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sibilities of Wasabia japonica Matsum Culture using Cold Water of the Soyang River Dam

소양강댐의 냉수(冷水)를 이용한 고추냉이 재배 가능성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We performed an experiment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wasabi culture using the wat­er of the Soyang River Dam in Chunchon and the ground water in Suwon. Water mineral content of Soyang River except for P was less than that of ground water of Suwon. Dis­solved oxgen and E C of Chunchon was proper to culture wasabi but E C and dissolved oxgen of Suwon was not suitable for that. Water temp. of Soyang river was very changable by month while that of the ground water in Suwon was kept constantly. In Soyang river of Chunchon the month that water temp. show $8{\sim}18^{\circ}C$, optimal growth temp., was May to Nov. and the month that water temp. show less than $6^{\circ}C$, growth limit temp., was $Jan.\;{\sim}\;Feb.$ of Chunchon. Rhizome weight of main stem in Chunchon and Suwon was 63g and 22g per plant and rate of maketable rhizome was each 80%, 0% by culture of 32 months to include raising see­dling period of 13 months. Dry matter partitioning ratio of petiole in Soyang river of Chunchon was the highest of all others but it was lowest of all others in ground water of Suwon. Rhizome weight of main stem in Chunchon was showed possitive correlation with plant height and fresh top weight and in Suwon it was showed possitive correlation with root weight and high possitive correlation with No. of total leaves and No. of tillers.

수력발전(水力發電)을 위해 배출되는 소양강댐의 냉수(冷水)를 이용한 고추냉이 재배가능성 확인과 적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도 춘천시 소양댐 하류 하천주변과 수원지방에서 1994년 11월 10일부터 1996년 6월까지 약 19개월동안 고추냉이 품종 달마종을 공시하여 재배지의 생육환경과 생육특성 및 수량성, 건물분배율등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양댐의 수질은 수원지방의 지하수보다 인산을 제외한 무기성분함량이 적었으며 용존 산소량과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는 재배에 적합한 범위에 있었으나, 수원지방의 지하수는 전기 전도도가 0.45mm hos/cm로 재배 한계치를 넘었으며 용존산소량이 크게 부족하였다. 2. 수원의 지하수는 $15.2^{\circ}C$로 비교적 균일한데 비해 소양댐의 물은 연평균 수온이 $10.1^{\circ}C$로 계절별 수온의 진폭이 매우컸으며 생육범위의 수온인 $8{\sim}18^{\circ}C$ 사이에 속한 달은 $5{\sim}11$월이였고 생육억제 수온인 $6^{\circ}C$이하의 달은 $1{\sim}3$월이었다. 3. 소양댐의 냉수를 이용하는 경우 육모기간을 포함한 32개월재배로 개체당 주경(主莖)의 근경중(根莖重) 63g이 생산 되었고 상품율(商品率) 80%였으나, 수원지방의 지하수를 이용한 경우 주경(主莖)의 근경중(根莖重) 22g으로 수량(收量)이 극히 적고 상품률(商品率)이 0%였다. 4. 춘천의 소양댐 물을 이용한 경우 수량성은 주근경중(主根莖重) 1099kg/10a, 얼자근경중(蘖子根莖重) 1830kg/10a, 뿌리 1038kg/10a, 엽병(葉柄) 8086kg/10a이었으며 수원의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 주근경중(主根莖重) 343kg/10a, 얼자근경중(蘖子根莖重) 726kg/10a, 뿌리 220kg/10a, 엽병(葉柄) 437kg/10a이었다. 5. 춘천지방에서는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엽병중(葉柄重)의 건물분배율(乾物分配率)이 가장 높았으나 수원지방에서는 가장 낮았으며 얼자(蘖子) 발생이 심하여 전한근경중(全根莖重)에서 주한경중(主恨莖重)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6. 춘천지방의 경우 주근경중(主根莖重)은 초장, 생체중과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고 얼자수(蘖子數)와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수원지방의 경우 주한경중(主根莖重)은 근중(根重)과 유의한 정상관을, 전엽수(全葉數), 얼자수와 고도의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