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준차이

검색결과 9,460건 처리시간 0.033초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기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grams of Human Rights in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Directo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Gyeonggi-do, Gyeongsangbuk-do, Jeollanam-do)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71-280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러한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경북, 전남지역 시설장 114명을 대상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인권의 인식 수준과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중요도 인식과 현재 실행도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주시설 인권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시설 인권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의 차이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전략을 수립하고자 IPA matrix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산란계에 대한 하절기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Optimum Laying Hen Diet during Summer Period)

  • 오세정;강경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9-246
    • /
    • 1988
  • 본 시험은 하절기 산란계의 생산성 저하 방지 및 사료효율개선을 목적으로 하절기 산란계 사료의 적정 에너지수준 및 단백질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kcal/kg) 과 단백질 2수준(15%, 17%)을 조합한 6개 처리에 49주령 된 산란기 480수를 공시하여 1988년 6월 10일부터 1988년 9월 1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은 전처리구에서 98.75~100%로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간에도 일정한 경향이나 큰 차이가 없었다. 2. 산란율, 난중 및 산란량은 대사에너지 2,500 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각각 84.37%, 62.29g, 그리고 52.55g으로 가장 우수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점차 낮아졌고, 사료 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유의하게 높아졌으나(p<0.05), 산란율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과 2,700kcal/kg, 난중은 2,500kcal/kg과 2,700kcal/kg 및 2,700kcal/kg과 2,9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사료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55%수준에서 118.28g/day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 섭취량은 유의하게 감소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대사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900kcal/kg, 단백질 15%수준에서 326.60kcal/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단백질섭취양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19.99 g/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사료 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사료 요구율은 대사에너지와 2,500kcal/kg과 단백질 17%수준에서 2.24로 가장 낮았으나, 사료중 대사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7. 산란kg당 대사에너지와 단백질 요구량은 2,900kcal/kg와 15% 및 2,700kcal/kg와 17%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각각 6871.64kcal와 385.76g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중의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산란kg당 대사에너지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단백노요구량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사료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당 대사에너지 요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산란당 단백질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산란kg당 사료비는 2,500kcal/kg과 15%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279.84 won으로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하절기 산란계사료의 적정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은 각각 2,500kcal/kg과 17%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학농구 선수들의 심판 판정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basketball players the referee decision)

  • 유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441-451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농구선수들이 느끼는 심판 판정 인식조사를 분석하여 선수들과 심판의 판정결과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키고 공정하며 일관성 있는 심판판정을 통해 한국대학농구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분석 결과 대학선수들은 성별에 따라 심판판정 인식 및 경기 영향력은 공정성, 신속성, 일관성, 신뢰성에서 p<.05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출전에 따라 심판판정 인식 및 경기 영향력은 신속성에서 p<.05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지션에 따라 심판판정 인식 및 경기 영향력은 신속성에서 p<.05수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판판정 인식에 따른 경기 영향력은 공정성, 신속성, 신뢰성에서 p<.001 수준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판배정 선입견에 따른 경기 영향력은 심리상태, 경기력에서 p<.001 수준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결정에서의 자기관련성 수준에 따른 틀효과의 차이 (Differential Effects of Self-relevance Levels on Framing Effects in Decision Making)

  • 주미정;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77-186
    • /
    • 2013
  •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틀유형(긍정틀 vs. 부정틀)과 자기관련성 수준(저 vs. 고)의 조합에 따른 의사결정 틀효과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을 긍정틀 조건과 부정틀 조건에 할당한 후, 참가자 자신의 개인적 사안이나 혹은 사회 일반적 사안으로 자기관련성 수준이 조작된 여섯 가지의 의사결정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추구와 위험회피의 틀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틀 조건보다는 부정틀 조건에서의 틀효과가 더 작은 경향이 있었으나, 자기관련성 저수준 조건과 자기관련성 고수준 조건 사이에서는 틀효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관련성 수준과 틀유형 조건 사이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즉, 긍정틀 조건에서는 자기관련성 수준에 따른 틀효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던 반면, 부정틀 조건에서는 자기관련성 저수준 조건의 경우보다 자기관련성 고수준 조건의 경우 틀효과가 유의하게 더 작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자기관련성은 틀효과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지만, 이러한 효과는 부정틀 조건과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fMRI에 나타난 모국어와 외국어로서의 한국문자와 중국문자의 차이 (Two Languages in One Brain Shown by fMRI: Orthography Specific Effects in L2)

  • 이동훈;이홍재;문찬홍;유재욱;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6-221
    • /
    • 2002
  • 본 연구는 문자 규칙 심층성이 다른 문자체계인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가 이중언어화자의 모국어 처리와 외국어 처리에서 각각 어떤 대뇌 활성화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어 (Ll)-한국어(L2) 이중언어화자 및 한국어(Ll)-중국어(L2) 이중언어화자를 제 2언어 습득시기에 따라 초기 및 후기 이중언어화자로 구분하여 모국어 차이와 습득시기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어휘 판단 과제(lexical decision task)를 실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의미 판단 과제(semantic decision task)를 각각 실시하였다.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 1의 결과는 음운처리와 관련된 좌반구 SMG(supramarginal gyrus), 하두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BA 39, 40)에서 중국어-한국어 초기 및 후기이중언어화자의 경우, 한국어 조건에서 보다 많은 활성화를 보였으나, 한국어-중국어 화자의 경우 활성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철자처리에 관련된 방추상회(fusiform gyrus, BA 37, 19) 영역에서는 중국어-한국어 화자뿐만 아니라, 한국어-중국어 인중언어화자의 경우도 중국어 조건에서 보다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실험 2에서 사용한 의미판단과제의 경우,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화자의 경우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 1의 결과에서 보고된 한국어 특정적인 반응, 즉 SMG영역에서의 활성화의 증가가 실험 2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화자의 경우, 실험 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철자처리 혹은 의미처리와도 관련된다고 보고되는 방추상회(fusiform gyrus)등의 영역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이는 어휘 판단과제와 의미판단과제가 유도하는 뇌 활성화 양상이 다름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이중언어화자의 뇌 영상 연구에서 어휘수준에서는 거의 공통적인 활성화를 보인다는 개략적 수준의 연구 결과를 넘어, 음운처리 및 철자처리와 같은 어휘접근 수준에서는 이중언어화자들의 뇌 활성화가 다르게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중언어 화자의 뇌 기전을 밝히기 위해서도 보다 개략적 수준을 넘어 언어처리의 세부적인 수준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웹사이트 사용자 경험 평가에 대한 자기모니터링의 영향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User Experience about Website)

  • 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7-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사용자 개인의 자기모니터링 수준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조사를 위해 116명의 대학생들에게 사전 지식에 차이가 있는 두 개의 낯선 웹사이트 화면이미지의 사용자 경험(사용성, 심미성, 즐거움 반응)을 측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자기모니터링(고/저, 중간 그룹 제외)과 사전지식(고/저, 중간값 제외)이었으며, 종속변수는 사용성 편차, 심미성 편차, 즐거움 편차로 두고 분석하였다. 이때, 편차는 평균으로부터 개인 측정값들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분석 결과, 낯선 웹사이트 이미지를 볼 때, 자기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은 자기모니터링 수준이 낮은 사람보다 사용성 편차와 심미성 편차의 차이가 더 컸다. 특히 사전 정보가 적은 경우에서는 자기모니터링 수준에 따라 더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즐거움 평가의 편차에서는 자기모니터링 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사회.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Fathers)

  • 김경훈;김형재;이은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2
    • /
    • 2013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세 104명과 6세 160명, 총 264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학력, 소득수준, 직업을 조사하였고, 담임교사에 의해 그들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이 측정되었다. 자료 처리는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대한 사회 경제적 지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행복감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을 예측하는데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즉 학력, 소득수준, 직업이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코스닥 벤처기업의 임원 보상 (Managers' compensation of venture firms listed on KOSDAQ)

  • 강진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339-358
    • /
    • 2011
  • 본 연구는 코스닥 등록 벤처기업들이 일반 기업들과 비교하여 임원들의 보상수준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등록 벤처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임원들의 1인당 보상수준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 회계성과 및 주식성과에 대한 상대적 보상민감도가 일반기업에 비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코스닥 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제조기업 중 벤처기업과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임원들의 1인당 평균보상이 코스닥 등록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실증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스닥 등록 벤처기업과 일반기업 사이에 임원 1인당 평균 보상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일반기업에 비해 벤처기업 임원들의 1인당 보상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벤처기업의 경우 일반기업에 비해 회계성과-보상 민감도 보다 주식성과-보상 민감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벤처기업의 경우 현금보상 보다는 스톡옵션과 같은 주식보상을 이용하여 임원들에게 보상을 많이 지급함으로써 총 보상 수준이 일반기업에 비해 높고, 단기적인 회계이익과 같은 성과보다는 주식성과와 같은 장기적인 시장성과에 보다 비중을 두어 임원들의 보상과 연계시킴으로써, 벤처기업가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PDF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행위자-관찰자 관점에서의 운전분노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Differences in Driver Anger as a Function of Gender, Driving Experience, and Actor-Observer Perspective: A Driving Simulation Study)

  •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2호
    • /
    • pp.107-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성향요인이 강조된 끼어들기 상황 vs. 상황요인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행위자 관점 vs. 관찰자 관점)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분노 수준 차이를 운전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차이를 운전상황 유형이나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함께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차이가 각각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운전분노 수준에서의 행위자-관찰자 효과는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강조된 급정거 상황보다는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조건인 끼어들기 상황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셋째,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 그리고 운전분노 평정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살펴본 결과 운전경력이 짧은 여성운전자의 경우 타인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분노를 경험하는 반면, 자신의 끼어들기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상대운전자가 운전분노를 경험할 것으로 추정하는 경향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자의 성별과 운전경력에 따른 운전분노에서의 차이가 위험 운전상황의 유형과 행위자- 관찰자 관점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 비교 연구: 변이성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 of Statistical Thinking: Statistical Modeling and Sampling Distribution Understanding)

  • 고은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03-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을 중심으로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 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통계적 모델링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그리고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위 수준에 집약되어 분포하기보다는 일반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통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