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중독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3초

마음의 창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ity type)

  • 백현기;하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239-2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가진 마음의 창 유형으로 개방형, 주장형, 신중형, 고립형의 네 기질들로 분류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소재 3개 중학생 406명 이었으며, 측정도구로는 Luft(1970)의 '조해리 마음의 창' 검사와 한국정화진흥원이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성별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점은 크지 않으나 남학생의 경우 내성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크고, 여학생의 경우 일상생활장애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차이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내성은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의 창 유형과 스마트론 중독간의 분석결과 주장형과 고립형은 스마트혼 중독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 반면, 개방형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마음의 창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지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마음의 창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심각한 유형은 신중형과 고립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중독을 치료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신중형과 고립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될 것이다.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6-6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및 스마트폰 중독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주관적 웰빙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스마트폰 중독의 개선을 위한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 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0-151
    • /
    • 2014
  • 본 연구는 가족기능성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스마트폰 중독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부산지역 초등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한 달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가족기능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영향을, 학교적응 유연성에는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 유연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사회적 관심제고를 위한 방안과 함께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적 개입을 위한 가정 및 학교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IT환경에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사회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Undergraduates' Smart Phone Addiction and Sociality in an IT Environment)

  • 김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671-167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스마트 폰 중독이 증가될수록 사회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중독의 하위영역으로는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경험지향, 금단, 내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성의 하위영역으로는 자신감, 사교성, 대인관계 등으로 구성되었다.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이 증가될수록 자신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상세계경험지향과 금단이 증가될수록 사교성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세분집단 간 스마트폰중독성향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스마트폰사용증가로 인해 사회적으로 그 중독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중독예방을 위한 합리적 사용방안이 사회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 불안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ult Anxious Attach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Stress)

  • 김은영;한승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381-38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재학생 272명(남학생 132명, 여학생 139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 불안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애착 불안이 스트레스의 지각과정을 통해 스마트폰중독을 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의 위험요인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이해를 돕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제공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양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D시, C도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하는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술 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하였고,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1일 스마트폰 사용시간(${\beta}=.300$, p<001), 성적 도움정도(${\beta}=.262$, p<001), 우울(${\beta}=.148$, p=.011)로 나타났으며, 모형 설명력은 28%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우울을 예방하는 적극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G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I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Adolesc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 김경하;노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82-59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는 G 광역시 중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과의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부모 양육태도, 적응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21.9% 설명하고 있으며, 이 중 부모양육태도(${\beta}=-.241$, p<.001)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적응유연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최동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29-437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따른 신체활동량, 수면, 주의력 조절 및 자기조절학습과의 차이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6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성적과 자가통제력은 낮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었다.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신체활동량, 수면의 질 및 주의력 조절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수면의 질이 낮은 경향이 있었고, 주의력 조절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일상적 건강과 학습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차원에서의 스마트폰 중독예방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cological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 조권형;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1-49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으로서 통학구역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역기능 실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통학구역은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비율이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를 선정하여 769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체계요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통학구역에 따라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역기능 실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통학구역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적인 성향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가정, 학교 및 사회가 협력해야 하는 문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Freshmen)

  • 강문희;오은진;김선희;박혁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88-49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음주문제 및 자해시도 경험 정도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C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참여한 대학신입생 마음건강실태 조사에서 최종 326부로, 수집된 데이터는 t-test,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자해시도의 경험과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I 결과,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해경험과 성별이며, 우울과 불안을 투입한 회귀모형 II 결과 우울, 성별이었다. 이처럼 대학신입생의 우울, 성별, 자해시도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높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신입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요인과 관련된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