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직구분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적용

  • Song, Seong-Ho;Lee, Gyu-Sang;Kim, Jin-Seong;Seong, Baek-Uk;U, Myeong-Ha;Seol, Min-Gu;Lee, Byeong-Ho;Gwon, Byeong-D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93-102
    • /
    • 2005
  • 변산반도 서부 해안지역의 소규모 유역에 대하여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의 범위를 공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시추자료를 포함한 전기비저항 탐사와 지하수의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다층 구조로 되어있는 대수층 내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해 낼 수 있는 수직탐사법을 이용하였으며, 탐사결과 겉보기비저항 곡선은 H type에 해당함을 알았다. 시추에 의해 3층 구조로 밝혀진 연구지역에 대하여 총 30 지점에 대한 H type 수직탐사 자료의 1차원 역산결과, 중간층과 상/하부층의 비저항 크기 차이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전도도 지역, 중간지역, 저전도도지역 등 3가지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15개 지점의 천부 지하수 관정에서 채취된 지하수 시료 분석결과를 TDS에 대한 HCO3/Cl과 Ca/Na 몰비로 도시하였는데, 그래프의 기울기에 따라 크게 2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수직탐사의 3가지 영역과 지하수 수질 분석에 의한 2가지 그룹을 비교한 결과 낮은 농도의 HCO3/Cl과 Ca/Na를 나타내는 관정은 고전도도 지역에 위치하며, 높은 농도의 HCO3/Cl과 Ca/Na를 나타내는 관정은 저전도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결과와 지하수 수질분석 결과를 복합 해석하는 경우 시추자료가 제한적인 해안지역 대수층을 통한 해수침투 범위를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from a Vertical Ice Circular Cylinder in Pure Water (순수물속에 있는 수직얼음 원기둥에 의한 자연대류의 수직해석)

  • Kim, B. 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7 no.4
    • /
    • pp.483-488
    • /
    • 1983
  • 비교적 저온의 순수물 속에 있는 수직얼음 원기둥 주위에서 일어나는 자연대류 현상을 수치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이론적인 해를 추구하였으며 기존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유동의 형태는 주위 유체의 온도에 따라서 상향유동, 하향유동, 이 양자가 동시에 존재하는 유동의 형태로 구분되었으 며 해를 구할 수 있는 영역내에서는 상향유동과 하향유동이 동시에 존재하는 구역에서 열전달율 이 최소가 됨을 알 수가 있었다.

성과관리와 성과평가에서 공유지표의 중요성에 관한 고찰

  • Choe, Hyeong-Seop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45-750
    • /
    • 2007
  • 기업의 성과관리와 성과평가 분야에서 성과지표의 분류는 조직의 내부 구성관계 즉, 수직적 (vertical) 구조(전사-본부-팀)와 수평적 (horizontal) 구조(본부와 본부 혹은 팀과 팀간)의 공유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나 기존 연구(Lipe & Salterio 2000, Dilla & Stcinbart 2005)에서는 공통지표와 고유지표라고 하는 수평적인 측면만이 고려되고 수직적인 측면은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조직의 성과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하부조직이 전사 전략에 집중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사의 비전을 위한 전략목표달성에 기여한 정도를 측정하여 보상과 연계하는 것은 성과관리제도가 추구하는 기본 방향이며 도입목적이기도 하다. 그런데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조직구성 관계의 수직적 측면에서 전사지표의 정렬(Alignment)을 통한 공유와 할당(Cascading)된 지표의 가중치를 고려해 볼 때 고유지표는 재 정의하여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특정 부서의 지표 중에는 전사 혹은 상위부서에 반영되어 공유하고 있는 고유지표(이하 공유지표)와 전사 혹은 상위부서에는 반영되지 않고 해당 부서만 독점하고 있는 순수한 고유지표(이하 고유지표$^{1}$)로 구분되어야 하며 공유지표와 고유지표의 분류에 따라 가중치 설정이 달라져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이 성과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하부조직이 전사전략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해 공통지표와 고유지표를 사용하고 있는데(Dilla & Steinbart 2005), 고유지표를 공유지표와 고유지표로 재 정의하고 분류하여 관리 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각각의 지표 분류에 따라 가중치 설정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and Optimum Beam Combination for Vertical Sectorization in LTE Systems (LTE 시스템에서 수직적 섹터구분 방식의 성능 분석 및 최적 빔 조합 도출)

  • Suh, Pan-Kyu;Park, Chang-Min;Cho, Gyu Seong;Park, Haesung;Kim, Duk K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A no.3
    • /
    • pp.158-160
    • /
    • 2014
  • Recentl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active array antenna techniques, various sector beams can be applied to the LTE systems with vertical sectorization.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and suggest an optimum beam combination and parameters by using a system level simulator

Vehicle Detection Scheme Based on the Symmetry of Horizontal and Vertical Edge Features (수평 및 수직 에지 성분의 대칭성 기반 차량 검출 기법)

  • Han, Sung-Ji;Chung, Hwan-Ik;Hahn, Her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51_1852
    • /
    • 2009
  • 본 논문은 차량 영역에 나타나는 수평, 수직 에지 특성만을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차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을 포함하는 입력영상의 긴 수직 에지 성분을 찾아 차량의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영상의 에지 성분의 누적 대신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긴 수직 에지 성분을 찾음으로써 차량의 후보 영역의 검출과 동시에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도로와 접하는 차량의 하단부를 함께 검출한다. 후보 영역 내에서 차량과 비 차량을 구분하는 검증 단계에서는 차량의 후면의 대칭성(Symmetry)을 이용하여 후보 영역 내에서 차량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바닥 점 위에서 좌측과 우측의 유사도(Matching rate)를 이용하여 차량과 비 차량을 판별한다. 기존의 템플릿 기반 방법이나 외관 기반 방법이 아닌 에지 성분만을 이용하여 후보 영역을 결정하고 검증하기 때문에 다른 검출 기법들에 비해 비교적 검출 시간이 짧고 실시간 차량 검출에 적합하다.

  • PDF

Interpretation of Emergence of Urban Civilization by Sinuosity Ratio (都市文明의 發生과 肢節率)

  • 남영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3
    • /
    • pp.427-435
    • /
    • 2000
  • 본 연구는 인문.사회현상도 자연현상과 마찬가지로 수학적 해석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시도된 것이다. 인류의 문명사는 공간상에 전개된 인간행동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행동과학적 기법을 이용하며 인류문면이 발달한 지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 도시의 발생은 잉여생산품과 인구규모, 수송가능성등의 지리적 비교 우위로 설명 될 수 있으며, 그것은 $\ulcorner$지절$\lrcorner$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는 것이다. $\ulcorner$지절$\lrcorner$은 수평지절과 수직지절로 구분되면, 지절의 정도는 지절률로 측정될 수 있다.

  • PDF

수직한 벽면에서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 박수기;김무환;유건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217-223
    • /
    • 1996
  •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계수를 수직한 벽면에서 측정하고 상관식을 개발하였다. 열전달 상관식은 액막측과 증기측으로 구분하여 만들었고, 액막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액막의 Reynolds수와 Prandtl수의 함수로 나타냈으며,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증기의 Reynolds수, Prandtl수, Schmidt수 및 공기의 질량분율, 액막 Reynolds수의 함수로 제안하였다. 응축 액막의 두께와 확산층의 순간온도 측정결과로부터 액막의 파형 계면이 확산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에 포함된 액막 Reynolds수가 파형 계면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 PDF

Language Identification of Character-level in Document Image (문서영상의 낱자 단위 언어 구분)

  • 권세광;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13-615
    • /
    • 2003
  • 본 논문은 문서 구조분석을 통해 얻어진 텍스트 영상에 대해 낱자 단위 분할 과정과 분할된 낱자에 대한 언어 구분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8방향 연결 요소를 이용한 레이블링을 수행하고 각 레이블의 거리관계와 한글 종모음의 특징을 이용하여 낱자 분리를 수행한다. 분리가 이루어진 낱자의 언어 구분은 각 낱자에 존재하는 concavity 특징을 이용하여 한글과 영어로 구분하게 된다. Concavity 특징을 찾기 위해 낱자를 이루는 흑화소 중 수직런을 이루는 흑화소 중 일부와 세리프 성분을 제거하며 그 방법을 기술한다. concavity 특징은 분리기를 통해 한글과 영어 두 가지로 분리되며, 분류기는 신경망을 이용한다. 제안된 방법은 20개의 텍스트 영상에 총 7923개의 낱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낱자 분리는 97.20%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분리된 낱자에 대한 언어 구분은 92.70%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EXTRACTIONS IN FACIAL VERTICAL CHANGES (발치가 안모의 수직변화에 미치는 영향)

  • Ma, Joon;Yoon, Young-Jooh;Kim, Kwang-W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6 s.65
    • /
    • pp.905-91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ere to evaluate facial vortical changes occurring in patients treated orthodontically with first premolar, second remolar and second molar extractions : to compare these changes with those occurring in patients treated orthodontically without extractions : and final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tractions in facial vortical changes. Cephalometric records of 50 male & female nonextraction patients and 88 male & female extraction patients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t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Dentistry. The second molar fully erupted pPatients to have little variation according to growth were chosen as the sample for this investigation. For comparisons, the samples of 88 male & female extraction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42 first premolar extraction, 24 second premolar extraction, and 22 second molar extraction patients. Fourteen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selected to examine whether orthodontic extraction treatment led to vertical changes or not.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phs were taken on the same radiographic unit. $SPSS/PC^+$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mpare and to analyze the changes between 'before &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ny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before & after' orthodontic treatment regardless of orthodontic extractions for each group. 2. On average, the upper 6 to palatal Plane and the lower 6 to mandibular plan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ere increased in all group. This means most of orthodontic mechanics are extrusive in nature. Especially, in orthodontic extraction. cases, it may be caused by orthodontic mechanics for space closure and alignments. 3. On average, in the second molar extraction group, the facial vertical dimension was increase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t nay be induced as a result of moving the molars distally to gain enough space to correct the molar relationship and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deep bite.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rthodontic extractions and facial vertical changes. This means that orthodontic extractions have no influence on facial vortical changes. 5.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ficial vertical changes for each group were PP-MP, Op-MP, $\underline{1}$ to PP and $\overline{1}$ to M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