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토리텔링 수학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초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shown by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based on CBAM)

  • 차민경;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417-44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nd analyze the stages of concern, level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of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mong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And then the researcher derives support strategies for the educa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at which levels and how actual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also how they adopt it. In addition, the researcher l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eeking proper supporting strategies for helping elementary teachers implement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and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teaching activitie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ages of concern, levels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concern and their educational practice regarding storytelling-based math education.

스토리구성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ssons Applying Story Making i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 장유진;최재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1-250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직육면체의 겉넓이와 부피'와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학년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동질집단인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검사와 수학적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학적 태도의 구체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장면에서의 학생 발화 및 행동 관찰 분석, 학생의 학습장 및 학습지 기록 분석, 학생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모두 실험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학습 활동에서도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학습자료 개발 및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중학교 1 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특성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storytelling' shown on the first grader's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49-161
    • /
    • 2013
  • This study was to focus on analyzing about the composition of storytelling in the first graders' math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which were recently implemented. The textbooks published by three well known publishing companies were chosen and three graduate students had scored the frequency of the problem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storytelling. As the results, in areas of mathematics, Number & Operation(44.23%), Letters & Formula(44.53%), Function(46.53%), Probability(41.67%), Geometry(46.23%) showed to have storytelling in balance. The type of 'explosion of mathematical history(EMH)' was shown in geometry most, the type of 'connection to daily life(CDL)' in statistics most, and the type of integration of disciplines(ID)' in geometry most in 5 math areas. Among three types of storytelling, the type of EMH was shown fewer that other 2 types. If we develop more problems in this type, students would study mathematics in-depth according to Freudenthal's principle of historical reinvention.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내용 분석 및 활용실태조사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Storytelling in Mathematics Textbooks & Research on the Actual Teacher-Student Condition centered on Senior High School)

  • 강옥선;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7-358
    • /
    • 2014
  •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 1월에 '수학교육 선진화 교육'을 발표하며 주요방향 및 과제로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을 제시하며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교과서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I 교과서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어떻게 적용하였는지 분석해 보고, 고등학교 1학년 교사와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와 활용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 정단비;김지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1-175
    • /
    • 2015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 실행해 본 이후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각 내용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활동을 20회로 구성하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함양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려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77-297
    • /
    • 2014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수학적 지식 외에 어떤 STEAM 관련교과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단원별, 수학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단원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이 제일 많았고, 스토리텔링이 아닌 인문과학적 내용,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으나 음악교과와 관련된 내용은 매우 적었다. 또한 영역별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규칙성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인문과학(스토리텔링)적 내용과 체육교과와 관련된 내용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단원별, 영역별로 STEAM 관련교과 내용의 개수는 편차가 매우 심하여 다양한 STEAM 자료 개발이 요구된다.

스토리텔링 수학수업의 예상되는 문제점과 해결방법의 모색 (Expected problems for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and some suggestions)

  • 김연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97-516
    • /
    • 2013
  • Inspite of many strengthens of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some problems are expected: when math is taught in concrete contexts, students may have trouble to extract concepts, to transfer to noble and abstract contexts, and they may experience inert knowledge problem. Low achieving students are particularly prone to these issues. To solve these problems some suggestions are made by the author. These are analogous encoding and progressive formalism. Using analogous encoding method students can construct concepts and schema more easily and transfer knowledge which shares structural similarity. Progressive formalism is an effective way of introducing concepts progressively moving from concrete contexts to abstract context.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orytelling-based Mathematics Textbook)

  • 박윤자;김권욱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87-607
    • /
    • 2015
  • The 4th grade storytelling-based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in 2013. This study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storytelling, the reconstruction of storytell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textbook and their feelings of the storytelling lessons. For this objective, we administered the open and multiple choice surveys to fifty 4th grade teachers who had taught storytelling mathematics in 2013~2014 school years, four of them gave in-depth interview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nd reliable settlement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중학교 통계단원에 대한 스토리텔링 학습 자료의 수업 적용 효과 (Effects on storytelling materials of statistics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lesson)

  • 김신영;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35-3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n storytelling materials of statistics in the middle school classroom lesson. For this purpose, a story is developed by the Zazkis & Liljedahl's model and applied to the 7th graders of 4 classes in a middle school. After the comparison between 5 hours of storytelling lessons and ordinary lessons,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are obtained. First, storytelling material bring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is also shown by the qualitative analysis that this result was caused by cognition of data observation, data transformation, and unification of data with context. Second, storytelling material bring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attitude. It is also validated by the qualitative analysis that students show the positive change in mathematical value cognition and the interests in the les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