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연구

Search Result 4,62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한국 수학 교육이 당면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Choe, Yeong-H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47-255
    • /
    • 1999
  • 대부분의 수학 교사들은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많은 학술 행사에 참여하기를 꺼려하고 있으며 수학 교육의 새로운 정보에 접촉하려는 의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세계의 수학 교육의 흐름이 어떤지, 우리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이나 교수 ${\cdot}$ 학습법이 외국의 것과는 어떻게 다른지 또는 수준에 차이가 있다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별 관심을 갖지 않고 있으며 구태여 많은 노력을 들여 이러한 것을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필자의 판단으로는 우리 나라의 수학 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수학 교사들은 많으나 우수한 자질을 가진 수학 교사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창의성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학교 수학 교육에서 능력별 반 편성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줄 알면서도 수십년 동안 제대로 실행되지 않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수학을 지도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 두 문제는 모두 몇몇 수학 교사들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모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공동으로 인식하고 함께 해결하기를 노력한다면 시일이 좀 걸리더라도 언젠가는 해결되리라고 믿는다. 장기적으로 수학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 양성 기관(사범대학과 교육대학교)의 개선이 필요하며, 능력별 반 편성은 교육정책자들이나 교육행정가들이 마음만 먹으면 1${\sim}$2년내에 이룰 수 있다. 이제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와 같은 행사는 단순한 수학교육이론의 전달이나 현장연구에서 발견한 새로운 사실들만은 발표하는 곳이 아니라, 될 수 있는 데로 많은 수학 교육자들이 모여 수학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함께 풀어 나가기 위한 토론의 장(場)이 되어야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수학 교육에 관련한 어떤 결의도 하고 교육부 또는 각 교육청이나 교육연구기관에 보내는 건의문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어떻든 이와 같이 전국 수학교육자들이 모일 때는 꼭 참여하여 우리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힘을 합치는 것이 수학교육자의 올바른 태도라고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Mathematics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중등학교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한인기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175-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various mathematics programs and related studies for gifted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to extract meaningful suggestions, and to develop some mathematics materials to realize our suggestions. We analyzed mathematics curriculum drafts for gifted students(by KEDI), mathematics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of Russia, and mathematics programs of some specialist of gifted education. We were able to extract some important aspects for developing teaching & teaming materials.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ook notice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and suggested a model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Lee, Jae-Ha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상황적 인지론(situated cognition)과 수학 학습

  • 박성선;전평국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23-32
    • /
    • 1997
  • 최근 및 년 사이에 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학교육의 문제는 크게 Piaget의 인지이론에 근거한 연구와 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지심리 학자들의 연구에 근거하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 발표된 학습이론에 대한 논문들을 보더라도 이러한 경향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중략)

  • PDF

수학 교육에서 concrete와 connected의 의미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1-13
    • /
    • 1999
  • 수학 교육에서 수학 지식의 추상적 특성으로 인하여 수학 학습에 중요한 발생적 측면으로서 “concrete“ 에 대한 학습론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또한 구체적 감각 조작 단계에서 형식적 추상적 조작 단계로의 아동의 인지 발달을 강조하다보니 ”concrete“와 ”abstract“의 통상적인 의미가 이분화 됨으로서 수학 학습에서 모든 연령과 수준에 무관한 상보적이고 상호 작용하는 가치를 수학 교육 연구에서 잊고 있었다. 본 논문은 발생적인 그리고 구성주의적 수학 학습에서 ”concrete”가 가져야 할 새로운 의미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의미의 “concrete“는 다양한 경험과 사물 그리고 지식과의 관계 맺음을 의미하는 ”connected“와 같은 맥락을 갖는다고 보고 몇 가지 수학교육에 관련된 의의와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97-215
    • /
    • 2001
  • 최근 수학적 사고력 연구가 구체적 수학내용에 기반한 활동과 조작에 대한 연구보다는 활동이나 조작을 통한 결과로 수학적 사고력에 접근하는 일회성 연구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수학에서 아동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장애을 겪는지에 주목하여,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수에서는 문자도입에 따른 추상적 상징의 수용과 이용부분에서, 기하에서는 논증기하의 증명도입과정에서 형식적, 연역적 사고 시작으로 아동이 수학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살에 주목하였다. 특히 논증 기하의 연역적, 형식적 증명은 논리와 추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논리와 추론은 고등학교 1학년과정 집합과 명제부분에 들어있어 아동은 논리와 추론에 대한 어떤 경험도,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증명을 하게 된다. 이에 교육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내용이 논증 기하가 도입되기 이전에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논리와 추론교육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공학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교육공학적 접근이 적극 권장되는 교육적 현실과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감안하여, 교과 내용과 연계된 컴퓨터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에 논리 및 추론 교육은 컴퓨터 교육으로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시간이나 정규수업 시간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논리와 추론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논리와 추론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내용으로 크게 이산수학과 중등 기하의 초등화하여 탐구하도록 하는 내용을,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논리와 추론 교육을 위한 LOGO 기반 마이크로월드를 설계, 이용하여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여기까지가 수학적 사고력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라면 후속연구로 이러한 가능성을 실험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 연구를 위한 Ethnography

  • 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49-361
    • /
    • 2001
  • 최근 수학교육에서 수학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배경에는 수학 교수-학습의 개혁은 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의 형태가 이러한 개혁의 비젼과 일치될 때 일어날 것이라 믿기 때문이라고 보아진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교사의 신념과 교실 규범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기 위하여 문화기술 연구법 (Ethnography)에 대하여 고찰하고, 수학교육 연구에서의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교육대학 학생들의 초등수학 개념 이해에 대한 분석연구)

  • Kim, Hae-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2
    • /
    • pp.365-384
    • /
    • 2010
  • This paper is an analysis study where we surveyed how well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taught in elementary school. We analyzed the results focusing on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equal sign and variables? Secondly, how exact are their understandings of othe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al concepts? The survey was done on the students in Teachers Colleg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 Kang, Ok-Ki;Han, Shin-Il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4
    • /
    • pp.381-393
    • /
    • 2007
  • The study focuses on what to consider and do for the improvement of math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by comparing freshmen and seniors of department of math education in their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 education. The major comparing topics in the beliefs are composed of perception of mathematics as a science, 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and roles and qualifications of math.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junior students tend to be more positive in their beliefs, especially in math education area than that of mathematics, compared to the freshmen. It implies that how important the role of topics covered in math education during college years is for changing the future teachers' beliefs in math and math education more positively. The supposed influenc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math. education are composed of learning reflection method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understanding mathematics as originated from the real world, mathematical pedagogy, text analysis, practice in classroom, and understanding various concepts in math. educatio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