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표면 분류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이차원표층방류밀도분류의 k-$\epsilon$ 모델에 의한 수치해석 (An Numerical Analysis of 2-Dimensional Surface Buoyant Jets by k-$\epsilon$ Turbulence Model)

  • 최한기;허재영;강주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1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93-97
    • /
    • 1991
  • 수표면에 방류되는 온배수등의 흐름과 같은 표층방류밀도분류는 자유난류의 전단류 효과와, 방류수와 주위수의 밀도차에 기인하는 부력효과를 동시에 받는 흐름장을 형성한다. 또한, 이 흐름은 수표면 및 밀도계면에 의해 2 개의 자유경계에 둘러싸인 특이한 경계조건때문에 개수로 흐름으로 대표되는 자유전단류와 구별된다.(중략)

  • PDF

위성영상 및 CNN을 활용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 시계열 분석 (Temporal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rface Area using Remote Sensing and CNN)

  • 양미혜;남원호;이희진;김태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8-118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 상승에 따른 가뭄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 가뭄은 강수량 부족, 토양 수분 부족, 저수량 부족 등 농업분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관련되어 있어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한다. 우리나라는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농업 가뭄은 주수원공인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수리시설물의 모니터링, 공급량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 파악이 필요하다. 수자원 분야에서 지점자료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 및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탐지 및 시계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 자료는 5일 주기 및 10 m 공간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딥러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00장 이상의 영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하였으며, CNN은 주로 이미지 분류나 객체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로 최근 픽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높은 정확도의 수표면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N 기반 수표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Sentinel-2 영상 기준 경기도 안성시를 대상으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저층방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

  • 김철;김대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 보고서
    • /
    • pp.93-111
    • /
    • 2004
  • 온수 방류방식의 분류는 냉각수 공급방식별로 냉각수 통과방식(once-through cooling system)과 냉각수 재순환방식(closed-cycle cooling: system)으로 구분된다. 배출구조별 분류는 수표면방류 방식(surface discharge type)과 수중방류 방식(submerged discharge type)으로 구분된다. 국내 외의 연구결과 수중 방류방식이 희석효과가 좋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국내의 발전소에서는 대부분 수표면방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중략)

  • PDF

표층밀도분류의 3차원 수치해석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Surface Buoyant Jets)

  • 허재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52-162
    • /
    • 1991
  • 하구유출유의 유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3차원 표층밀도 분류에 관한 자유수표면을 갖는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난류전단응력 및 난류부력 유속은 과동점성 및 과동확산의 항으로 표현되었다. 방류수와 주위수와의 밀도차에 기인하는 성층안정효과는 경험공식에 의해 고려되었다. 기발표되어 있는 많은 실험결과와 본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와의 비교로부터 본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최적한 성층화 함수를 확정하였다. 표층밀도분류의 3차원적인 거동특성을 조사하고, 밀도 Froude수, 방류구의 형상비 및 수표면의 변동이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

SAR 영상을 활용한 저수지 수표면적 탐지 알고리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eservoir Surface Area Detection Algorithm Using SAR Image)

  • 정하규;박종수;이달근;이준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777-1788
    • /
    • 2022
  • 저수지는 국내 영농환경에서 주요한 용수 공급처이며, 저수지의 저수량 파악은 농업용수의 활용 및 관리차원에서 중요하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는 저수지와 같이 광역적으로 분포하는 객체에 대하여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본 연구에서는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통해 영상분류 및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국내 저수지 53개소의 수표면적 탐지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알고리즘은 Neural Network (NN),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Otsu, Watershed (WS), Chan-Vese (CV)로 총 6가지이며, 드론으로 촬영한 실측 정사영상으로 수표면적 탐지 결과를 평가하였다. 각 알고리즘으로부터 산출된 수표면적과 실측 수표면적간의 상관성은 NN 0.9941, SVM 0.9942, RF 0.9940, Otsu 0.9922, WS 0.9709, CV 0.9736로 나타났으며, 저수지 유효저수량의 규모가 클수록 더 높은 선형 상관관계를 보였다. 혼동 행렬로부터 산출한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을 통해 알고리즘간 수표면적 탐지 정확도와 탐지 경향을 분석하였다. 정확도의 경우 각 10만 m3 미만 저수지에서 WS가 0.8752, 10만~30만 m3에서 Otsu가 0.8845, 30만~50만 m3에서 RF가 0.9100, 50만 m3 이상에서 Otsu와 CV가 0.9400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WS의 경우 수표면적을 미탐지하는 경향으로 인해 낮은 재현율을 보였고, NN, SVM, RF의 경우 과대 탐지로 인한 낮은 정밀도를 보였다. SAR 영상을 통한 수표면적 탐지 시 저수지 수표면의 수생식물 및 인공건축물이 미탐지를 발생시키는 오차 요소로 작용함을 분석결과 및 실측영상을 통해 확인하였다.

난류모형을 이용한 表層密度噴流의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f Buyoyant Surface Jet with Turbulence Models)

  • 최한기;중십계
    • 물과 미래
    • /
    • 제29권2호
    • /
    • pp.221-233
    • /
    • 1996
  • 2차원 표층밀도분류의 특성을 동역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할 경우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성층상태에서 난류수송의 평가와 자유수표면의 처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표층밀도분류에 대한 내부흐름의 연직방향구조를 동역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해서 비정수압 근사 및 대수응력모형(ASM) 을 사용하여 SIMPLE로 알려진 수치모형을 적용하였다. $\kappa-\varepsilon$모형의 결점인 난류의 이방성을 고려한 대수응력 모형(ASM)을 사용한 2차원 표층밀도분류 수치모형은 밀도계층에 포획감쇠 및 자유수면에서 난류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었다. 대수응력모형(ASM)에 의한 유동장의 계산결과는 $\kappa-\varepsilon$ 모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상당히 개선되였으며, 수리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여 모형의 적용성이 검증되었다.

  • PDF

인공위성데이타를 이용한 간척지역의 환경정보의 추출 (Extrac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s for Reclaimed A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 안철호;김용일;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Landsat데이타를 이용하여 간척전후의 토지이용분류를 하였으며, 열적외선 Band(TM Band6)데이타로부터 지표면온도를 추출하였다. 인공위성데이타를 이용함으로서 간척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열적외선 데이타값을 지표면 및 수표면온도로 변환함으로서 간척지주변지역의 열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의 인공위성데이타 및 관련정보와 결합되어 대규모간척지의 효율적 국토관리에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한국산 쌍뾰족혹히드라(히드라충강, 종히드라과)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Obelia bicuspidata Clarke, 1875(Hydrozoa, Campanulariidae)in Korea)

  • Lee, Woo-Jin;Park, J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71-177
    • /
    • 2001
  • 작약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쌍뾰족혹히드라(Obelia bicuspidata Clarke, 1875)의 생활사를 서식지와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쌍뾰족혹히드라는 종히드라과(Campanulariidae)에 속하고 주로 뻘 해안에 있는 작은 바위 또는 굴의 패각에 부착한다. 해파리를 방출하며 해파리 눈(medusa buds)은 일년에 2번, 즉 3월과 6월 사이, 9월과 10월 사이에 발달한다. 폴립 성장의 최적온도는 4-8$^{\circ}C$로 나타났고 수온이 9$^{\circ}C$이상으로 올라가면 퇴화하기 시작하여 수표면 온도가 약 25一되는 8월에는 히드라협이 모두 퇴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파리는 작고 폴립에서 방출된 후 약 9일 후 생식선이 발달하였다. 본 연구에서 쌍뾰족혹히드라는 냉수성 종으로 판명되었다.

  • PDF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서식지 선택과 환경특성 (Habitat Selec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s of Acheilognathus signifer)

  • 백현민;송호복
    • 생태와환경
    • /
    • 제38권3호통권113호
    • /
    • pp.352-360
    • /
    • 2005
  • 홍천강 상류의 내촌천에서 한국고유종인 A. signifer의 서식처 선택과 환경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 signifer가 밀도 높게 분포하는 내촌천은 하천의 차수는 4차에 해당하였고,유폭이 넓으나 상대적으로 수심은 낮았으며, 만곡도는 1.83으로 매우 높아 전체적인 하천의형태가 매우 구불구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폭 : 하폭의 비는 1.59로 하천 변으로부터 중심부까지 경사가 완만하게 파여진 형태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요소들로 하천을 분류하면 내촌천은 B type에 해당되었다. A. signifer의 자연적인 서식처는 큰 돌들이 겹겹이 포개져 물의 흐름을 막아 형성된 backwater pool 등의 유속이 느린 소가 형성되고, 하상이 주로 큰 돌과 모래로 구성되어, 산란숙주의 서식이 가능하며, 큰 돌이 은신처 역할을 할 수 있는 미소서식처를 선택하였다. 서식에 생물학적 제한요인(biological limit factor)인 작은말조개의 존재 여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 signifer는 부화 직후 수표면 근처에서 서식하다가 성장하면서 점차 하천의 저층으로 이동하였다. 봄에는 산란을 위해 작은맡조개 주위에서 생활하다가 산란기가 끝나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무리를 지어 수변대에서 서식하고, 겨울에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월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