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터브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1초

선박 내 무선 시스템을 위한 UWB용 CPW-FED APERTURE 안테나 설계 (Designs on CPW-FED Aperture Antenna for UWB Applications for Wireless System in a Ship)

  • 김갑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7-35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선박 내 무선 장비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CPW 급전 UWB 개구면 안테나를 설계하고자 한다. 설계 되어진 안테나는 그라운드면 위에 직사각형을 떼어낸 모형과 버섯형태의 스터브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버섯형태의 스터브는 간단하고 적은 변수를 갖는 것과 동시에 원하는 UWB 대역에 맞는 가장 적절한 값을 구해내기에 편리하다. 안테나의 작은 홈의 크기는 $21.1{\times}8.1mm^2$이며 두께는 1.5mm에 유전율이 4.3을 가지는 FR-4에 제작되었다. CPW fed 평면 슬롯 안테나는 무선 주파수의 안테나에서 전파를 선택하여 증폭 시킨 후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회로와 함께 광대역, 저비용, 간단히 집적화 시킬 수 있는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 PDF

CPW와 개방 스터브가 병렬 연결된 전송선로를 이용한 비대칭 이중대역 Wilkinson 분배기 (Unequal Dualband Wilkinson Divider Using CPW and Shunt Connected Open Stub Transmission Lines)

  • 권상근;김영;윤영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9-64
    • /
    • 2016
  • 본 논문은 CPW와 개방 스터브가 병렬 연결된 전송선로를 사용하여 높은 분배 비율의 비대칭 이중대역 분배기를 나타내었다. 이중대역 설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된 전송선로의 구현은 낮은 임피던스의 전송선로는 짧은 선로와 병렬로 개방 스터브가 주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그리고, 높은 임피던스 전송선로는 CPW 선로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두 종류 전송선로를 이용한 이중대역 분배기의 설계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중심 주파수가 1 GHz와 2 GHz인 10:1 비대칭 이중대역 전력분배기를 제작하였고, 이것의 측정 결과 특성이 시뮬레이션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화학플랜트 고온고압부 설계 효율화를 위한 일관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Integrated Design System for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Parts for Chemical Plants)

  • 정동관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6
    • /
    • 1998
  • 중화학 플랜트의 고온고압 요소인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의 드럼, 헤더 및 헤더 스터브 설계에 응력해석에서 부터 도면자동작도, 제작용 서류 자동생성에 이르기까지의 제반설계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결시킨 설계정보 통합 관리로 단순 설계오류를 줄이고, 또한 설계변경에 대해 신속한 재설계가 가능한 효율적인 설계를 도모하기 위하여 "피로수명을 고려한 헤더스터브 형상설계 모듈", "TRD301을 기초로한 후육내압부 운전조건(기동/정지 조건) 및 수명평가 모듈", "헤더 및 드럼부 자동작도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형상설계 모듈을 이용하여 설계된 스터브 형상을 토대로 수명평가 모듈로 수명을 평가한 후 상세설계 도면 및 관련 서류의 자동작도로 이어지는 일관된 종합설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슬롯과 개방 스터브의 특성을 결합한 소형 저역통과 여파기 (A Compact and High Performance Lowpass Filter using Combined Characteristics of Slot and Open Stub)

  • 김경훈;김상인;박익모;임한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6-4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접지면의 슬롯과 급전면의 병렬 개방 스터브를 이용하여 초광대역의 저지대역과 우수한 cutoff 특성을 갖는 저역통과 여파기를 제안하였다. 슬롯과 병렬개방 스터브로 형성된 저지대역을 중첩 시켜 매우 넓은 저지대역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접지면에 형성된 두 슬롯 사이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기존의 저역통과 여파기보다 우수한 cutoff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한 여파기는 20.1 mm ${\times}$ 18.7 mm의 크기로 통과대역 삽입손실은 1 ㎓까지 -0.4 ㏈ 이하이고 1.187 ㎓에서 -3 ㏈ 차단 주파수를 갖는다. 저지대역은 -20 ㏈ 기준으로 1.33 ㎓에서 20 ㎓ 이상의 광대역을 이루어 이상적인 여파기에 가까운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스터브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렉테나 설계 (A Broad-band Rectenna Using Stub Filter)

  • 오경민;이현욱;남희;윤기철;홍태의;이대성;황학인;이종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6-9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평면 모노폴 안테나와 광대역 대역통과 스터브 여파기를 이용하여 2.45 GHz에서 무선전력 전송이 가능한 광대역 렉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평면형 안테나의 크기를 표면전류분포를 이용하여 방사체와 접지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고, 광대역 효과를 얻기 위해 확장된 접지면에 2차 고조파가 제거된 스터브 여파기를 사용한 정류회로단을 효율적으로 집적화 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렉테나는 부하저항이 270 Ohm에서 80% 의 RF-to-DC Power 최대 변환 효율을 보이며, $1.8{\sim}2.8$ GHz의 넓은 대역에서 RF-to-DC Power 변환효율이 50% 이상을 유지한다.

  • PDF

포크 형태의 개방형 스터브 및 SIR 구조를 이용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a Dual Band-pass Filter Using Fork-type Open Stubs and SIR Structure)

  • 이태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52-264
    • /
    • 2023
  • 본 논문은 λg/2 개방형 SIR 구조와 전송선로와 대칭 및 비대칭 개방형 스터브를 가진 포크-형태의 구조를 일체화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가 설계에 대해 제안을 한다. 이중대역 효과를 얻기 위해, 제안된 여파기는 SIR 구조를 이용했고, SIR 구조의 임피던스 비율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여파기의 고조파는 임피던스 비율의 조절을 통해 위치가 이동하게 되며 이는 이중대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해 SIR 구조를 반으로 나눈 상태에서 SIR 구조 사이에 개방형 스터브를 삽입하여 이중대역 효과를 얻는다. 또한 포크 형태의 구조에서 개방형 대칭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두 번째 주파수 응답을 얻는다. 포크 형태에서 비대칭 개방형 스터브는 길이의 조절을 통해 최적의 대역폭을 얻는다. 그러므로 제안된 대역통과 여파기의 첫 번째 중심 주파수는 5.896 GHz이며 대역폭은 13.6 % 이다. 이때, 측정 결과는 0.13 dB 및 33.6 dB이다. 두 번째 중심 주파수는 5.906 GHz이며 대역폭은 13.6 % 이다. 이때, 측정 결과는 0.15 dB 및 19.8 dB이다. 그 이유는 임피던스 비율(Δ)이 1보다 높으면 고조파의 위치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임피던스 비율(Δ)이 1보 낮아지게 된다면 고조파의 위치는 높은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설계된 여파기의 기능은 측정 결과에서 얻을 수 있다. 제안한 대역통과 여파기는 입출력의 결합구조와 비아 홀이 없기 때문에 결합손실과 비아 에너지 집중 손실이 없다. 그러므로 성능이 우수하여 시스템 집적화가 가능하며 교통통신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시스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락 스터브를 이용한 이중대역용 브랜치 라인 커플러의 설계 (Dual-Band Branch-Line Coupler Using Shorted Stubs)

  • 김종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54-59
    • /
    • 2013
  •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는 브랜치 라인 커플러를 나타낸다. 새로운 설계 구조에서는 단락 스터브가 병렬로 추가된 전송선로가 2개의 주파수에서 $90^{\circ}$의 위상 천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안하는 브랜치 라인의 특성 임피던스와 전기적 길이는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조정된다. ABCD 행렬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설계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설계 개념을 검증하기 위하여 0.8 GHz 및 1.85 GHz에서 동작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커플러를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단락 스터브 정합 회로를 이용한 ISM band의 소 신호 증폭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Small Signal Amplifier Using Short Stub Matching Network)

  • 이승훈;황용호;송우영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1 No.1
    • /
    • pp.239-24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self-bias 구조를 갖는 소 신호 증폭기에 대해 논의된다 주파수 영역은 ISM band (Industria1/Scientific/Medical band) 인 무선 랜 (WLL : Wireless Local Loop) 대역 5.8GHz 에서 설계하였다. 제시된 self-bias 구조는 단일 전원만을 사용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입력 단에서 RFC (λ/4 전송선로)를 제거하고 매칭 회로에서 단락 스터브를 사용함으로 구조를 간단히 하였다. 이러한 bias조건에서 FET의 이득은 11dB이고 회로 설계 후 측정 결과는 입력 반사 손실 -16.455dB, 이득은 8.095dB이다. 이 소 신호 증폭기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된 장점 뿐 만 아니라 무선 랜 분야에서도 충분히 응용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광대역성을 위한 장방형 스터브를 갖는 T-모양 급전선 마이크로스트립 슬롯 안테나의 해석 (The Analysis of the Wideband T-shaped Microstripline-fed Slot Antenna with a Rectangular Stub)

  • 장용웅;윤종철;박익모;신철재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5D권9호
    • /
    • pp.13-19
    • /
    • 1998
  • T-모양의 마이크로스트립 급전 구조를 갖는 슬롯 안테나는 정합을 쉽게 이룰 수 있고 대역 폭이 기존의 급전 구조의 슬롯 안테나에 비하여 넓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 폭을 더 넓일 수 있는 급전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즉 T-모양 급전 구조에 병열 개방 스터브를 부착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FDTD 법으로 모델링하여 전계분포를 시간 영역에서 계산하였고, 이를 Fourier 변환시켜 슬롯 안테나의 전압 정재파비, 입력 임피던스, 복사 패턴을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스터브의 위치(L₁)와 길이(L₂)에 따라 대역 폭이 변화하였으며, L₁=30 mm, L₂=33mm일 때 중심 주파수 2.3 GHz에서 최대 대역폭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최적의 안테나를 설계 제작하였고, % 대역 폭은 53.9 %의 광대역 특성을 얻었으며, 이들 결과들은 계산값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λ/4 개방형 CRLH 스터브와 LH 전송 선로를 이용한 주파수 체배기 설계 (A Design of Frequency Multipliers Using λ/4 Open Composite Right/Left Handed Stub and Left Handed Transmission Line)

  • 서수진;박상근;최흥재;정용채;임종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271-12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omposite right/left-handed 전송 선로를 이용한 주파수 체배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주파수 체배기의 left-handed 전송 선로는 기본 주파수($f_0$) 성분을 억압하였고, composite right/left-handed ${\lambda}/4$ 개방 스터브는 원하지 않는 고조파 신호 성분들을 제거하였다. Left-handed 전송 선로와 composite right/left-handed ${\lambda}/4$ 개방 스터브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 오직 3차 및 4차 고조파와 같은 원하는 고조파 신호들만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기본 주파수를 1 GHz로 하는 주파수 체배기를 설계하고, 측정하였다. 설계된 주파수 체배기의 입력 전력을 0 dBm으로 하였을 때, 측정된 3차 체배기와 4차 체배기의 출력 전력은 각각 -5.67 dBm과 -6.43 dB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