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순화율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초

몇 가지 나리 품종의 기내배양에서 배지의 물리성이 자구증식 및 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ological Properties in Culture media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Acclimation of Bulblets of Lilies Cultured in vitro)

  • 손병구;강점순;이용재;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40-744
    • /
    • 2002
  • 배지의 물리성이 몇 가지 나리 품종 자구의 기내 증식과 증식된 자구의 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내 인편배양과 자구배양에 의한 자구의 증식은 Oriental hybrid ‘Marco Polo’, ‘Casa Blanca’와 Asiatic hybrid ‘Jolanda’ 세 품종 모두 액체배지보다 고체배지에서 자구로부터 자구를 증식시켰을 때 형성된 자구의 수와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기외 순화단계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전배양이 고체배지였던 실험구가 생존율과 맹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전배양에서 자구를 실험재료로 이용했던 실험구가 인편을 이용하였던 것보다 맹아율이 다소 양호하였다.

딸기 조직배양묘의 생물반응기 배양 시 Flurprimidol 처리농도에 따른 기내 생장억제 및 순화율 향상 (Optimalization of Flurprimidol Concentration for Improvement of Acclimatization Rate and In Vitro Growth Inhibition in Bioreactor Culture of Strawberry Plantlets via Bioreactor Culture)

  • 김혜진;이종남;김기덕;권기범;유동림;임학태;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85-590
    • /
    • 2015
  • 본 실험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딸기 조직배양묘 대량증식 시 flurprimidol 을 처리하여 순화율을 향상시키고자 실시하였다. Flurprimidol 을 0, 0.1, 0.5, 1.0 및 $2.0mg{\cdot}L^{-1}$의 농도로 6주동안 처리하여 생육조사한 결과, flurprimidol을 첨가한 처리구의 생장량이 대조에 비해 감소하였고,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장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초장은 대조가 7.9cm인 것에 비해 flurprimidol 처리는 2.2-3.7cm 범위로 매우 짧아졌다. 뿌리수는 대조가 51.8개/주에 비해 flurprimidol 처리가 11.6-34.2개/주 범위로 감소하였다. 뿌리길이는 대조가 4.36cm에 비해 flurprimidol 처리는 0.88-3.08cm 범위로 크게 짧아졌다. 그러나 액아수는 flurprimidol $2.0mg{\cdot}L^{-1}$ 처리를 제외하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의 8.6개/주에 비해 많이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액아수가 증가할수록 그에 따라 잎수도 증가하였다. Flurprimidol $1.0mg{\cdot}L^{-1}$ 처리 시 뿌리가 부패하여 지하부 발달이 불량하였다. Flurprimidol $1.0mg{\cdot}L^{-1}$$2.0mg{\cdot}L^{-1}$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의 순화율은 100%로 대조에 비해 23.3% 향상되었다. 순화 4주 후, flurprimidol $0.1mg{\cdot}L^{-1}$ 처리는 생체중을 제외한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대조와 비슷하게 회복되었다. 따라서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딸기의 조직배양묘 대량 증식 시 순화율 향상을 위한 적정 flurprimidol 농도는 $0.1mg{\cdot}L^{-1}$였다.

네리네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Condition of Stor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Bulb Propagation of Nerine by Tissue Culture)

  • 한수곤;강찬호;임회춘;고복래;최정식;이왕휴;최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0-53
    • /
    • 2006
  • Nerine 대량증식을 위한 자구 저장 및 순화재배 조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온도와 기간별 자구 무게 참모율은 저온보다 고온에서 증가하였다. 따라서 조직배양 자구의 적정 저장온도와 기간은 86.4%의 출현율을 보이는 $15^{\circ}C$에서 12주가 적절하였다. 또한 기내 생산 자구의 적정토양순화 시기는 휴면타파온도인 $22^{\circ}C$이상 유지가 가능한 6월 상순이 적절하였다. 순화 재배시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적정 광원은 적색과 청색의 혼합파장에서 네리네 생육과 광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백합나무 체세포배 기내발아 방식에 따른 순화묘의 형태적 및 생리적 특성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cclimated Liriodendron tulipifera Tree Produced by Several Types of In Vitro Germination Culture)

  • 안찬훈;이재선;문흥규;김용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158-162
    • /
    • 2012
  • 기내배양된 식물체의 순화는 클론임업을 위한 건전한 식물체 생산에 중요하며 기내의 미세환경이 차후 기외생장에 영향을 미친다. 기외생장에 미치는 기내 환경조건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백합나무 어뢰형 체세포배를 재료로 반고체배지(SS), 순간침지 생물반응기(TIB), 연속침지 생물반응기(CIB)에서 배양시키고 식물체를 재생하여 배양 방식에 따른 순화 식물체의 생장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기내배양 조건에 따라 차 후 순화 식물체의 형태적 특성, 기공전도도, 증산율 및 엽록소 함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IB에서 배양된 식물체는 순화식물에서 바이오매스 생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IB 배양 식물체의 순광합성율은 SS와 TIB 배양 식물체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공전도도, 증산율, 세포간 air space에서의 이산화탄소 부분압은 SS와 TIB 배양 식물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TIB의 배양체는 여러 가지 생장특성에서 SS 배양체 보다 높거나 다소 낮은 값을 보여 SS, CIB 배양체보다 건전한 식물체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반응기에서 수확한 지황 신초의 발근과 순화 (Rooting and Acclimatization of Shoots Harvested from Bioreactor Culture in Rehmania glutinosa)

  • 고은정;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6-188
    • /
    • 2002
  • 생물반응기에서 배양 수확한 신초의 발근과 순화조건을 알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배지는 MS 기본배지의 농도를 반으로 줄이고 아가 농도를 1.2%로 하는 것이 신초의 발근과 순화에 유리하였다. 여과막이 부착된 배양병에서 신초를 생육시키는 것이 밀폐된 배양병에서 생육시킨 것보다 생육이 양호하고 생존율도 높았다. 배지에 paclobutrazol을 0.3-0.4mg/l로 처리한 경우 신초의 발근과 생육이 양호하였다.

딸기 조직배양묘의 생물반응기 배양 시 Polyethylene Glycol 처리에 따른 기내 생육억제 효과 및 순화율 향상 (Growth Inhibition of In Vitro Plantlets and Improvement of Survival Rate of Acclimated Plant of Strawberry according to Polyethylene Glycol during Bioreactor Culture)

  • 김혜진;이종남;김기덕;임학태;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77-882
    • /
    • 2015
  • 본 실험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딸기 조직배양묘의 대량증식 시 순화 생존율 향상을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PEG 6000)을 농도별, 처리시기별로 실험하였고 기내생육조사는 배양 6주 후에 실시하였다. 모든 PEG처리구의 생장량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고,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억제 효과가 급격히 나타났다. PEG $5g{\cdot}L^{-1}$처리 시 초장은 대조구의 7.9cm보다 매우 짧아졌고, 특히 생체중은 1.60g으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PEG $5g{\cdot}L^{-1}$의 배양1주차에서 4주차까지의 처리시 초장이 3.0-3.9cm 범위로 대조구보다 매우 짧았으나, 배양5주차 처리의 초장은 5.3cm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EG $5g{\cdot}L^{-1}$의 처리시기별 순화 생존율은 대조구에 비해 배양4주 처리에 5.4%, 배양5주차 처리에 8.7% 향상되었다. 따라서 생물반응기를 통해 대량증식된 딸기 조직배양묘의 순화율 향상을 위해 PEG는 $5g{\cdot}L^{-1}$의 농도로 배양 5주차에 처리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추파 풋완두 파종과 순화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Green Pod Yield by Sowing and Acclimation Dates in Autumn Green Pea)

  • 김동관;이정양;윤창용;이야성;국용인;천상욱;박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47-451
    • /
    • 2003
  • 풋완두 추파재배시 월동 전에 알맞은 입모와 생육량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초봄에 저온, 서리 또는 PE. 필름 멀칭내 고온 등의 피해를 회피하여 적기에 순화하여야한다. 1. 완두 생육기간동안 기온이 높은 여수지역이 나주지역에 비해 각 생육단계별 소요일수가 짧고 생장량이 많으며, 유효분지수가 많고 유효분지의 착생절위와 주경과 유효분지의 제1착협절위가 높으며, 개체당 협수와 협당립수가 많고 협장이 길었다. 2. 파종적기는 결주율, 생육, 수량 등을 고려해 볼 때 여수와 나주 지역 모두 11월 중순이었다. 3. 안정적인 순화시기는 결주율과 순화시 피해율이 가장 낮고 유효분지수와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이 가장 많은 3월 상순이었다.

생물반응기 생산 현삼 신초의 순화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edia on the Acclimation of the Shoo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Produced in Bioreactor)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1
  • 본 실험의 목적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증식과 기내순화에 관여하는 적정 배지조건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4주간 배양한 신초의 발근과 생장은 1X MS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6주간 배양한 신초는 1/10 MS 배지에서 좋았다 2. MS 고체배지에서의 잎 전개율은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한 신초가 4주간 배양한 신초보다 높았다. 3. 잎이 전개된 신초의 수와 신초당 잎의 수는 1X MS 고체배지에서 많았으나 유리화도 1/2X MS 고체 배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4. 전반적으로 보아 신초의 지상부 생육은 MS 기본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지하부 생육은 암모니아 태 질소를 1/4로 줄인 배지에서 좋았다. 5. 암모니아태 질소를 1/4로 줄이고 아가농도를 1.2%로 조정한 배지에서 신초의 생육이 좋았으나 유리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6. 신초의 생육과 순화는 1X MS배지에 1.6% 아가농도가 좋았으나 1/2X MS에 1.2%의 아가를 첨가한 경우보다 유리화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신초의 순화는 1/2 MS 기본배지에 아가농도를 1.2%로 한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염분 및 사육수 조건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존율

  • 민병화;허준욱;장영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7-288
    • /
    • 2001
  • 해산어류의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일부 광염성 어종에 대해 수행되어 왔으나,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담수순화에 관한 연구는 아가미 구조적 연구, 내분비학적 연구 등이 연어과 어류의 회유시에 밝혀진 바 있다(Chen and Lin., 1994). 다른 해산어류의 삼투압조절 등 생리학적 연구는 숭어의 담수사육에 관한 기초연구 결과가 보고(장과 허, 1999)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삼투압조절 능력 등이 실제 산업에 이용되려면 각각의 양식유용종에 대한 상세한 연구와 각 어종의 염분 내성, 삼투압조절 능력, 염분변화에 따른 생존 및 성장 그리고 삼투압조절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리학적 연구 등이 필요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