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Sequential and Parallel Interworking Model for Connection Control of VB5.2 Interface

VB5.2 인터페이스의 연결 제어를 위한 순차형 및 병렬형 연동 방식의 성능 분석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A broadband access network in B- ISDN subscriber network, plays a role of concentration or multiplexing of various subscribers into a service node. To establish an end-to-end ATM connection, interworking functions between \'B5.2 interface's connection protocol and the signalling protocol, are perfonned at the service node. A sequential interworking model and a parallel interworking model were proposed for these interworking functions. The sequential interworking model proceeds the signalling protocol of network node after the response of VB5.2 interface protocol. On the other hand, the parallel interworking model proceeds the signalling protocol and the VB5.2 interface protocol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simulate above two interworking models in tenns of a connection setup delay and completion ratio, when call requests with eBR and VBR transfer capability arrive at the service node. We observed that the completion ratios of the two interworking models are quite closed. However the connection setup delay of parallel interworking model is improved by about 33% compared with that of the sequential interworking model.

B-ISDN 환경에서 액세스 망은 다양한 유형의 가입자들을 서비스 노드로 집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단간 ATM 연결의 설정을 위하여 엑세스 망의 연결 제어 프로토콜과 신호 프로토콜간의 연동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동 기능은 연동 방식에 따라 순차형 연동방식과 병렬형 연동 방식이 있다. 순차형 방식에서는 각 프로토콜의 연동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며, 병렬형 방식은 광대역 액세스 망의 도입으로 인한 연결 설정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프로토콜의 연동 절차가 병렬형으로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CBR과 VBR 전달 능력을 요구하는 호들이 혼합되어 입력될 때, 큐잉 모델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연결 설정 지연 및 완료비에 대한 두 방식의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큐잉 모델을 분석 및 시뮬레이션 결과 병렬형 연동 방식과 순차형 연동 방식의 연결 설정 완료비는 거의 동일하며, 연결 설정 지연 면에서 병렬형 연동 방식이 순차형 방식에 비해 약 33% 향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 Jarvinen, 'Evolution of the Access Network,' Telecommunications, pp.21-24, September 1994
  2. ITU-T Recommendation Q.2931, 'B-ISDN DSS2 UNI Layer3 Specification,' October 1994
  3. ITU-T Recommendation Q.2764, 'B-ISDN SS No.7 B-ISUP Basic Call Procedures,' December 1999
  4. Draft ITU-T NEW Recommendation G.967.2, 'V-INTERFACE AT THE SERVICE NODE(SN) VB 5.2 REFERENCE POINT SPECIFICATION,' March 1998
  5. 차영욱, 최준균, 한기준, '광대역 액세스 망을 위한 연결 제어 프로토콜의 설계 및 검중', 정보과학회논문지(A), 제25권, 제10호, pp.1132-1142, 1998. 10
  6. 김춘희, 차영욱, 김재근, 한기준, '광대역 액세스 망을 위한 연결 제어 프로토콜의 병렬형 연동 모델과 성능 분석', 정보과학회논문지(A), 제26권, 제12호, pp. 1529-1538, 1999년 12월
  7. H. J. Kim, D. J. Yang, J. W. Park, H. K. Ryu, 'The Estimation of Call Processing Performance on ATM Network Test-bed,' Proc. JCCI, pp. 8-12, Apr. 1998
  8. Joseph L. Hammond, Peter J.P. O'Reilly, 'Performance Analysis of Local Computer Networks', Addison-Wesley
  9. RACEII project R2044 MAGIC Report, 'B-ISDN Signalling Performance Issues and Analysis,' January 1995
  10. ITU-T Recommendation Q.542, 'DIGITAL EX-CHANGE DESIGN OBJECTIVES OPERATIONS AND MAINTENANCE,' March 1993
  11. M A hale, A T Gillespie, K A James, 'The VB5 interface,' BT Technol J, Vol.16, No.2, April 1998 https://doi.org/10.1023/A:1009622100015
  12. ITU-T Recommendation Q.2961,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 DIGITAL SUBSCRIBER SIGNALLING SYSTEM No. 2(DSS2) ADDITIONAL TRAFFIC PARAMETERS,' October 1995
  13. ITU-T Recommendation Q.2550, 'BROADBAND-ISDN INTERWORKING BETWEEN SIGNAL-LING SYSTEM No.7 BROADBAND ISDN USER SIGNALLING PART(B-ISUP) AND DIGITAL SUBSCRIBER SIGNALLING SYSTEM No.2 (DSS2),' February 1995
  14. ITU-T Recommendation G.902, 'Framework recommendation on functional access network(AN),' November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