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순차제어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8초

VB5.2 인터페이스의 동적 연결 제어 기능을 위한 연동 방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rworking Methods for Dynamic Connection Control Functions of VB5.2 Interface)

  • 김춘희;차영욱;한기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259-261
    • /
    • 2000
  • B-ISDN의 가입자망 내에 도입된 광대역 액세스 망은 다양한 유형의 가입자들을 서비스 노드로 집선 또는 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액세스 망의 ATM 연결을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VB5.2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로는 B-ANCC가 있으며, 가입자망의 연결 및 호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DSS2, 국간 망에서는 B-ISUP이 표준화되어 있다. 전송 시스템의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프로토콜들이 사용되므로 이들 프로토콜간의 연동 기능이 필요하며, 순차형 연동 방식과 병렬형 연동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순차형 연동 방식은 VB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응답이 올 때까지 기다린 후, 국간 망 프로토콜의 연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고, 병렬형 연동 방식은 VB5.2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국간 망 프로토콜의 연동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ATM 연결등에 대한 순차형 및 병렬형 연동 방식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연동 방식이 연결 설정 지연 및 완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비동기 순차 회로의 설계 자동화 (Design Automation of A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 권희용;조동섭;김병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3년도 하계학술회의강연.논문초록집
    • /
    • pp.237-239
    • /
    • 1983
  • 본 논문은 어떤 비동기적인 제어계가 상태 천이도(transition diagram)로 표현되기만 하면 이 입력으로부터 직접 비동기 순차회로를 구성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비동기 회로를 쉽게 하드웨어로 실현 할수 있도록 하였다.

  • PDF

NGN 자원제어 스킴의 고속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High-Speed NGN Resource Control Schemes)

  • 차영욱;한태만;정유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3호
    • /
    • pp.383-392
    • /
    • 2009
  • 차세대 네트워크(NGN)는 QoS가 지원되는 광 대역 전달 망에서 세션 및 비-세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패킷 기반의 융합 망이다. NGN에서 네트워크 사용자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QoS 기반 자원제어가 이루어져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션 및 자원제어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NGN 자원제어 인터페이스에 병행형 제어 스킴을 정의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 및 제안된 NGN 제어 스킴들의 제어지연과 완료율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두 단계 자원 제어에서 도착율 120 까지는 병행형과 순차형의 완료율이 100%를 달성하였으며, 병행형의 제어지연이 순차형에 비하여 약 21.5%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브리지회로의 개선에 의한 직병렬 공진 고주파 유도가열 시스템의 실현 (Implement of Serial-Parallel Resonant High-Frequence Induction Heating System by Improvement of Bridge Circuit)

  • 류민섭;홍순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788-790
    • /
    • 1999
  • 고주파 열처리 유도로의 설계에서 품질의 향상을 위하여 인버터의 고주파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 장치의 대용량, 고주파 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회로 설계 기술과 제어방식을 제안하였다. 부하 공진 인버터는 H형 전-브리지로 구성하고 각 암 당 IGBT를 2병렬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부하는 직병렬 공진회로로 구성한다. 스위칭 동작은 8개의 IGBT중 각 암 당 2개씩 순차제어하여 고속 대용량의 고주파 전력을 출력시킨다. 또한 스위칭은 스위치 턴온 오프시에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 ZVS기법을 도입한다. 제어는 고정주파수 PWM제어를 하여 전력변환 효율을 극대화한다.

  • PDF

조명 단말기의 직렬연결을 통한 주소 자동할당 방안 (Address Auto-Allocation Method using Serial Connection of Lighting Terminals)

  • 최성철;이원호;문병구;권만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27-29
    • /
    • 2010
  • 본 논문은 DMX-512 프로토콜에서 모든 조명등을 직렬 연결하는 주소 자동할당(Address Auto-Allocation) 방안을 소개한다. 조명 산업의 통신 표준인 DMX512(ANSI E1.11)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조명등을 구별할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은 이 주소를 조명등에 어떠한 형태(DIP Switch, EEPROM에 저장)로든 할당하고 서로를 구별하여, DMX512 통신 데이터에서 자신의 색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DMX512 프로토콜의 전기적인 특성상 조명등 32대 마다 분배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DMX512 프로토콜에서 모든 조명등을 직렬로 연결하여 주소 자동할당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단말기 주소 부여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배기의 사용 또한 필요 없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을 반도체 LED 조명등에 적용하여 ON-OFF제어, 디밍제어, 순차제어, 무지개제어 등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VB5.2 인터페이스의 연결 제어를 위한 순차형 및 병렬형 연동 방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equential and Parallel Interworking Model for Connection Control of VB5.2 Interface)

  • 김춘희;차영욱;한기준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2948-2957
    • /
    • 2000
  • B-ISDN 환경에서 액세스 망은 다양한 유형의 가입자들을 서비스 노드로 집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단간 ATM 연결의 설정을 위하여 엑세스 망의 연결 제어 프로토콜과 신호 프로토콜간의 연동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동 기능은 연동 방식에 따라 순차형 연동방식과 병렬형 연동 방식이 있다. 순차형 방식에서는 각 프로토콜의 연동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며, 병렬형 방식은 광대역 액세스 망의 도입으로 인한 연결 설정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프로토콜의 연동 절차가 병렬형으로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CBR과 VBR 전달 능력을 요구하는 호들이 혼합되어 입력될 때, 큐잉 모델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연결 설정 지연 및 완료비에 대한 두 방식의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큐잉 모델을 분석 및 시뮬레이션 결과 병렬형 연동 방식과 순차형 연동 방식의 연결 설정 완료비는 거의 동일하며, 연결 설정 지연 면에서 병렬형 연동 방식이 순차형 방식에 비해 약 33% 향상되었다.

  • PDF

SFC로 기술(記述)된 계층제어 구조에서 메모리 효율 향상 (Improvement of Memory Efficiency in Hierarchical Control Structure described by SFC)

  • 유정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6-130
    • /
    • 2006
  • PLC는 산업용 제어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LC에서 사용되는 언어중 SFC는 이산 제어 프로그램에서 순차제어 논리의 기술에 적합한 그래픽 언어이며, SFC로 공정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때는 분산제어 구조와 계층제어 구조로 구현하게 된다. 계층제어 구조에서는 서브시스템 간에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 서브시스템은 별도로 구성하고 동기신호만을 주고받게 된다. 그러면 메모리 효율 및 시스템 성능이 좋지 않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제어 구조에서 메모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실례를 통해 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순차식 게이트 구동방식에 의한 직렬 공진형 고주파 인버터 특성 해석 (Analysis of Series Resonant High Frequency Inverter using Sequential Gate Control Strategy)

  • 배영호;서기영;권순걸;이현우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7권3호
    • /
    • pp.57-6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순차식 게이트구동방식을 사용하여 L, C 공진회로로 링크된 2조의 full-bridge 인버터회로를 병렬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MOSFET로 구성된 각 인버터는 한 개의 등가스위치 모델로 되어 직렬공진형 등가 half-bridge 인버터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게이트 제어기법으로 각 소자의 구동 주기를 분할 제어함으로서 소자의 직병렬 운전이 가능한 순차식 게이트 구동방식을 사용하고 이에 따른 인버터의 회로동작 모드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시뮬레이션을 통한 회로 해석 결과 각 인버터단과 소자의 전압 및 전류분담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안정된 회로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출력 등가 머신을 이용한 비동기 순차 머신의 모델 정합 (Model Matching for Input/Output Asynchronous Machines Using Output Equivalent Machines)

  • 박용국;양정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9호
    • /
    • pp.173-181
    • /
    • 2014
  • 본 논문은 입력/출력 비동기 순차 머신으로 모델링되는 시스템에 대한 모델 정합 제어 문제를 다룬다. 피드백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폐루프 시스템이 원하는 기준 모델의 상태 천이 특성을 가지도록 교정 제어기를 설계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제어기를 설계할 때 시스템의 상태를 관측하는 상태 관측기와 출력 피드백에 대한 burst 신호가 필요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관측기와 출력 burst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교정 제어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대상 시스템의 '출력 등가 머신'을 정의하여 새로운 제어기의 존재 조건과 설계 과정을 기술한다. 또 사례 연구를 통해 모델 정합을 위한 교정 제어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병렬 결합된 비동기 순차 머신을 위한 교정 제어 (Corrective Control of Composite Asynchronous Sequential Machines in Parallel Connection)

  • 양정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39-147
    • /
    • 2014
  • 이번 연구에서는 병렬 결합된 두 개의 비동기 순차 머신에 대한 교정 제어 문제를 다룬다. 각 비동기 머신은 동일한 외부입력을 받아 서로 독립적인 상태 천이 특성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한 개의 교정 제어기만을 이용하여 두 개의 비동기 머신의 폐루프 시스템 동작을 각각의 기준 모델의 동작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교정 제어기 두 개를 사용해야 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제어기 크기 및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상 비동기 머신이 입력/상태 유형이라고 설정하고 상태 피드백 교정 제어기가 존재할 조건과 설계 과정을 제시한다. 또 예제 시스템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적용 과정을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