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원지방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2초

수원과 전주 지방에서 blacklight trap에 유인된 우단풍뎅이아과, 검정풍뎅이아과 및 줄풍뎅이아과 풍뎅이의 종류와 발생 소장 (Species and Seasonal Occurrences of Sericinae, Melolonthinae, and Rutelinae Chafers Captured by Blacklight Traps in Suwon and Chonju)

  • 김기황;강여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4-419
    • /
    • 1993
  • 1989~1991년에 수원과 전주지방에 blacklight trap에 유인된 우단풍뎅이아과, 검정풍뎅이아과 및 줄풍뎅이아과 풍뎅이의 종류와 발생 소장을 조사하였다. 수원과 전주 지방에서 유인된 종수는 각각 우단풍뎅이아과 6종과 6종, 검정풍뎅이아과 8종과 7종, 줄풍뎅이아과 7종과 8종, 합계 21종과 21종이었다. 두 지방에서 각 아과 중 보다 많이 유인된 종은 우단풍뎅이아과의 애우단풍뎅이, 검정풍뎅이아과의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줄풍뎅이아과의 다색줄풍뎅이와 애풍뎅이였다. 위 5종의 성충은 수원 지방보다 전주 지방에서 10~20일정도 빨리 유인되었다. 참검정풍뎅이 성충은 전주 지방에서 주로 홀수해에 발생하여 수원 지방에서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 PDF

소양강댐의 냉수(冷水)를 이용한 고추냉이 재배 가능성 (Possibilities of Wasabia japonica Matsum Culture using Cold Water of the Soyang River Dam)

  • 이성우;서정식;소호섭;변학수;박장환;김석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94-300
    • /
    • 1996
  • 수력발전(水力發電)을 위해 배출되는 소양강댐의 냉수(冷水)를 이용한 고추냉이 재배가능성 확인과 적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춘천시 소양댐 하류 하천주변과 수원지방에서 1994년 11월 10일부터 1996년 6월까지 약 19개월동안 고추냉이 품종 달마종을 공시하여 재배지의 생육환경과 생육특성 및 수량성, 건물분배율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양댐의 수질은 수원지방의 지하수보다 인산을 제외한 무기성분함량이 적었으며 용존 산소량과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는 재배에 적합한 범위에 있었으나, 수원지방의 지하수는 전기 전도도가 0.45mm hos/cm로 재배 한계치를 넘었으며 용존산소량이 크게 부족하였다. 2. 수원의 지하수는 $15.2^{\circ}C$로 비교적 균일한데 비해 소양댐의 물은 연평균 수온이 $10.1^{\circ}C$로 계절별 수온의 진폭이 매우컸으며 생육범위의 수온인 $8{\sim}18^{\circ}C$ 사이에 속한 달은 $5{\sim}11$월이였고 생육억제 수온인 $6^{\circ}C$이하의 달은 $1{\sim}3$월이었다. 3. 소양댐의 냉수를 이용하는 경우 육모기간을 포함한 32개월재배로 개체당 주경(主莖)의 근경중(根莖重) 63g이 생산 되었고 상품율(商品率) 80%였으나, 수원지방의 지하수를 이용한 경우 주경(主莖)의 근경중(根莖重) 22g으로 수량(收量)이 극히 적고 상품률(商品率)이 0%였다. 4. 춘천의 소양댐 물을 이용한 경우 수량성은 주근경중(主根莖重) 1099kg/10a, 얼자근경중(蘖子根莖重) 1830kg/10a, 뿌리 1038kg/10a, 엽병(葉柄) 8086kg/10a이었으며 수원의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 주근경중(主根莖重) 343kg/10a, 얼자근경중(蘖子根莖重) 726kg/10a, 뿌리 220kg/10a, 엽병(葉柄) 437kg/10a이었다. 5. 춘천지방에서는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엽병중(葉柄重)의 건물분배율(乾物分配率)이 가장 높았으나 수원지방에서는 가장 낮았으며 얼자(蘖子) 발생이 심하여 전한근경중(全根莖重)에서 주한경중(主恨莖重)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6. 춘천지방의 경우 주근경중(主根莖重)은 초장, 생체중과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고 얼자수(蘖子數)와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수원지방의 경우 주한경중(主根莖重)은 근중(根重)과 유의한 정상관을, 전엽수(全葉數), 얼자수와 고도의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 PDF

콩명나방(Maruca vitrata)은 수원지방에서 월동할 수 있는가? (Can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Over-winter in Suwon Area?)

  • 정진교;서보윤;김용균;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39-444
    • /
    • 2016
  • 콩명나방(Maruca vitrata) (포충나방과)은 국내에서 Vigna속 작물(팥, 녹두, 동부)과 세스바니아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서의 생활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콩명나방이 수원 지방($37^{\circ}16^{\prime}N$ $126^{\circ}59^{\prime}E$ 35ASL)에서 월동 가능 여부와 월동태, 월동 진입시기, 월동 후 처음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 야외 조건에서 월동율을 조사하였다. 9월 하순부터 야외에서 사육한 알과 유충, 번데기는 그 해에 우화하지 못했고, 이듬 해 6월 이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유충과 번데기를 토양 속에서 월동시켰던 시도에서도, 모든 개체들이 사망하였으며, 일정 기간 저온($10^{\circ}C$$13^{\circ}C$)에 노출시킨 유충들도 우화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명나방은 영하의 온도에 적응하는 능력이 없고, 수원 지방 야외 조건에서 월동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온대와 열대에서 생태형이 다른 수고품종의 수량 및 생육형질의 변이 I. 온대와 열대지방간의 품종별 출수기 및 생육형질의 변이 (Variations of Yields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Different Ecotype of Rice Varieties in the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I. Variation of Heading Time and Growth-related Characteristics Shown by Varieties in Temperate and Tropical Zones)

  • 노건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7-285
    • /
    • 1986
  • 인도네시아의 8개품종과 한국의 8개품종을 선정하여 계 16개품종을 인도네시아 발리(115$^{\circ}$ 14'E, 8$^{\circ}$42'S, 해발 l0m지점)와 한국 수원(126$^{\circ}$19'E, 37$^{\circ}$16'N, 해발 37m)에서 반복시험한 결과 공시품종의 출수기 및 생육형질의 변리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 16개 공시품종중 Japonica 4개품종 (레이메이, 삼남. 수원 313, 섬진)은 발리지역에서 이앙후 14~15일에 모두 출수하였으며 품종간에 조만성을 구분할 수 없었다. 2. Indica/Japonica품종(태백, 만석, 한강찰, 금강)은 수원에서 보다 발리에서 26~31일 출수가 촉진되었으며 품종간의 조차성은 양지역에서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3. Indica의 4개품종중 3개품종(IR 36, IR 50, Semeru)은 수원에서 발리보다 출수가 26~29일정도 늦게 출수하였으며 품종간의 조만성도 양지역에서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만생종인 Cisadane 품종은 수원에서 47일 이나 늦게 출수하여 (수원지방출수일 : 9.27일) 성숙치 못하였다. 4. Bulu 4개품종중 3개품종(Putih Gangsar, Kesambi, Putih, Jamu)은 수원에서는 출수치 않았으며 조생종인 Untup 품종은 Cisadane와 비슷한 시기에 수원에서 출수하였으나 역시 성숙치 못하였다. 5. 발리지성에서 Japonica 품종은 출수이후 수확까지 계속하여 초장이 자라났으며 수원에서 출수하지 못한 Bulu 3개 공시품종의 초장은 수원에서 예취시까지 계속하여 자랐다. Indies 공시품종은 수원과 발리에서 초장의 차리가 없었으나 Indica/Japonica및 Bulu 품종은 수원보다 발리에서 초장이 크게 나타났으며 Japonica는 수원에서 초장이 크게 자랐다. 6. 건물중은 발리지성에서 품종군간에 차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수원지방에서는 그 차이가 적었다.

  • PDF

곰솔 성장(成長)에 대(對)하여 (On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0
    • /
    • 1968
  • 4개지역(個地域)에서 생육(生育)하고 있는 곰솔의 성장비교(成長比較)을 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직경성장(直徑成長)이 가장 양호(良好)한 곳은 합천(陜川)이고 다음이 울산(蔚山), 제주(濟州), 수원(水原)의 순위(順位)였다. (2) 수고성장(樹高成長)이 가장 양호(良好)한 순위(順位)을 보면 울산(蔚山), 수원(水原), 합천(陜川), 제주(濟州) 순(順)이다. (3) 재적성장(材積成長)이 가장 양호(良好)한 순위(順位)을 보면 합천(陜川), 울산(蔚山), 제주(濟州), 수원(水原)으로 되어있다. (4) 위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곰솔이 해안수종(海岸樹種)으로 알려져 있으나 성장(成長)은 내륙지방(內陸地方)이 도리어 도서지방(島嶼地方) 또는 해안지방(海岸地方)보다 양호(良好)하였다.

  • PDF

뽕나무 눈 마름병 발생 생태에 관한 연구

  • 김영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1-68
    • /
    • 1973
  • 1. 추기 적엽방법에서는 염병 따기가 눈 마름병 발생이 적었다. 2. 추기 벌채는 강벌채 일수록 눈 마름병 발생이많다. 3. 눈 마름병균의 뽕나무 가지 침입시기는 수원지방의 경우 8월중순부터 9월하순경이였다. 4. 추기 조상벌채후 11월이후 재벌채 하면 눈 마름병을 억제 할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수자원 현황 및 정책방안

  • 최영송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제4회 하계분리막 Workshop (초순수 제조와 막분리 공정)
    • /
    • pp.1-32
    • /
    • 1996
  • 도시화와 공업화의 부산물인 오염부하량과 그 종류 증가로 우리의 식수원은 날로 위협받고 있으며, 수질 문제가 국민생활의 질 향상과 산업성장의 발목을 조일 수도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 수자원 관리현황과 그 해결 방안을 생각해 보고, 도서지방등 근본적으로 수원확보에 문제가 있는 지역에 대한 대체수원 대책으로 수자원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막처리에 의한 해수 담수화 추진계획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