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내용

Search Result 1,26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Analysis on Contents Sentences for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 Kang, Wa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5 no.3
    • /
    • pp.449-460
    • /
    • 2015
  • As a main body of a curriculum, a set of sentences stating mathematical cont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The contents sentences in the $7^{th}$ version, the 2007 version, and the 2009 vers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were analysed.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200 contents sentences. The final endings of those sentences are the type of ability such as "to be able to ~".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y disassembling and restructuring those contents sentences. We should state students' activities more concretely by varying the final endings in the curriculum.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Choe, Hyo-Il;Choe, Ho-Seong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 /
    • v.1 no.2
    • /
    • pp.139-162
    • /
    • 1997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교육과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찾아서 한국 교육과정의 사회적 및 개인적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후 한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미국의 경우 1980 년대 들어 서면서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작업에 노력해 왔으며, 한국도 1980 년대 후반부터 제 6 차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NCTM (미국 수학교사협회)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학교육의 표준을 설정하고, 향후 수학교육이 지향할 방향과 전략을 설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은 제 6 차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하여 1992 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물론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와 대상을 폭 넓게 정할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최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NCTM 의 일련의 교육 표준화 관련 연구들과 한국의 제 6 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일반적 성격, 기본 방향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고, 2) 양국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NCTM 의 교육과정 안에 명시된 중학교 과정의 수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물론 한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를 목표 및 내용 요소의 비교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향후 미국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은 내용의 조직, 방법, 평가, 그리고 운영계획 등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97-215
    • /
    • 2001
  • 최근 수학적 사고력 연구가 구체적 수학내용에 기반한 활동과 조작에 대한 연구보다는 활동이나 조작을 통한 결과로 수학적 사고력에 접근하는 일회성 연구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수학에서 아동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장애을 겪는지에 주목하여,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수에서는 문자도입에 따른 추상적 상징의 수용과 이용부분에서, 기하에서는 논증기하의 증명도입과정에서 형식적, 연역적 사고 시작으로 아동이 수학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살에 주목하였다. 특히 논증 기하의 연역적, 형식적 증명은 논리와 추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논리와 추론은 고등학교 1학년과정 집합과 명제부분에 들어있어 아동은 논리와 추론에 대한 어떤 경험도,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증명을 하게 된다. 이에 교육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내용이 논증 기하가 도입되기 이전에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논리와 추론교육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공학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교육공학적 접근이 적극 권장되는 교육적 현실과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감안하여, 교과 내용과 연계된 컴퓨터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에 논리 및 추론 교육은 컴퓨터 교육으로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시간이나 정규수업 시간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논리와 추론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논리와 추론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내용으로 크게 이산수학과 중등 기하의 초등화하여 탐구하도록 하는 내용을,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논리와 추론 교육을 위한 LOGO 기반 마이크로월드를 설계, 이용하여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여기까지가 수학적 사고력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라면 후속연구로 이러한 가능성을 실험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미분 단원의 내용 구성에 관한 고찰

  • Kim, Bu-Yun;Kim, Y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21-236
    • /
    • 2000
  • 오늘날 우리의 교육은 교육과정에 나와 있는 내용의 구성에 대해서는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하는가? 그리고 왜 강조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잘 전달하지 않은 채, 어려운 공식 ${\cdot}$ 원리 ${\cdot}$ 법칙 등의 유도와 문제풀이 등으로 인해 학생들은 점점 수학에 대해 흥미를 잃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미분과 적분 단원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 문제점을 살펴보고, 수학 학습이 학습자에게 좀더 의미 있는 활동이 되도록 미분과 적분 단원의 내용에 대한 바람직한 지도계열에 대해서 살펴보고, 지도시 특히 강조해야 할 점들을 대학수학에서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살펴본다.

  • PDF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of 5-year-olds' Mothers according to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만5세 유아 어머니의 수학교육내용별 중요성 인식 및 수학적 상호작용)

  • Kim, Ji Hyun;Kim, Jung Min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0 no.2
    • /
    • pp.175-19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of mathematical education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of 5-year-olds' mothers according to contents of mathematical education. Second, we intended to examine whether mothers'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al education predicted on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Third, we analyzed relative influence between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ncrete materials and worksheets on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151 mothers of 5-year-olds lived in D city and K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higher in 'number and arithmetic'. Second, mothers'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al education predicted their perceived importance in all content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in 'number and arithmetic', 'geometry', and 'algebra'. Third,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ncrete materials predicted better in most contents of mathematical education. Meanwhile, in 'number and operation',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worksheets did a predictive role in their importance awarenes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necessity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their 5-year-old children.

Study on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Chang, Hyewon;Lee, Hwayoung;Lim, Mii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5 no.2
    • /
    • pp.207-22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for securing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kindergarten curriculum. To do this, we considered the status of 'mathematical exploration' in Nuri curriculum and analysed the correspondence of content-domains and the continuity between Nuri curriculum for ages three to five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reveals that the classification of five content-domains both for 'mathematical exploration' of Nuri curriculum and for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incides. We also recognized th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which are considered as reverse continuity or as discontinuity of Nuri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all the five content domains. The former means being lower in levels or reduction in ranges from Nuri curriculum to elementary one. The latter means that som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are included in only one of the two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secure the continuity between Nuri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a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in Gifted Education Institutes attached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초등수학분야 영재교육원의 교육내용 사례 비교 연구)

  • Kim, Sang Mee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429-44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a for mathematically gifted focused on contents and graded sequences of those. Three cases of the curricula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including teachers' lesson plans and activity sheets for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gifted education institutes attached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y qualitative analysis, three cases are compared. The first, in a view of educational contents on mathematics,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were investigated. The second, how these contents were arranged according to grades was inquir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urther studies can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equences of education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connecting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a.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networks in which can allow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nd researcher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 PDF

교원양성대학의 복소해석학에서 다룰 내용

  • Jeong, Sun-M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299-301
    • /
    • 2003
  • 대부분의 중등학교 교사양성대학교 수학교육과 학생들은 복소해석학을 3학년이 되었을 때 꼭 수강해야 한다. 그런데 교과내용은 자연대학 수학과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다른 점이 별로 없다. 교과내용이 너무 어렵고 많을 뿐만 아니라 중등학교에서 수학교사로 일하는데에 별로 필요하지 않은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런 교과과정은 중등학교 수학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사양성대학에는 매우 불합리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오랜 세월 동안 이런 교과과정이 변하지 않고 지속되어 왔다는 것이 놀라올 뿐이다 이제는 오래되고 비현실적이며 비효율적이기따지 한 옛툴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너무 늦기전에 해야만 한다. 이런 취지에서 복소해석학의 교과내용을 새롭게 구성하려 하고 있으며 2003년 1월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한국교원대하교에서 열리는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에서 이런 연구내용과 건의사항 등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nd New Jersey Preschool Standards (한국과 미국의 유아 수학교육과정 내용 비교 연구: Common Core State Standard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를 중심으로)

  • Yu, Sun-young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3
    • /
    • pp.333-354
    • /
    • 2018
  • The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Nuri curriculum and contents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nd New Jersey Preschool Standards for mathematics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results as basi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Nuri curriculum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For the goal of this study, educational goals, categories of contents, and specific contents were reviewed. Firs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Nuri curriculum for mathematics provides comprehensive educational goals that promote problem-solving ability in everyday contexts with composing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contrary, CCSS and Preschool Standards provide specific educational goals that focus on children's mathematical skills and concepts. Second, the contents of both countries' curriculum concentrate on 'counting and cardinality', 'measurement', and 'spatial and geometric sense.' There are 5 categories of CCSS, 4 categories of Preschool Standards based on CCSS and one category of Nuri curriculum for mathematics. Third, there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urriculum in continuity from kindergarten to first grade and description method for curriculum.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대학수학 수업의 활용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29-160
    • /
    • 2002
  • 대학수학 수업에서 틈틈이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대학수학(미분적분학의 이해, 생활과 수학) 수업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경우 설명을 하여주고, 놀이를 통한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 과제(216가지, 105가지)를 각각 한 가지씩 내어준 다음 과제들에 대해 직접 실습을 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유아 수학교육과 대학수학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는가를 유아 수학교육 기초 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여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