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2.175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of 5-year-olds' Mothers according to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Kim, Ji Hyun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Kim, Jung Min (서울대학교 어린이보육지원센터 느티나무어린이집)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2, 2014 , pp. 175-1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of mathematical education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of 5-year-olds' mothers according to contents of mathematical education. Second, we intended to examine whether mothers'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al education predicted on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Third, we analyzed relative influence between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ncrete materials and worksheets on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151 mothers of 5-year-olds lived in D city and K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were higher in 'number and arithmetic'. Second, mothers'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al education predicted their perceived importance in all content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in 'number and arithmetic', 'geometry', and 'algebra'. Third,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ncrete materials predicted better in most contents of mathematical education. Meanwhile, in 'number and operation', moth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worksheets did a predictive role in their importance awarenes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necessity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contents and methods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their 5-year-old children.
Keywords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perceived importance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al interaction; understanding of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ncrete materials and workshee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evin, S. C., Suriyakham, L. W., Rowe, M. L., Huttenlocher, J., & Gunderson, E. A. (2010). What counts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number knowledge?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309-1319.   DOI   ScienceOn
2 NAEYC & NCTM (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 : Promoting good beginnings. Washington, DC : NAEYC.
3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5 NCTM (2006). Curriculum focal points for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8 mathematics. Reston, VA: NCTM.
6 Ness, D. (2001). The development of spatial thinking, emergent geometric concepts and architectural principles in the everyday contex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USA.
7 Whitin, D. J., Mills, H., & O'Keefe, T. (1990). Liv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Stories and strategies for supporting mathematical literacy. Portsmouth, NH : Heinemann.
8 Young-Loveridge, J. M. (2004). Effect of early numeracy of program using number books and gam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1), 82-98.   DOI   ScienceOn
9 김석우, 최용석(2001). 인과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 학지사.
10 김유정, 이정아(2013). 유아 수학학습과 언어학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연구. 사고계발, 9(1), 177-195.
11 김지현, 김정민(2013).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97-10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2 김창복(1999). 동반자적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3(1), 195-218.
13 박덕숭(2010). 유아(현직.예비)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관한 인식. 한영논총, 14, 287-306.
14 양병화(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5 강 상(2012) 유아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모형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7 박양덕(2000).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연옥(2006). 학부모와 초등교사 및 유치원 교사의 취학 전 유아의 문자.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백경미, 최보가(2006).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수학 활동 유형과 맥락. 한국영유아보육학, 37(6), 25-45.
20 서문희, 양미선(2013).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89-207.
21 여은진(2004).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환경 및 교수만족도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6, 27-47.
22 이경은(2010). 자녀의 연령에 따른 가정수학교육 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정욱, 유연화(2006). 유아수학교육. 서울: 정민사.
24 이현경(2011). 부모 인식을 통한 가정에서의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 및 수학 관련 놀잇감 활용 실태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4), 745-757.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5 이현경, 박희숙(2010).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71-190.
26 이혜은, 최혜진(2005). 수학교육의 연계방안 모색을 위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103-129.
27 최혜진, 이혜은(2005).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5(2), 27-48.
28 임순화, 권은주(2005). 수 관련 동화가 유아의 수리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37-58.   과학기술학회마을
29 장옥남, 권민균(2009).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조사. 과학논집, 35, 131-146.
30 정정인(2004).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한종화(2007).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유아교육논문집, 11(4), 29-54.
32 한종화(2008). 가정수학활동의 현황과 어머니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관계. 유아교육논문집, 12(3), 5-24.
33 Eccles, J., Wigfield, A., Harold, R. D., & Blumenfeld, P. (199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 and task perceptions during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64(3), 830-847.   DOI   ScienceOn
34 허영미(2012). 유아 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수학교육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Baroody, A. J. (1987).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 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preschool, primary, and special education center. New York : Teacher College Press
36 DeVries, R., & Kohlberg, L. (1987). Constructivist early education : Overview and comparison with other programs. Washington, DC : NAEYC.
37 Ginsburg, H. P., Inoue, N., & Seo, K. H. (1999). Young children doing mathematics : Observation of the everyday activities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Reston, VA: NCTM.
38 권영례, 이영자, 이정욱(1998). 3, 4, 5세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 모델 개발의 준거. 서울: 창지사.
39 NCTM (1995).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