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가전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Low Performance Electronics Evolved into Smart Appliances (스마트 가전으로 진화된 저사양 생활가전)

  • Back, Jonghui;Kim, Kyos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9
    • /
    • pp.107-115
    • /
    • 2013
  • Smart appliances with multi-media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provide users complicated convenience functions. On the contrary, 8-bit controller-based low performance electronics still cannot afford such multimedia and telecommunication. If we find a way to have low-end electronics connected and provide complicated functions, they can be also made "smart". Fortunately, 8-bit controllers used in low-end appliances have UART, which can be connected to any of BlueTooth, Wi-Fi and ZigBee communication modules which can, in turn, communicate with smart devices. Any communication module can be attached to the low-end electronics due to the variety of smart devices' connectivity at the other side. Although the convenience functions seem complicated, they are actually macros in a script form composed of micro commands which implement the base functions of appliances. Since the kinds of the base functions are not that many, the low-end electronic appliances will become "smart" if their control program can be extended to execute sequentially the micro commands in any combination. Such simple innovation has not seen the world, until now due to the overhead of the additionally required hardware such as display devices and buttons. The high-quality display and touch screen functionalities of smart devices can replace the required hardware, and remove the overhead completely. In fact, the low-end appliances become smart as if an "evolution kit" is newly equipped.

A Study on Personal Environment Service on the Smartphone (스마트폰 중심의 개인환경서비스 연구)

  • Yun, Ho-Young;Kim, Jong-Ho;Park, Sun-Hwa;Jung, So-Hee;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69-1172
    • /
    • 2011
  • 본 연구는 고가의 인프라 구축이라는 제약 때문에 현재까지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있는 홈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스마트폰 중심의 개인환경서비스(PES : Personal Environment Service)를 연구하였다. 개인환경서비스는 스마트폰과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모듈이 탑재된 가전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파일을 교환하여 가전기기를 자동으로 설정해 주며 프로파일은 서비스 서버에도 전송되어 지속적으로 갱신, 사용자에게 편리한 생활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스마트폰 중심의 개인환경서비스의 데모 시스템 구조 및 시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데모시스템의 스마트폰 플랫폼은 구글 사의 안드로이드 2.2 (Froyo) 버전이며, 지능형 가전기기와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와 서비스 프로파일을 교환한다. 가전기기는 PC, 난방기기, 가스렌지, TV, 라디오 총 5가지를 구현하였는데 실제 가전기기를 구현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PC를 제외한 가전기기는 블루투스 임베디드 보드에 LCD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모의(pseudo) 가전기기로 대체하였다.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은 각각의 가전기기별 선호도를 환경설정을 통해 설정할 수 있게 하였고, 선호도를 설정하면 가전기기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전송받아 자동 설정해 준다. 서비스 서버는 스마트폰과 가전기기의 모든 로그를 전송받아 패턴분석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자동으로 설정해주어서 사용자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생활환경을 제공받게 된다. 개인환경서비스는 현재 표준화 규격 개발을 위해 제조업체, 이동통신사, 연구소, 대학교 등에서 활발히 연구 중에 있으며, 향후에는 현재까지 개발된 데모 시스템을 토대로 프로토콜을 연구, 수립하여 표준화 규격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The Design of an Adaptive service that is adoptable in smart CEs embedded thin client module using hybrid home-cloud (경량 스마트 가전에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홈 클라우드 기반 적응형 서비스 설계)

  • Jung, Jong-Jin;Lim, Tae-Beom;Lee, Su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210-212
    • /
    • 2012
  • 하이브리드 스마트 홈 클라우드 플랫폼/서비스 기술은 가정 내 외 클라우드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수정되는 다양한 콘텐츠, 응용 프로그램, 스마트 가전, 개인 생활 정보들을 융합 관리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스마트 가전 등을 통하여 다양한 스마트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이다. 이에 본 논문은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안정성, 보안성, 종속화등 Public Cloud에 대한 거부반응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 또는 흠단위로 스마트 콘텐츠를 서로 공유할수 있는 댁내 Private 클라우드와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및 소셜 그룹간의 공유가 가능한 댁 외 Public 클라우드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다양한 콘텐츠, 용용 프로그램, 스마트 가전, 개인 생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하고, 서비스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량화 스마트 가전(Thin/Zero Client)에 동시 적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홈 클라우드 단말 서버 플랫폼 기술을 연구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가전기기 제어시스템 구현)

  • Jeon, Byung-Chan;Choi, Gyoo-Seok;Lee, Sang-J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3
    • /
    • pp.67-74
    • /
    • 2011
  • With the rapid increase of recent smart phone diffusion, the convergences of home network environments and intelligent home appliances such as digital TV, internet refrigerator, DVD, digital video, communication appliance using a smart phone are highly focussed and become the recent trends in IT industr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based on the smart phone(Android) network environments. Through several experiments using Android smart phone,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control and monitor indoor home appliances conveniently anywhere and anytime from outdoor.

Implementation on Wi-Fi/IR Gateway and Smartphone Application for Integration and Control of Consumer Appliances (가전제품 통합 제어를 위한 Wi-Fi/IR 게이트웨이 및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구현)

  • Ryu, Won Jae;Chae, Seog;Shin, Soo Young;Kim, Young Hyung;Jung, Dong 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2 no.4
    • /
    • pp.879-888
    • /
    • 2017
  • Recently, the Smart household appliances to provide Smart services have been actively spreaded by providing IoT(Internet of Things). Also, the appliances which Wi-Fi and Bluetooth can directly control are preferred. But until now, the most household appliances are based on IR(InfraRed) and the each procotols of them are different.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suggested the system to control both smart appliances and general appliances by using Smart phone. The system is "Wi-Fi to IR" gateway which receives the Wi-Fi signal to convert to IR signal and transmit it. Also, we made the remote control function in specific brands' appliances possible to most brands without limitation and tried to control not only one remote controller for one TV brand but also for all brand without limitation.

The Development of Ecobot Robot for Friendly Environment Smart Home Appliance Application System (친환경 스마트 가전 응용 시스템용 Ecobot 로봇 플랫폼 개발)

  • Moon, Yong-Seon;Bae, Young-Chul;Cha, Hyun-Rok;Roh, Sang-Hyun;Park, Jo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4
    • /
    • pp.480-485
    • /
    • 2010
  • In this paper, we developed mobile robot platform called Ecobot for the application system of friendly environment smart home appliance. Ecobot fulfills the purposes of monitoring of the healthy environment and guidance in the application system of friendly smart environment home appliance, home network formed by Zigbee network. For the healthy environment, the system contains monitoring sensor. Moreover, it continuously keeps the healthy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smart home appliances linkng with Zigbee network. And also using the URG-04LX laser distance sensor, it monitors indoor environment through autonomous moving and collision avoidance.

Program and Technical Trends for Standby Power in Smart Electronic Appliances (스마트 가전의 대기전력 프로그램 및 기술 동향)

  • Kim, T.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2
    • /
    • pp.86-96
    • /
    • 2013
  • 본고에서는, 국내외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 소개를 통해서 스마트 가전 시장의 대기전력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해당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장기적인 스마트 가전 소모전력 감소를 위한 기술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전력반도체를 통한 수동대기 상태의 소모전력 감소 기술과 능동대기 상태의 소모전력 감소 기술개발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더불어, 대학 및 연구소를 통한 장기적 지속적인 원천기술 확보와 기업들의 실험적 접근을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의 동반 전략과, 더욱 강력한 대기전력 감소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폭넓게 증대시키는 전략적 접근이 바람직하다.

  • PDF

Switching Intention of Smart Appliance : A Perspective of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스마트 가전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ush-Pull-Mooring의 관점)

  • Park, HyunSun;Kim, Sang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2
    • /
    • pp.127-137
    • /
    • 2018
  • As the next generation technology, lead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progressed, the goods and services converged by the technology are being released in a market. The smart appliances among them attracts users' attentions as a key promising industry.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witching intention to smart appliances based on Push-Pull-Mooring framework. We collected 217 survey responses and 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2.0. The results show that functional deprivation, money deprivation, alternative attractiveness had an effect on the switching intention to smart appliances. In addition, low switching cost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variables and switching intention. The results expec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smart appliance-related companies.

Intelligent Home appliances Power Control using Android and Arduino (안드로이드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지능형 가전제품 전력 컨트롤)

  • Park, Sung-hyun;Kim, A-Yong;Kim, Wung-Jun;Bae, Keun-Ho;Yoo, Sang-keun;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854-856
    • /
    • 2014
  • Has been released of make it possible to control the using for smart devices of a wide variety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s in smart appliances in accordance with the one person multi devices. In addition, is increasing rapidly for the number of the product on cleaning robot and refrigerator, air conditioning, TV, etc. these devices are using the implement up DLNA system. And at home and abroad for development and has provided with Iot and Alljoyn such systems. But currently using home appliances or electronic devices of there are a lot of the operating system non installed than the installed products. In addition, smart appliances do not use for user than buying existing electronic products a lot more. In addition, more occur for smart appliances of that do not use for the user on smart appliances rather than buying existing electronics. In this paper, Suggested and implemented for system of control such as smart devices to existed home appliance on not have an operat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for want users to quantify the data to transfer from arduino board.

  • PDF

The Construction of Smart Appliances Tot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TV(IPTV) (스마트TV 기반의 스마트 가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 Yang, Chung-Ho;Hwang, Woohyun;Lee, Chang-Hee;Kim, Young-hyun;Geum, Dong-In;Kim, Suk-Cheol;Son, Sung-Yong;Hong, Jun-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39-40
    • /
    • 2015
  • 가정용 가전제품의 전력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은 인력과 ICT 융합형 관리시스템으로 가능하다. 인력에 의한 방안은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코드를 매번 콘센트와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있어 효과가 있음에도 활용도가 낮았다. 반면에 통합관리스템은 전체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플러그와 IPTV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의 차단과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용은 편리하게 하여 성과를 높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