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타일 유형화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현대 밀리터리 룩에 나타난 전환적 디자인 발상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Design Ideas in Contemporary Military Look)

  • 가설교;김현주;윤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265-2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여성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밀리터리 룩의 전환적 디자인 발상 사례를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밀리터리 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패션 컬렉션 사례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례 분석을 통해 총 6개의 전환적 디자인 발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디자인의 구조 변화로 탈중심 유형, 확장과 축소의 유형, 소재 전체 변화, 혹은 일부 소재의 전환, 마지막으로 스타일링에 해당하는 이질적 조화와 유기적 결합에 따른 유형이다. 분류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특성이 도출되었는데, 첫째 구조적 요소의 재구성, 둘째 믹스매치의 매터리얼 확장, 셋째 스타일링의 감성적 융합이다. 뉴 밀리터리 룩의 전환적 발상 유형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 발전의 원동력이 되며, 패션디자인 전반에 걸친 시대적 현황과 변화를 읽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기를 바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화와 유형별 예술상품소비행태분석 (A Classification of the Consumer and the Art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 김정은;정순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7권1호
    • /
    • pp.1-2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and analyze the art consumption behavior of them that are classified. Data were obtained form 390 people over 20 years of age.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examining dimensions of lifestyles and cluster analysis for classifying the type of lifestyles. This study found three different types of lifestyles, i.e., the conspicuous consumption-oriented type, the economical future-oriented type and the progressive leisure-oriented typ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t consumption behavior as well a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mong three types of lifestyles.

  • PDF

학과 점퍼에 대한 인식 유형화 (Type of Recognition for Department Jumpers)

  • 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01-60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과 점퍼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인식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1유형의 경우 학과 점퍼는 학과에 대한 소속감을 주고 학과를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 학과 점퍼를 착용하면 행동을 조심하게 되지만, 활동이 편하고 주변 사람들의 좋은 평가를 이끌어내며 나의 신뢰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2유형의 경우 학과 점퍼는 활동하기 편하고 유행을 따르지 않는 무난한 디자인이라 만족스러우며, 학교 갈 때 늘 착용한다고 하였다. 제3유형은 학과 점퍼를 착용하면 동질감과 소속감을 준다고 하였고, 학과 점퍼가 유행을 따라가는 스타일이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학과 점퍼 착용에 긍정적이고 잘 맞는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대학생들의 학과 점퍼도 하나의 유니폼으로써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과의 이미지나 상징성을 잘 나타내고, 활동량이 많은 대학생들의 신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맞음새가 우수한 학과 점퍼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게임라이프스타일에 따른 e스포츠 행동 및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lifestyle and e-Sports Patterns: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 손영미 ;이장주 ;김정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4호
    • /
    • pp.29-52
    • /
    • 2007
  • 본 연구는 게임 및 e스포츠 게이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e스포츠 행동 및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게임라이프스타일 즉, '함께형', '솔로형', '일탈형', '초심자형', '매니아형'이 추출되었으며, 각 유형에 따라 e스포츠 이용행태와 e스포츠에 대해 갖는 의미 그리고 사회심리적 성격(이타성, 사회성, 공격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일탈형'과 '매니아형'의 경우, e스포츠 및 게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면서, e스포츠와 게임에 대한 경쟁심이 높고,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인기와 우월감을 느끼는 자기제시의 도구로 삼는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일탈형'은 사이버상의 일탈적 언행에 대한 기준이 타 군집에 비해 허용적인 편이며, 타 군집 중에서 이타성과 사회성 점수가 낮고, 공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난 반면 '매니아형'은 게임 속에서의 일탈적 언행을 허용하지 않으며, 게임 속이라도 기본적인 윤리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며, 타 군집에 비해 이타성, 사회성 점수가 높고, 공격성 점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초심자형'의 경우, '매니아형'과는 달리 e스포츠 게임을 한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e스포츠게임에 참여하는 시간과 시청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게임 자체에 대한 매력을 적게 느끼며, 게임을 선택할 때도 학습과 조작이 쉬운가(용이성)가 중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아케이드 게임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다. 또한 e스포츠를 일상생활이나 건강 등을 방해하는 중독의 위험이 있는 여가활동으로 간주하는 등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게임 및 e스포츠 교육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 이미지 평가와 선호 (A Study on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Image Classific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 심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608-1617
    • /
    • 2006
  •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fashion, it is important for consumers to find out under what kinds of reasons consumers choose and prefer the clothing products as consumers are interested in clothing and have variety of their styles to choose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elf-image of the middle-aged wome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also to inquire into the evaluation of clothing by each group. Data a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4 to October 31, 2005 from 350 middle-aged women in Daegu; 275 a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analysis is performed using SPSS Package, which included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self-image, the five factors which are intelligent image, social image, fashionable image, female image, bold image are extracted. Beside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three types which are female-type, neuter-type, male-type are classified. 2. The middle-aged women regard the classic style as their best style for outgoing and then they like the casual style, elegant style, dramatic style in order. 3.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clothing image, the four factors which are dignity, attraction, simplicity activity are extracted. 4. According to self-image types, there are differences for clothing image and preferring clothing styles. While female-type groups choose the elegant style, neuter-type groups regard the classic style as their best style and male-type groups regard the casual style as their best style. In case of daring style, the preference shows the lowest among all the types unrelated to self-image types.

메타버스형 플랫폼에 나타난 확장공간의 인터페이스 특성 유형분석 (Appear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yping the Interface Properties of the Extended Space)

  • 장진하;임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4-105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기술발전과 환경의 변화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성을 비교하여 혼합현실과 증강현실 등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공간 이용행태의 분석을 통해 특성을 도출하여 유형화 하였다. 혼합,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메타버스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공간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라이프스타일, 기술 변화를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세계적으로 가치 있는 기업으로 선정된 '빅테크'(Big Tech)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는 인간의 감각을 확장시켜 경험하게 하는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Simulatracing, Immersense, Tranconnect, Explorience interface의 네 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메타버스에서의 확장된 공간 경험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분야의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페이스디자인 (Digital Face Design with Reference to Contemporary Fashion)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63-371
    • /
    • 2020
  • 패션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미 전 세계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며 패션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친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증강현실 기반의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대표적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이를 관통하는 지향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패션산업의 전개 방향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대중에게 디지털 필터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을 제공하는 3D 디자이너 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지향 가치를 관찰한 결과 실험적 조형 지향, 유희적 경험 지향, 미래적 기술 지향 등의 세 가지 경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으로 범위를 한정한 것이나, 이를 통해 나타난 결론들은 패션의 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항들이다. 이에 앞으로 페이스디자인의 범위를 넘어선 디지털 증강현실 기반의 패션디자인과 패션커뮤니케이션 관련의 새로운 현상에 대한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친환경 태도와 친환경의류제품 구매에 따른 여성 소비자의 유형화 및 특성 (Female Clustering &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nvironmental Attitude and Eco-clothing Purchase)

  • 한동일;김준호;나영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15-824
    • /
    • 2013
  • This study divides female consumers according to eco-friendly attitudes and the purchase frequency of eco-clothing product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 terms of LOHAS lifestyles, the attitudes for eco-clothing products, and satisfaction. Eco-clothing attitudes of female consumers were lower than eco-friendly attitudes. A total of 360 femal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4 group according to purchase frequency and the eco attitude, Type 1: survival (33.0%), Type 2: wellbeing (25.6%), Type 3: curious (15.0%), Type 4: LOHAS (26.4%); in addition, age, income, marit alstatus, occupation, LOHAS lifestyle and shopping places were differentiated by type. Type 1 (low eco attitude and low eco-clothing purchase) were composed of the youngest, college students, low income, low level of LOHAS lifestyles and low level of eco-clothing attitude. Type 2 (high eco attitude and low eco-clothing purchase) were interested in healthy eating & exercise among LOHAS lifestyles; in addition, Type 1 & 2 showed alow level of eco-clothing satisfaction. Type 3, low eco attitude and high eco-clothing purchase, were characterized with high expenditures on clothing relative to income as well as lower levels of family activities and leisure life than LOHAS Type 4. Type 4 (high eco attitude and high eco-clothing purchase) were the oldest group and mostly composed of married workers (the highest income) with the highest LOHAS lifestyles and the highest level of eco-clothing satisfaction.

정원 공간 유형의 특성에 근거한 기호화 연구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의 대상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symbo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ind of garden space -Focusing on the target area of the artist's garden exhibited at the Seoul Garden Fair in 2017-)

  • 김다경;전형순;유택상;왕경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97-123
    • /
    • 2019
  • 본 연구는 정원 단위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기호화함으로써 공간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원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정원 디자인을 위한 논리적 토대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공간 유형에 관한 이론으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요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사례 대상지는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원 공간 특성과 그에 따른 포지티브와 네거티브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시각적 공간, 조각적 공간, 건축적 공간, 환경적 공간의 4가지 공간 유형 특성과 메트릭스로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공간의 특성이라는 정성적 주제에 대한 연구는 그 특성 상 연구자의 주관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연구는 개인의 취향에 좌우되는 정원의 해석과 평가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존하는 정원디자인에 참조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디자인의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