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6.08.18
  • Accepted : 2016.10.04
  • Published : 2016.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t was conducted to measure research variables from 242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intrapersonal empowerment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intrapersonal empower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subjective well-being and intraperson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Third, intrapersonal empowerment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showed that subjective well-being more strongly negative effe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that could be taken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및 스마트폰 중독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웰빙과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는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웰빙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주관적 웰빙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스마트폰 중독의 개선을 위한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 조사, 2013.javascript:checkRefBr('', 'next');
  2. 남문희, 김혜옥, 권영채, "건강행태, 스마트폰중독 및 자살생각지수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0호, pp.557-569,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557
  3. 정구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4.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5.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67-98, 2013.
  6. 류미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여가관련변수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1호, pp.63-79, 2014.
  7. 이수진, 문혁준,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2권, 제 6호, pp.587-598, 2013.
  8. 박명준, 오종현, 신성만, "사회적 지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 실존적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4호, pp.1185-1205, 2014.
  9.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10. 봉원영, 정구철, "기독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영적 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6권, 제2호, pp.566-57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566
  11. 정병완, 홍혜영,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1호, pp.183-201, 2015.
  12. 최승미,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0권, 제1호, pp.55-75, 2015.
  13. 장혜진, 전영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cdot}$외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pp137-152, 2016. https://doi.org/10.5934/kjhe.2016.25.2.137
  14. M. A. Zimmerman, "Psychological empowerment: Issues and illustrati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3, pp.581-599, 1995. https://doi.org/10.1007/BF02506983
  15. N. A. Peterson, "Empowerment theory: Clarifying the nature of higher-order multidimensional construc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53, No.1, pp.96-108, 2014. https://doi.org/10.1007/s10464-013-9624-0
  16. 신선화, 박효정, "유방암여성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4 호, pp.613-624,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4.613
  17. N. B. C. Shearer, J. D. Fleury, and M. Belyea, "Randomized control trial of the health empowerment intervention: Feasibility and impact," Nursing Research, Vol.59, No.3, pp.203-211, 2010.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1dbbd4a
  18. B. A. Hunter, L. A. Jason, and C. B. Keys, "Factors of empowerment for women in recovery from substance us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51, No.1, pp.91-102, 2013. https://doi.org/10.1007/s10464-012-9499-5
  19. 권량희, "임파워먼트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가출 청소년의 우울,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소년보호연구, 제28호, pp.33-63, 2015.
  20. 주애란, 박인혜,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스트레스 및 임파워먼트 수준의 차이,"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37-57, 2005.
  21. 주애란, 박인혜, "중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임파워먼트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255-263,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2.255
  22. 김경미, 염유식,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부모관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성별 접근,"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5권, 제3호, pp.31-56, 2014.
  23. B. Bolton and J. Brooking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empowerment,"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43, No.2, pp.3-21, 1998. https://doi.org/10.1037/0090-5550.43.1.3
  24. 김희성,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14호, pp.91-113, 2002.
  25.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26. 강인설, 하지민, "예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93권, pp.171-198, 2015.
  27. 김경란, "서비스전달과정에서의 수요자 중심성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연구: 임파워먼트와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직업재활연구, 제24권, 제3호, pp.175-204, 2014.
  28. 오옥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1호, pp.45-65, 2014.

Cited by

  1.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vol.26, pp.3,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3.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