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ymbo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ind of garden space -Focusing on the target area of the artist's garden exhibited at the Seoul Garden Fair in 2017-

정원 공간 유형의 특성에 근거한 기호화 연구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의 대상지를 중심으로-

  • Kim, Da 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Jun, Hyung S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Yoo, Taek Sang (The Graduate School of Life Style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Wang, Kyung Hee (Department of Horticultueal design, Singu College)
  • 김다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전공) ;
  • 전형순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경전공) ;
  • 유택상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
  • 왕경희 (신구대학교 원예디자인과)
  • Received : 2019.01.25
  • Accepted : 2019.02.20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of garden and to classify and symbolize it, to provide the basis for analyzing the wor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o provide the data that can become the logical foundation for garden design. The research method first analyzed the behavioral scene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the theory about the space type. It controls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or the garden image based on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the expert, It i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at aims to increase credibility. The actual case target was the author garden which was exhibited at the 2017 Seoul Garden Expo.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simpl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positives and negatives accordingly. We have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pace, sculptural space, architectural space, and environmental space.. Research on qualitative topic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an not completely exclude the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but such research can provide a rationale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gardens that depend on the individual's taste..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by providing reference materials for garden designs that rely on designer intuition, or by providing a logical basis for design.

본 연구는 정원 단위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기호화함으로써 공간의 특성에 근거하여 정원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정원 디자인을 위한 논리적 토대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공간 유형에 관한 이론으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요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사례 대상지는 2017년 서울 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원 공간 특성과 그에 따른 포지티브와 네거티브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시각적 공간, 조각적 공간, 건축적 공간, 환경적 공간의 4가지 공간 유형 특성과 메트릭스로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공간의 특성이라는 정성적 주제에 대한 연구는 그 특성 상 연구자의 주관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연구는 개인의 취향에 좌우되는 정원의 해석과 평가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의 직관에 의존하는 정원디자인에 참조할 만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디자인의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