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evelopment of Optimum Laying Hen Diet during Summer Period

산란계에 대한 하절기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88.09.01

Abstract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metabolizable energy(ME) levels on layer performance during summer period. Total 480 ISA Brown egg-type layers ageing 49 weeks housed 2 birds per cage with 4 replictes of 20 bir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Mean environmental temperature over experimental period ranged from 22.3$^{\circ}$to 29.5$^{\circ}C$. The treatments consisted of dietary ME levels of 2500, 2700, 2900kcal/kg of diet containing 15% and 17% protein, respectively, to provide $3{\times}2$factorial design. As metabolizable energy level increased form 2500 to 2900 kcal/kg of diet, daily feed and protein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decreased,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the daily energy intake, energy requirement and feed costs per kg egg. Feed conversion(kg feed/kg egg) and viability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energy level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gg production, protein requirement per kg egg, and egg weight between those hens fed 2500 kcal ME/kg diets and those fed 2700 kcal ME/kg diets,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egg weight between those fed 2700 kcal ME/kg and those fed 2900 kcal ME/kg, either. In addition, no specific trend was observed in protein requirement per egg by the different level of metabolizable energy in diets. On the other hand, as dietary protein level increased from 15 to 17%, daily protein in-take,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and protein requirement and feed costs per kg egg increased, but feed and energy requirement per kg egg decreas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ily feed and energy intake and viability were observed among dietary protein levels. It was concluded that metabolizable energy level of 2500 kcal/kg of diet and 17% dietary protein level were considered to be adequate to support the optimum productivity of layers during summer period.

본 시험은 하절기 산란계의 생산성 저하 방지 및 사료효율개선을 목적으로 하절기 산란계 사료의 적정 에너지수준 및 단백질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kcal/kg) 과 단백질 2수준(15%, 17%)을 조합한 6개 처리에 49주령 된 산란기 480수를 공시하여 1988년 6월 10일부터 1988년 9월 1일까지 1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은 전처리구에서 98.75~100%로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간에도 일정한 경향이나 큰 차이가 없었다. 2. 산란율, 난중 및 산란량은 대사에너지 2,500 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각각 84.37%, 62.29g, 그리고 52.55g으로 가장 우수했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점차 낮아졌고, 사료 내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유의하게 높아졌으나(p<0.05), 산란율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과 2,700kcal/kg, 난중은 2,500kcal/kg과 2,700kcal/kg 및 2,700kcal/kg과 2,900kcal/kg 수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사료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55%수준에서 118.28g/day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 섭취량은 유의하게 감소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대사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에너지 2,900kcal/kg, 단백질 15%수준에서 326.60kcal/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p<0.05), 사료중 단백질 수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단백질섭취양은 대사에너지 2,500kcal/kg, 단백질 17%수준에서 19.99 g/day로 가장 높았으며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사료 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사료 요구율은 대사에너지와 2,500kcal/kg과 단백질 17%수준에서 2.24로 가장 낮았으나, 사료중 대사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7. 산란kg당 대사에너지와 단백질 요구량은 2,900kcal/kg와 15% 및 2,700kcal/kg와 17%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각각 6871.64kcal와 385.76g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중의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산란kg당 대사에너지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단백노요구량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사료중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당 대사에너지 요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산란당 단백질요구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산란kg당 사료비는 2,500kcal/kg과 15%의 대사에너지와 단백질수준에서 279.84 won으로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하절기 산란계사료의 적정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은 각각 2,500kcal/kg과 17%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