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분석

Search Result 3,76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초등수학에서의 수학적 패턴 지도

  • 김상미;신인선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3-22
    • /
    • 1997
  • 본 연구는 첫째로는 수학교육에서 패턴이 강조되는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역사적 맥락에서 수학의 성격변화를 탐색하였다. 수학의 성격 변화를 통하여 수학은 수의 탐구, 기하의 탐구, 운동ㆍ변화ㆍ공간의 탐구, 수학 연구의 도구에 대한 탐구로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여 왔으며, '수학은 패턴의 과학이다'라는 정의는 수학이 폭넓어짐에 따라 수학이 무엇인가에 대한 수학의 본성에 접근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에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고, 특히 수학교실의 변화에 따른 패턴의 강조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수학적 패턴을 밝힘과 동시에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패턴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자 수학적 패턴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패턴의 속성에 따른 유형화와 패턴의 생성 방식에 따른 유형화를 통하여 수학적 패턴의 유형을 마련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패턴은 어떠한 것인가를 현행 4학년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한하여 유형화한 틀로서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로는 수학적 패턴에 관한 지도 방안의 모색으로서, 지도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수학적 패턴에 관한 교수 전략을 마련하였다. 교수전략은 크게 패턴에서의 규칙 찾기, 패턴을 변형ㆍ확장하기, 자신의 새로운 패턴 만들기,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기로 나누고, 각각에 3-4개의 세부 전략과 세부 전략에 따른 예를 제시하였다.

  • PDF

분석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작도 문제의 활용

  • 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89-199
    • /
    • 2000
  • 수학 교수-학습을 동해 개발 ${\cdot}$ 육성할 가치가 있는 중요한 인지 활동들 중의 하나가 분석적 활동이다. 분석적 활동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며, 저자는 이미 수학 교수-학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몇 가지 분석적 활동의 유형들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분석적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다양한 작도 문제를 활용하는 방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제시할 것이다.

  • PDF

담화 중심 초등 수학 수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

  • Kim, Sang-Hwa;Bang, Je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3-34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수업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중에서 담화 중심형 의사소통 수업의 성취 요소와 목표를 고려하여 2 4 6학년 수학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중심 수업을 실시한 세 교실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수학수업에서 담화 중심의 수학수업 구현에 관한 시사점과 논의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ed on Discourse-Based Communication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 Kim, Sang-Hwa;Pang, Jeong-Su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523-545
    • /
    • 2010
  • Mathematical communication has been emphasized not only as the process of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as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what to consider and how to implement in the actual classroom for promo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Given this background, this paper implemented a mathematics instruction in each of 2nd, 4th, and 6th grade classrooms in which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were considered to promote discourse-bas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t then analyzed the degree by which such learning objectives were achieved and th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in each classroom. This paper finally provided issue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course-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lassrooms.

  • PDF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Six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s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 Hong, Woo-Ju;P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1 no.2
    • /
    • pp.201-21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eachers by analyzing various levels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is study explor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3 classrooms with regard to questioning, explaining, and the source of mathematical ideas. This study then prob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different standards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levels of teacher-student mathematical communication were found with increased frequency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type. The classroom that had a higher level of Leacher-student mathematical communication was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c1asses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developing skill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al Process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 Pang, JeongSuk;Lee, JiYoung;Lee, SangMi;Park, YoungEun;Kim, SuKyong;Choi, InYoung;SunWoo, Jin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2
    • /
    • pp.289-308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mathematical processes elaborat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Ten mathematical processes were extracted: (a) learning of concepts, principles, laws, and skills; (b) problem solving; (c) reasoning; (d) communication; (e) representation; (f) connections; (g) creativity; (h) character-building; (i) self-directed learning; and (j)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is study specified the meaning of such processes and their sub-domains, notic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curricul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include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xt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 Choi Younggi;Do Jonghoon
    • School Mathematics
    • /
    • v.6 no.4
    • /
    • pp.361-372
    • /
    • 2004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intellectual, emotion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ir proof examples, responses to questionnaire on mathematical aptitude and social coping, and scores for Torrance creativity test(figure) in comparison with scientific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PDF

초창기(1935${\sim}$1940년대) 모스크바 수학 경시대회와 영재교육

  • 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57-71
    • /
    • 2004
  • 러시아는 오래 전부터 성공적으로 수학 경시대회를 운영해 오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의 수학 경시대회의 발생 배경, 초창기의 수학 경시대회의 정착 및 발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우리 나라 수학 경시대회의 위상을 정립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미로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수학 경시대회의 하나인 모스크바 수학 경시대회의 발생 배경, 초창기 운영 방법, 수학 경시대회의 성격 및 목적, 수학 경시대회의 교육적 측면, 수학 경시대회와 연결된 수학동아리 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History-Based Mathematics Teach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사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Heo, Do-Ha;Oh, Young-Youl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5 no.2
    • /
    • pp.463-485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history-based mathematics teach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through selecting mathematical history content to apply to elementary mathematics and devising an instruction model to use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history and the comparative group lecture-based instruction using the common textbook,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gathered data. To conclusion, first, instructions using mathematical history were helpful for increasing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and secondly helped the students justify their opinions to others with mathematical logic.

  • PDF

Analysis of Changes in Cognitive, Affect and Social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측면의 분석)

  • Kang, Yunji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6 no.4
    • /
    • pp.317-332
    • /
    • 2023
  •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hold the potential for diverse applications, involving the transformation of real-life situations into mathematical models to facilitate problem-solving. In order to assess the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imensions of students' engagement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is study conducted sessions with ten groups of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nsuing processes and outcomes were thoroughly analyzed. As a result, each group effectively applied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in creating mathematical models and gathering essential information to address real-world tasks. This led to notable shifts in interest, enhanced mathematical proficiency, and altered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all while promoting increased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group members. Based on these analytical findings, the study offers valuable pedagogical insights and practical guidanc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