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접근법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Early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Symbolizing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적 상징화 방법의 발전 과정과 특징에 관한 연구)

  • Kim Nam Gyun
    • School Mathematics
    • /
    • v.7 no.1
    • /
    • pp.55-75
    • /
    • 2005
  • Mathematical symbolizing is an important part of mathematics learning. But many students have difficulties m symbolizing mathematical ideas formally. If students had experiences inventing their own mathematical symbols and developing them to conventional ones natural way, i.e. learning mathematical symbols via expressive approaches, they could understand and use formal mathematical symbols meaningfully. These experiences are especially valuable for students who meet mathematical symbols for the first time. Hence, there are needs to investigate how ear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and should experience meaningful mathematical symbol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mathematical symbolizing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s. We carried out teaching experiments that promoted meaningful mathematical symbolizing among eight first graders. And then we analyzed students' symbolizing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approaches to mathematical symbols in early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we could places mathematical symbolizing processes developed in the teaching experiments under five categories. And we extracted and discuss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early elementary students' meaningful mathematical symbolizing processes.

  • PDF

A Study on Approaches to Algebra Focusing on Patterns and Generalization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 김성준
    • School Mathematics
    • /
    • v.5 no.3
    • /
    • pp.343-360
    • /
    • 2003
  •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teaching of algebra based on patterns and generalization. The past algebra curriculum starts with letters(variables), algebraic expressions, and equations, but these formal approaching method has many difficulties in the school algebra. Therefore we insist the new algebraic approaches should be needed. In order to develop these instructions, we first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patterns and algebra, the relationship of generalization and algebra, the steps of generalization from patterns and levels of difficulties. Next we look into the algebra instructions based arithmetic patterns, visual patterns and functional situations. We expect that these approaches help students learn algebra when they begin school algebra.

  • PDF

Memory reten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in multiplication in the inquiry-based pantomime instruction (탐구 중심 판토마임 교수에서 곱셈 개념의 기억의 보존)

  • Bae, Jong-Soo;Park, Do-Yong;Park, Man-Goo
    • School Mathematics
    • /
    • v.9 no.4
    • /
    • pp.507-5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mory reten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in multiplication in the inquiry-based pantomime instructions. Three months later after the pre-test,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raditional class (TC) and class with the inquiry-based pantomime (IP) approach in terms of students retention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If instructions promoted effective long-term retention of knowledge. We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promoted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using life examples and drawings produced effective long-term retention of knowledge.

  • PDF

수학적 유망성이 있는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3 s.23
    • /
    • pp.543-556
    • /
    • 2005
  • 우리 주변에는 수학영재 교육 대상자로 선발되어 영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 중에는 수학적으로 유망한 학생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에게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수학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학적으로 유망성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모델의 하나로 개방형 접근법(Open-approach heuristic)모델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 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학교수학 지도에 대한 '개방적 접근(Open Approach)'

  • Becker Jerry P.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10a
    • /
    • pp.63-78
    • /
    • 2006
  • 미국에서 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개방적 접근은 일본과 미국 연구자들의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그것에 대한 세 가지의 측면을 실례로 살펴보면 접근을 시도하겠다. : 1) 개방된 과정(open process)(문제의 해답에 이르는 방법이 여러 가지이다: 2)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문제에 대한 정답이 여러 가지가 될 수 있는 문제), 3) 일본에서 '문제로부터 문제(from problem to problem)'라고 불리는 것 혹은 문제고안(problem formulating)하기(학생들이 새로운 문제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써 내려 가는 것)수학 지도에서 일본의 개방적 접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는 미국에서 보다 효과적인 수학 지도를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선택 적용해 보았다. 이러한 접근의 대부분은 학습 계획안을 만들 때 여러 교사가 함께 참여하고 일련의 토론과 수정과정을 거친 뒤, 많은 부분이 개선되고 효과적인 계획안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미국의 수학교사들에게 새로운 것이다. 또한 이 접근법에서는 교사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이나 그룹을 활동적으로 관찰하여 그들의 활동을 비교하고 토론한다.

  • PDF

A Study on the Thought of a Point in Mathematics (수학에 점의 사유에 대한 고찰)

  • Youn, H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1-142
    • /
    • 2012
  • 점과 선은 도형의 기초이며 수학과 물리학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도형의 발달은 고대 이집트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도형의 발달은 그리스에서 체계화 되었으며 대표적으로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에서 점과 선에 대한 정의와 공리 등에 인하여 기하학은 발전하였다. 이러한 점에 관한 정의는 시대에 따라 재해석되고 논쟁과 토론의 과정을 거쳐왔으며. 즉 '점이 부분이 없는 것'이라는 기하학 원론'의 정의는 점의 존재성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사유를 이끌었으며 19세기 수학 기초의 위기 속에서 다양한 수학적 접근법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점의 기존의 정의와 다양한 접근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대학수학에서 귀납적 증명에 대한 연습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109-124
    • /
    • 2004
  • 대학수학에서 수학적귀납법의 원리를 소개하고 풍부한 예를 통해 이해를 돕는다. 특별히 교양수학을 수강하는 1학년 학생 수준에 맞게 매스매티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예를 갖고 한단계 한단계 접근하여 수학적귀납법의 증명을 연습할 기회를 준다. 증명을 단계적으로 하는 것을 연습하여 학생들은 논리적인 사고능력을 개발하고 새로운 명제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맞보게 한다. 물론, 증명 연습은 1학년 신입생에게는 쉽지 않으나 여러 명제에 대해 연습을 하는 것은 수학적, 논리적 사고 능력을 개발하고 증명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A New Numerical Method for Solving Differential Equation by Quadratic Approximation (포물선 근사법에 의한 상태방정식의 새로운 수치해석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 Lee, Jong-Gi;Kwon, Yong-Jun;Choi, Byoung-Kon;Moon,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a
    • /
    • pp.107-109
    • /
    • 2003
  • 전력계통의 과도 안정도 해석의 접근방법에는 SI(Simultaneous Implicit)법과 PE(Partitioned Explicit)법 두 가지방법을 사용해오고 있다. SI법에는 Trapezoidal법 등이 있고, PE법에는 Runge-Kutta법, Euler법등이 사용되고 있다. SI법인 Trapezoidal법은 PE법의 Runge-Kutta법 또는 Euler법에 비해 시간간격을 크게 해서 계산속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화도면에서는 신뢰한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포물선 사법을 이용하여 Trapezoidal법의 정확도를 개선학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명확한 수학적 증명을 통해 타당성을 보여준다. 연속함수와 불연속함수에 대해서 Runge-Kutta법과 Trapezoidal법과 제안한 방법을 적용시켜서 제안한 방법의 정화함을 보여준다.

  • PDF

Design of a bilinear robust controller for a hydrostatic driver (Hydrostatic 구동기에 관한 Bilinear 강인 제어기 설계)

  • Park, R.W.;Cho, S.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5 no.4
    • /
    • pp.65-74
    • /
    • 2011
  • 이 논문은 비선형 시스템에 대해 bilinear 강인제어기를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 설계방법은 골칫거리인 비선형 영향을 나타내는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진동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이고 진전된 방법이다. 이 설계 과정에, hydrostatic 구동기로 구동되는 킬(용골)이 주어진다. 첫 단계로 킬은 물리적으로 여러 한정된 질량으로 모델화된다. 물리적 모델에 근거한 수학적인 모델을 유도하는 방법은 해밀턴 원리를 적용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였다. 즉, 수학적 모델은 여러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주어진 물리적인 시스템에 대해 기준이 되는 시스템이다. 회전하는 구동기에 대한 물리적 모델에 근거하여, 과도 거동은 구동기의 베어링에서 측정되는 운동 현상으로부터 유도된다. 물리적인 시스템은 bilinear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에 근거하여, 요트 킬의 거동을 제어하도록 bilinear 관측기를 설계한다. 구동기의 속도, 토크, 밸브에서의 유량 등이 관측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비선형성에 대한 추정과 보상을 통하여 무거운 질량을 갖는 회전축에 대한 위치와 힘을 제어하는 설계에 유용한 접근법임이 증명되었다.

The Application of Elimination Method for Teaching the Cube-Accumulation (쌓기나무 지도를 위한 부분제거법의 적용)

  • Chang, Hye-Won;Kang, Jong-Py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9 no.3
    • /
    • pp.425-441
    • /
    • 2009
  • The cube-accumulation is a new theme included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improving children's spatial ability. One activity of the cube-accumulation is to recognize the configuration of accumulated cube given three plane figures in the directions of the above, the front and the side, respectively. The approach to this activity presented in the mathematics textbook is more or less intuitive and constructive, and difficult to some children. So we suggest an alternative, more analytic method, 'elimination method', that is eliminating unnecessary parts from $n{\times}n{\times}n$ whole cubes. This method was adopted to the 32 sixth graders, in special five applicants among them. Their responses and activities were analyzed. We confirm that we can teach the cube-accumulation by the elimination method, and some children prefer this method. 13u1 this method requires more exercises to be executed skillfu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