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검색결과 2,459건 처리시간 0.029초

제 1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의 현대적 재조명 (Re-Interpretation on the Korean Middle Grades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1st Curriculum)

  • 반은섭;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83-110
    • /
    • 2014
  • 본 논문은 제 1차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개발된 중학교 수학교과서를 오늘날의 국내 외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한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현행 교과서 및 미국에서 최근 사용되고 있는 수학교과서인 MiC 교과서와 비교했다. 제 1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는 모든 단원에서 실생활의 다양한 상황을 토대로 문제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련의 문제들을 통하여 수학개념을 도입하는 형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수학적 개념을 연결하여 제시하고 있고, 표, 그래프, 식 등의 수학적 표현을 상호 연계하여 사용하게 하는 활동이 포함되어 있으며,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 간의 토의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의 제 1차 교육과정 및 수학교과서에 대한 현대적인 재조명을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의미와 교수-학습법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09-216
    • /
    • 2004
  • 제 7 차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 이산수학이 수학과 선택과목으로 채택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의 이산수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교수-학습법에 대한 기준과 표본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고등학교에서 이산수학을 선택하는 학교와 학생의 수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산수학 교육의 상황 개선을 위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본연의 의미와 제 7 차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의 이산수학 교육의 취지 및 목표 등을 고려하여 교육학적으로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Process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 방정숙;이지영;이상미;박영은;김수경;최인영;선우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89-308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4개국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10가지의 요소 즉, 개념 원리 법칙 기능의 학습, 수학적 문제해결력, 수학적 추론 능력,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수학적 표현 능력, 수학적 연결 능력, 수학적 창의력, 수학적 인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긍정적 태도를 추출하였고, 이에 대한 교육과정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6차, 7차 교육과정에서 실용수학에 관한 연구

  • 전영배;최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95-304
    • /
    • 2004
  • 수학교과서는 수학 교수-학습의 매개체로서 그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는 수학 교육을 조명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간의 수학 교과서를 비교 ${\cdot}$ 분석한 것은 여럿 있으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비교 ${\cdot}$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제 6, 7차 교육과정에서 실용수학의 편제 ${\cdot}$ 성격, 목표, 영역명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내적체제 면의 유사점과 차이점 및 각 영역에서 학습 내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비교 ${\cdot}$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6.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수학 교과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좀 더 나은 교과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의 재구조화 연구 (A study on restructuring of 'Number and operations area'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2호
    • /
    • pp.167-183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와 연산 영역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수학 학습내용의 재구조화 방향 제시를 위한 문헌 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제시된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의 수학 학습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비교 분석의 기준을 3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설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수학 학습내용으로 내용요소와 학습요소로 세분화하여 기본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기본 분석틀을 기초로 수와 연산 영역의 핵심 이슈가 되는 수학 학습내용을 추출하여, 추출된 수학 학습내용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유의미한 재구조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수학과 수학 I 확률 및 통계단원 분석 (A Study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Practical Mathematics and Mathematics I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장대흥;이효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18권2호
    • /
    • pp.453-469
    • /
    • 2005
  • 우리나라 초${\cdot}$${\cdot}$고등학교 확률 및 통계영역 교육은 1997년 교육 인적 자원부 고시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현재 초${\cdot}$${\cdot}$고등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다. 교과서 전수 조사를 통하여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수학 및 수학 I 확률 및 통계단원을 분석하였고 제 6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 검토하였다.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xpression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 도종훈;박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1-5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수학 용어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기준으로 교수요목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인 수학 용어들을 조사하여 정리한 뒤 수학 용어 표현에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그 변화를 분석하고, 각 교육과정 시기별 수학 용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현행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방식은 제2차 교육과정과 제3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표준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학교 수학 용어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용어의 한자화'와 '표현의 한글화'인 것으로 보인다.

  • PDF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New Zealand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Connectivity between Standards into Curriculum)

  • 조성민;박지현;최인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423-441
    • /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함에 따라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혁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 뉴질랜드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뉴질랜드 교육 체제 및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연계성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 교육 체제 및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뉴질랜드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교과에서 진행된 연계성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계성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중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준의 성취목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에서 이공계열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의 학습내용 성취수준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실세계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통계적 탐구 활동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성 측면에서는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다루는 개념 또는 내용의 범위가 넓어지거나 수준이 높아지는 '심화'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rly 20th century)

  • 이상구;함윤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54
    • /
    • 2009
  • 초등(elementary), 중등(secondary)교육에 이어지는 대학 및 직업 교육을 총칭하여 고등(tertiary) 교육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정과 정규대학 교과과정으로의 정착 과정을 확인한다. 우리의 고등 수학교육은 산학자의 전통수학, 육영공원, 원산학사, 1895년 교육과정에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한 성균관, (교동)소학교, (교동)한성사범학교, (한성)중학교, 민족 사립학교, 종교학교, 배재학당 및 이화학당의 대학부, 숭실대학, 사범학교, 관 공립전문학교, 사립전문학교, 경성제국대학, 경성대학, 국립서울대, 김일성대를 시작으로 해방과 함께 전국의 주요대학을 통하여 전수, 발전 확산되며 오늘에 이르렀다. 1900년 근대 수학교과서의 발간을 시작으로 1909년까지 한글로 쓰인 근대 수학책이 봇물 터지듯 발간되었다. 그러나 오랜 수학적 연구의 전통과 1880년대에 시작된 고등교육에서의 서구식개혁노력은 1905년 이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간섭부터 시작하여 1910년 한일합방을 계기로, 특히 중등교육이상의 수학교육과 수학적 연구의 전통은 천천히 붕괴되었다. 최소한 1910-1945년 사이에는 한반도에 중등교육이나 교양수학의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고등 수학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었을 때 한국은 모든 전문 직종에서 심각한 인력난을 겪었다. 특히 수학과가 단 하나도 없어 수학분야 이학사가 10여 명도 못되는 수학분야의 교수인력의 부족은 심각하였다. 단 한명의 교수도 연구경험을 가지지 못한 수학분야의 상황은 한국이 21세기 현대수학의 주류에 진입하는 과정에 큰 걸림돌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설된 다양한 국 공립 및 사립학교들에서 대학수학이 교수되었고 교육과정이 국제기준으로 정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근대 고등수학이 누구에 의하여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어떤 교재로 누구에 의하여 지도 되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규 대학과정의 교육과정으로 정착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 PDF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