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문제해결

Search Result 1,13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Function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 Do, Joowon;Paik, Suck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4
    • /
    • pp.563-581
    • /
    • 2016
  • Studies on meta-affect in problem solving tried to build similar structures among affective elements as the structure of cognition and meta-cognition. But it's still need to be more systematic as meta-cognition. This study defines meta-affect as the connection of cognitive elements and affective elements which always include at least one affective element. We logically categorized types of meta-affect in problem solving, and then observed and analyzed the real cases for each type of meta-affect based on the logical categories. We found the operating mechanism of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particular, w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meta function which operate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Finally, this study contributes in efficient analysis of meta-affect in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eta-affect in teaching and learning in problem solving.

The Influences of Experiences of Productive Failure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문제해결에서 생산적 실패의 경험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 Park, Yuna;Park, Mango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8 no.2
    • /
    • pp.123-13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s of productive failure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was applied with the productive mathematics failure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with traditional mathematics lessons.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ents were tested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ies, students' various strateg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discussion processes of the students, students's activity worksheet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selected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use of productive failures showed students' enhanc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ies. Second,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productive failures positively affected the changes i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s. Along with the more detailed research on productive mathematical failures, the research result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알고리즘을 활용한 수학 문제 해결

  • Kim, Yeong-Mi;Kim, Hyang-Suk;Jo, Y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169-179
    • /
    • 2003
  • 컴퓨터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렇게 특정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기술한 일련의 명령문을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수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문제해결의 방법, 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여러 예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 Jo Seok-Hui;Hwang D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04a
    • /
    • pp.211-226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수학 영재를 판별하기 위해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개발하고, 유창성만으로 수학 창의성을 평가한 이 검사 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10개의 개방적인 수학 문제를 개발한 바, 수학적으로는 직관적 통찰력, 정보 조직력, 추론능력, 일반화 및 적용력, 반성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이다. 이 10문항을 영재교육기관에 입학하고자 지원한 초등학교 5학년 2,2029명에게 실시했다. 교사들은 각 문제에 대해 타당한 답을 제시한 빈도로 유창성을 측정했다. 학생들의 반응은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모형을 기반으로 한 BIGSTEPTS 로 분석했다. 문항반응 분석결과, 이 검사는 창의성을 유창성만으로 측정할 때도 영재판별 검사로서 신뢰도, 타당도, 난이도, 변별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덜 정의되고, 덜 구조화되고, 신선한 문제가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한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을 측정하는데 좋은 문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검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우수하며, 영재교육원에 지원한 학생들이 수학영재학급에 지원한 학생들보다 더 우수함을 확인해 주었다.

  • PDF

Aspects of Meta-affect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메타정의의 특성)

  • Do, Joowon;Paik, Suck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1
    • /
    • pp.59-74
    • /
    • 2019
  •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shows that the metacognitive ability that makes the positive element of the problem solver positively affects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s.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caus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eta-affect factor in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To do this, we analyzed the types and frequency of data collected from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ituations composed of 4th~6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small group of two.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of meta-affect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s related to the correctness rate of the problem. First, regardl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blem-solving, the meta-affect appeared relatively frequently in the meta-affect types in which the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the context of problem-solving appeared first, and acted as the meta-functional type of the evaluation and attitude. Especially, in the case of successful problem-solving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meta-affect showed a very active function as meta-functional type of evaluation.

  • PDF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 Lee, Yeong-Ju;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37-15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간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 이러한 관계들은 아동의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인 중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요인은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역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학습 습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_그리고 귀납적 추론 능력이 연역적 추론 능력 보다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연역적 추론 능력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The Effects of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Seo, YoungMin;Park, Mang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5 no.3
    • /
    • pp.277-29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mathematics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s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To this end, 9 problem solving lessons with open-ended mathematics problems were conducted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I-STATistics program to pre-and post-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athematical creativity, especially in increasing flexibility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elements of creativity. In additio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has helped improve mathematical attitudes and has been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recognition needs and motivation among subfactors. I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students were able to share various responses and expand their though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quality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to utiliz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ith open-ended problems at school sites.

독일 7학년 학생들의 증명문제 해결능력 분석

  • Kwak, Jeeyi;Reiss, Kristina;Thomas, Joach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265-274
    • /
    • 2002
  • 이 프로젝트는 수학 수업 중 ‘추론’과 ‘증명’에 관련된 "문제해결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처음 증명문제를 접하는 독일 7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에 필요한 요인들, 즉,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적 기본지식, 해결된 문제에 대한 인지정도, 논리적 사고 등을 관찰 분석하고 수학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Beliefs)과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이 프로젝트의 일부의 결과로써,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 개개인의 문제해결과정과 그 능력, 그리고 수학에 대한 신념을 서술하고,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서로 다른 수학에 대한 신념을 비교 분석한다.

  • PDF

The Effect of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Teaching on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서술형 수학 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Kim, Hyosun;Oh, Youngyou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1
    • /
    • pp.131-1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on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eposi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present study, two 6th grade classes with equivalent achievement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based on the pretest. A total of 15 mathematics lessons focused on writing activities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 group for two months, while the textbook-based traditional lessons were given to the comparison group.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teaching is statistically superior that the textbook-based mathematics teaching with respect to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In addition, it was evidenced that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makes an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s toward essay-based assessment in a positive way.

Analysis of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문제해결 전략의 양식에 대한 분석)

  • Kim, Jin Ho
    • School Mathematics
    • /
    • v.4 no.4
    • /
    • pp.565-580
    • /
    • 2002
  • 연구자들은 학생들에게 문제해결 전략을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켜 준다는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배경으로 수학 교과서를 통하여 문제해결 전략을 지도하려는 시도들이 미국을 비롯하여 한국에서도 있어 왔다. 본 논문은 문제해결 전략을 교과서에 제시할 수 있는 가능한 세 가지 모델들을 논의하고, 미국과 한국의 수학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전략을 제시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한 가지 모델은 문제해결 전략에 한 단원을 할애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모델은 각 수학내용을 지도하는 단원에 문제해결 전략의 지도를 위한 하위단원을 할당하는 것이다. 마지막, 세 번째 모델은 문제해결 전략 지도를 위한 특정 단원이나 하위 단원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많은 쪽에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세 가지 가능한 모델을 바탕으로 미국과 한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전략을 제시하는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위하여 각 학년별로 제시되는 모든 전략들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토대로 추출하였다. 각 교과서에서 전략을 제시한 양식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한국의 수학교과서는 전형적으로 첫 번째 모델의 양식으로 문제해결전략을 제시하고 있었다. 각 단원마다 별개의 문제해결 전략이 제시되었다. 또한, 학년별 지도 전략을 살펴보면 학년별로 연계성이 있게 전략이 제시 되었다기 보다는 학년별로 다른 다양한 전자의 지도에 중점을 둔 듯하다. 미국의 수학교과서는 두 번째 모델과 세 번째 모델의 중간적인 양식으로 문제해결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각 단원마다 문제해결 전략 지도를 위한 하위 단원을 지정하였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본 단원의 주 학습요소와 관련된 문제해결 전략은 단원 중에도 제시되고 있었다. 따라서, 차기 수학교과서 개정시기에는 세 번째 모델을 그 모형으로 삼아 문제해결 전략들을 제시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