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 현상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Review of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rom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현상학적 관점을 반영한 학교수학의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 Cho, Cheong-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6 no.4
    • /
    • pp.383-408
    • /
    • 2012
  • This study is to review phenomenology as a legitimate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Phenomenology is considered a perspective which will be able to provide varieties of viewpoints for mathematics education. Phenomenology is a research about phenomena and experience,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o reveal the meanings from persons who experience something that researcher is interested in. Through such review,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phenomenology has potential possibility to open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In order to doing thi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tren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major concepts of phenomenology, phenomenological attitudes for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major conclusions are as the followings: the focus of lived-experi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life world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essence of general phenomena and the meanings of experience general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and Mathematics Education (인식의 시간성-무시간성과 수학적 지식의 교육)

  • Yim, Jaeh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8 no.3
    • /
    • pp.379-397
    • /
    • 2014
  • According to Kant, time is integral to all human cognitive experiences. Human beings perceive things in the frame of time. Phenomena are perceived in successive way or in coexistent way.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can be a framework to consider the issues of teaching and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knowledge. Significance of temporal inquiry of atemporal phenomena is discussed with examples of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geometric figures. Significance of atemporal inquiry of temporal phenomena is also discussed with examples of the sum of natural numbers, geometric pattern, and the probability of two events.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potential of mathematical tasks from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an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inquire temporal phenomena atemporally and atemporal phenomena temporally.

  • PDF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 Comparison of Korean Students and American Students (대학생의 수학 개념: 한국 학생과 미국 학생의 비교)

  • JKang, Ok K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3 no.1
    • /
    • pp.1-12
    • /
    • 2003
  • 이 논문은 수학적 개념의 뜻과 과 중요성을 살펴본 다음,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한국의 대학생과 연구자가 연구년 동안 강의한 바 있는 미국의 대학생이 갖고 있는 수학적 개념의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수학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적 개념을 수학적 지식의 구성, 수학적 지식의 구조, 수학적 지식의 현상, 수학을 행하기, 수학적 아이디어의 가치 인식, 구성으로서의 학습, 유용한 노력으로서의 수학으로 분류하고 각 개념에 대한 양국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학생들은 수학적 개념에 대한 7개의 영역 중에서 '수학적 지시의 현상', '수학을 행하기'를 제외한 5개의 영역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앞으로 한국의 수학교육은 수학을 실제로 행하는 활동을 더욱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중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기피 현상

  • Park, Hye-Suk;Park, Gi-Yang;Kim, Yeong-Guk;Park, Gyu-Hong;Park, Yun-Beo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183-190
    • /
    • 2004
  • 학습부진아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선수 학습 요소의 결손이나 환경요인 및 그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학습 습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락할 수 있는 최저 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아의 수학 기피성향 심리 검사지를 이용하여, 중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경우11개의 기피요인 중 어느 요인에서 두드러진 기피 현상을 나타내는지 그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영역에서 현실적 수학교육의 적용을 위한 문맥 연구

  • Kim, Won-Gyeong;Baek, Gyeong-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137-155
    • /
    • 2004
  • 현실적 수학교육은 탐구학습, 열린학습 등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려는 최근의 수학교육의 방향에 걸맞는 새로운 교수${\cdot}$학습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현실적 수학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문맥을 개발하였다. 이 문맥들은 수학사, 자연 및 사회 현상, 실생활의 상황, 타 교과에서의 활용 상황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등학교 2${\sim}$2학년 수준에 알맞게 개발되었다.

  • PDF

전공 선택과 수학

  • Kim, Seong-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155-162
    • /
    • 2004
  • 이공계 기피 현상 혹은 학생들의 전공 선택과 관련하여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들이 있다. 그러나 최근 고교 졸업생들의 대학 진학에 대한 자료에 의하면 다른 면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여 살펴보고 그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 Survey Research of Mathematics Educators' and Mathematicians' Preference on Journals (수학교육학과 수학 연구자들의 학술지 선호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 Park, Kyungmee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3 no.4
    • /
    • pp.423-448
    • /
    • 2013
  • The journals provide an academic arena for researchers in specific academic field, and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cademic field.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mathematics educators. As a result, the three journals , , and were notably preferred by mathematics educators, and the scores of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were almost synchronized. On the other hand, mutual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is an indicator of the communication among related academic fields. Howeve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showed little preference toward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and vice versa.

  • PDF

한국 대학 수학과의 상황과 장래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5-32
    • /
    • 2005
  •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의 수학과는 낮은 지원율 신입생 미충원 그리고 전과/편입학/자퇴 등 높은 이탈 등으로 학생자원 부족에서 오는 생존이 위협되는 위기에 처해있다. 실제로 몇 년 사이에 학생 모집이 중단됨으로서 폐과가 진행 중인 대학의 수학과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대학교육에서 수학과가 퇴조하는 이러한 현재 상황의 진행이 3-5년 후 대학 및 대학원의 수학전공은 어떤 상황에 있을 것인가? 학생자원 감소라는 현재의 추세가 계속 진행된다면, 대학의 학문 체계와 대학교육에서 수학의 위치 역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대학의 수학전공에 지원하는 학생자원 부족 문제는 진지하게 구체적으로 다루고 도전하고 해결 방안을 구해야 할 문제인가? 아니면 일시적인 퇴조 현상에 대한 기우인가?

  • PDF

교사양성대학 수학교육과 '미분방정식' 강좌 운영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개발과 관련한-

  • Lee, By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9-34
    • /
    • 2003
  • 물리학, 공학, 경제학, 생물학, 생태학 등의 자연현상, 사회 현상 그리고 심리상황 등과 관련된 내용들의 모델링 과정을 거쳐 나온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해의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은 바로 우리의 생활의 진면목을 직접 확인하는 것과 같다. 모델링 과정의 효율성은 교사와 학생간의 충분한 수학적 대화속에서 더욱 의미가 커질 것이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미분방정식의 해의 실제적인 의미를 상상하게 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게 하는 것과 해를 구하는 과정에 관한 이론의 이해를 돕는 것이 바람직한 학습 지도 방법이 될 것이다. 전 교육과정을 통해 미분방정식의 모델링 과정을 소개하면서 해의 존재성, 해의 유일성, 해법, 해의 의미 등의 학습 및 지도를 학습자 중심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 PDF

대학수학 교육 연구의 원칙과 기준들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33-44
    • /
    • 2005
  • 한국의 대학수학 교육에 대한 여러 종류의 관심이 다양한 현실적 필요성에서 대학의 수학 교수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 대학수학 교육의 어떤 연구 주제를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연구하여야 연구로서 가치, 타당성 그리고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 연구의 방향, 목표, 그리고 결과의 활용에 대한 적절한 합리적 준거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제 수학 수업을 수행하는 교수, 교사 또는 교육행정가에게 유용한 정보, 지식 그리고 수업 수행 방법(기술) 등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사결정 문제를 결정하도록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성을 가져야 한다. 학교수학 교육은 국가적 교육과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하여 대학수학 교육은 각 대학마다 다른 교육 환경과 목표를 반영한 대학교육과정에 대학수학 관련 교과(강좌) 또는 수학전공 교과들이 포함되어있다. 다양한 대학교육 환경과 시스템에 놓여있는 대학수학 교육의 상황 또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수행 원칙과 질적 기준들 무엇인가?를 논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