시킨 군 사이에 미세변연 누출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