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중독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 - Focusing on K university students)

  • 최현석;이현경;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1005-1015
    • /
    • 2012
  • 스마트폰이 2009년 국내에 첫 출시된 이후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편리해진 점은 많으나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 정도에 따른 문제점과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 해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중독 현상은 정신건강, 대인관계, 학교생활 등 여러 방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은 대인관계에 대한 직접효과도 유의하지만 정신건강이라는 매개와 학교생활이라는 매개에 의한 간접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어린이들의 게임 중독 예방 및 학습유도를 위한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Children's Game Addiction Prevention and Study Encouragement)

  • 신동훈;박준현;이진수;전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9-371
    • /
    • 2014
  • 스마트폰의 출현이후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2013년 7월, 3,600만 명의 이용자를 넘어섰다.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 연구로 나온 앱들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제한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을 제어하는 것에 문제를 풀어 제한을 풀어주는 것을 추가하여 학습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으로 어린이들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과 학습유도를 통해 생활에 지장을 주는 것이 줄어 들 것으로 예상된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college adjustment,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지현;박진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185-19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불안, 대학생활적응,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2-4학년 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를 동의한 173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불안과 스마트폰 중독은 양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 및 자기통제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과 자기통제는 스마트폰 중독의 36.0%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을 줄이고,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군사학과 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litary lesson students' self-control and stress coping behavior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 정순철;이영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1호
    • /
    • pp.6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기간이 1일 기준 사용시간이 1시간 이상자가 95.3%로 스마트폰이 개인 일상생활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차이도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도 유의미한 결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사용기간과 사용시간에 대하여 자기통제력이 필요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문제 지향적 대처방식이 요구된다는 것을 실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 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Experi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진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21-429
    • /
    • 2017
  • 청소년 및 성인기 초기 연령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접근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중독자를 선별하였고, 고위험군 중에서 최종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면담은 녹음과 녹취 과정을 거쳐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범주는 '중독의 악순환'으로, 세부 범주는 금단 증상의 자각, 다양한 부정적 결과 경험, 중독으로부터 탈출 시도, 중독된 현실에 안주함 이었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는 연구 참여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으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정서적, 대인관계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들을 이해하고, 중독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을 개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 living in a dormitory)

  • 이미영;강희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13-42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K시 소재 대학생 중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0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대인관계 문제, 스마트폰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울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숙사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높였다. 대인관계 문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숙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개인특성, 환경특성, 스마트폰특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 및 일상생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he Effects of Personal, Environmental, SmartPhone Characteristics Factor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Degrees and Dail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 안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9-50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특성, 환경 특성, 스마트폰 특성으로 나누어 이러한 특성이 스마트폰 중독정도 및 일상생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폰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어 스마트폰 중독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와 SmartPLS 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 특성 중 유능감과 관계성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특성 중 사회적 영향이 클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특성 중 편재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라 일상생활의 변화에 긍정적 및 부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켜 무조건 억제할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daptati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 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3-111
    • /
    • 2017
  •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스마트중독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광주 지역 소재한 대학교 38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은 4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보건계열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실태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3시간 미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은 대학생활 만족도와 전공 만족도에서는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마트폰 중독여부이었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Depending on Gender in College Students)

  • 홍은경;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0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성별을 구분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차이를 알아보고, 감각처리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작업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169명의 대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이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척도, 성인/청소년 감각프로파일로 구성된 설문지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2.0의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남학생 70명과 여학생 9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스마트폰의 사용하는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이용에서 가장 응답이 높았고, 그 다음 순이 오락이었다. 남녀 사이의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 합계(p=.000)와 가상세계지향(p=.008), 금단(p=.000), 내성(p=.000)에서 보였다. 남학생에서는 스마트 폰 중독과 모든 감각처리 요소와 영역이 관련성이 있었다(r= .236 ~ .603). 여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합계와 감각처리요소의 맛/남새 처리(r= .290), 시각처리(r= .324), 촉각처리(r= .214), 사분면 중 저등록(r= .214), 감각 민감(r= .243), 감각 회피(r= .217)와 중독합계가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평가 및 중재시 감각처리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martphone Usage by Elementary Schoolers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7-574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인성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4,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초등학생용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학년은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창의적인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4학년은 스마트폰 사용실태 변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창의적인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기간의 길이보다는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21세기 핵심역량인 창의인성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스마트폰 사용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