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cts of Meta-affect in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메타정의의 특성

  • Received : 2019.01.15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shows that the metacognitive ability that makes the positive element of the problem solver positively affects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s.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caus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eta-affect factor in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To do this, we analyzed the types and frequency of data collected from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ituations composed of 4th~6th grade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small group of two.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of meta-affect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s related to the correctness rate of the problem. First, regardles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blem-solving, the meta-affect appeared relatively frequently in the meta-affect types in which the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the context of problem-solving appeared first, and acted as the meta-functional type of the evaluation and attitude. Especially, in the case of successful problem-solving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meta-affect showed a very active function as meta-functional type of evaluation.

기존 이론적 연구에 의하면 메타정의적 능력은 학생의 정의적 요소로 하여금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만들어 성공적인 문제해결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과성에 대한 실제적인 파악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메타정의적 요소가 문제해결 활동에 작용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보이는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수학 영재아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메타정의를 문제해결의 성공 여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수학 영재아를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협업적 문제해결 상황에서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메타정의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메타정의 유형은 문제의 정답률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문제해결의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메타정의는 문제해결의 맥락과 관련된 인지적 요소가 먼저 나타나는 메타정의 유형들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평가 및 태도 유형의 메타적 기능으로 활발하게 작용하였다. 특히 수학 영재아의 성공적인 문제해결의 경우 메타정의는 평가 유형의 메타적 기능으로 매우 활발하게 작용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특성은 수학 영재아의 수학 문제해결 상황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법 구안에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형, 백석윤 (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 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25-148.
  2. 도주원 (2018). 협업적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도주원, 백석윤 (2016). 수학 문제해결에서 메타정의의 기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563-581.
  4. 도주원, 백석윤 (2017).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작용하는 메타정의의 사회 역학적 기능. 초등수학교육, 18(1), 87-101.
  5. 도주원, 백석윤 (2018).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수학 학습 성취 수준에 따른 메타정의의 기능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2). 143-159.
  6. 백석윤 (2016). 수학 문제해결 교육. 서울: 경문사.
  7. Clark, B. (1988). Growing up gifted(3th ed.). Columbus, OH: Merrill.
  8. DeBellis, V. A. & Goldin, G. A. (1997). The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In E. Pekhonen (Ed.) Proceedings of the PME 21, 2, 209-216.
  9.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2), 131-147. https://doi.org/10.1007/s10649-006-9026-4
  10.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G. C. Leder, E. Pehkonen, & G. Torner (Eds.),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Dordrecht: Kluwer.
  11. Goldin, G. A. (2009). The affective domain and students' mathematical inventivenes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81-194). Rotterdam: Sense Publishers.
  12. Malmivuori, M. L. (2001). The dynamics of affect, cognition, and social environment in the regulation of personal learning processes: The case of mathematics. Research Report, 172, Helsinki: Helsinki University Press.
  13.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https://doi.org/10.1007/s10649-006-9022-8
  14. McLeod, D. B. & Adams, V. M. (1989).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new perspective. NY: Springer-Verlag.
  15. Moscucci, M. (2010). Why is there not enough fuss about affect and meta-affect among mathematics teacher? In V. Durand-Guerrier, S. Soury-Lavergne, & F. Arzarello (Eds), Proceedings of the CERME-6 (pp. 1811-1820). INRP, Lyon.
  16. Renzulli, J. S. & Reis, S. M. (1997).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e educational excellence (2nd 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7. Schloglmann, W. (2005). Meta-affect and strategies in mathematics learning. In M. Bosch (Ed), Proceeding of CERME-4 (pp. 275-284). Barcelona: FundEmi IQS.
  18. Siegler, R. S. & Kotovsky, K. (1986). Two levels of giftedness: Shall ever the twain meet?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417-435).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Terman, L. (1916). The measurement of intelligences. Boston: Houghton Miflin.
  20. Yin, R. K. (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