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용전념치료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3초

수용전념치료가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여성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re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bout Menstruation, and Perceived Stress of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 정민정;나미옥;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85-495
    • /
    • 2017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20대 여성들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3~4년제 대학생 263명 중 21명이 참가자로 선발되었다. 참가자들은 월경전증후군 진단을 받았고, 수용전념치료집단 7명, 인지행동치료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용전념치료와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0회로 진행되는 도중 수용전념치료 집단에서 참가자 1명이 개인사정으로 인해서 탈락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월경 시작 시점에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약 1달 뒤 월경 시점에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월경 전 증상 중 정서요인이 수용전념치료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다. 월경에 대한 태도는 수용전념치료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추적조사에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수용전념치료 집단이 통제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그 수준은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수용전념치료가 학군사관 후보생의 스트레스, 불안 및 수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Acceptance of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A pilot study)

  • 온안국;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61-268
    • /
    • 2017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가 학군사관 후보생(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ROTC)의 스트레스, 불안 및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학군사관 후보생 82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불안을 호소하고, 연구 참여에 최종적으로 동의한 총 12명의 참가자를 선별하였다. 수용전념치료 집단에는 주 2회, 회기 당 약 90분씩 총 8회기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수용전념치료 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전, 프로그램 종료시점 및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각각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상태­특성 불안 척도 및 수용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종료 후 스트레스와 불안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으나, 수용행동은 변화가 없었다. 그렇지만 수용행동의 하위요인인 수용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군사관 후보생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수용전념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은수의 학군사관 후보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향후 좀 더 많은 인원으로 추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수용전념치료 (ACT)가 우울한 평가염려 완벽주의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이분법적 사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Self-Criticism, Dichotomous Thinking,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 오정은;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43-354
    • /
    • 2018
  • 본 연구는 수영전념치료(ACT)의 6가지 핵심 치료 과정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자기비난과 이분법적 사고를 감소시키고, 최종적으로 우울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 400명 중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이 높고 사전면담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22명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수용전념치료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할당되었다. 수용전념치료 집단에는 총 8회기의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행해지지 않았다. 수용전념치료 집단과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전,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 및 프로그램 종결 6주 후에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이분법적 사고, 우울, 수용행동에 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는 통제 집단보다 프로그램 후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비난, 이분법적 사고 및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더 감소하였고, 수용 행동은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으며, 이것이 추적까지 유지되었다. 반면에 통제 집단에서는 사전, 사후, 추적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논문의 마지막에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수용-전념치료(ACT)가 알코올중독자의 심리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및 회복에 미치는 효과 연구 (Effects of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roup Program (ACT) on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Self-Compassion, and Recovery in Alcoholics)

  • 이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04-614
    • /
    • 2019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집단프로그램을 알코올중독자들에게 적용하여 심리적 유연성과 자기-자비 및 알코올중독 회복에 미치는 효과들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수용과 기꺼이 경험하기, 인지적 탈융합, 맥락적 자기, 현재순간 접촉, 가치명료화, 전념행동을 향상시키는 기술들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ACT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심리적 유연성 증진뿐만 아니라, 자기-자비와 알코올중독자 회복 향상을 기대하였다.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의존 환자 중 수용-전념 치료(ACT) 실험집단에 15명, 약물치료만 하는 TAU 통제집단과 CBT 통제집단에 동일하게 15명씩 참여하였다. ACT 집단프로그램은 주 1회, 8회기, 매 회기 90분으로 진행되었다. 수용-전념치료(ACT)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들의 사전, 사후 및 추후 측정치 평균들을 대상으로 반복 측정 다변량 분산분석과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수용 및 경험하기, 인지적 탈융합, 현재순간 자각, 마음 챙김, 전념행동과 같은 심리적 유연성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자기-자비와 알코올중독자 회복 효과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수용-전념 치료(ACT)가 대인불안이 있는 대학생들의 주장성과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rpersonal Anxiety)

  • 이규복;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45-353
    • /
    • 2019
  • 본 연구는 수용­-전념 치료가 대인불안이 있는 대학생의 주장성과 대인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년제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대인불안, 주장성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2명의 대학생을 치료집단에 6명, 통제집단에 6명씩 배정하였다. 치료집단에는 주 2회, 약 120분씩 총 8회기로 구성된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나, 통제집단에게는 어떠한 처치도 행해지지 않았다. 모든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그리고 6주 후에 주장성, 대인불안 척도에 응답하였다. 치료집단에서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 후 주장성은 향상되었으나, 통제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치료집단에서의 이러한 향상은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대인불안 검사에서, 치료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더 큰 감소를 나타냈고, 이러한 차이점은 추적조사에서도 발견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Complex PTSD Symptoms, Accept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College Students with Childhood Emotional Abuse)

  • 유새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61-572
    • /
    • 2018
  •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가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년제 대학교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복합 PTSD 증상 척도, 수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14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7명은 수용전념치료 집단에, 7명은 통제 집단에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회기 당 100분씩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와 6주 뒤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제 집단에 비해 수용전념치료(ACT) 집단에서 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복합 PTSD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수용과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각각의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집중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centration Program Based o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with High School Students)

  • 이정화;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77-284
    • /
    • 2015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S시 소재 남자 고등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20명을 대상으로, 10명은 수용전념기반의 집중력 프로그램에, 1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12회기로 구성되었고, 12주 동안 주 1회로 총 12회가 진행되었다. 사전. 사후. 추적조사로 회피융합,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 검사가 반복측정 되었다. 실험 결과 집중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회피융합은 감소되었고,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는 증가하였고 9주후의 추적검사에서도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전념치료 기반 집중력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회피성융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자기조절력, 집중력, 학습태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T Intervention Program)

  • 김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45-153
    • /
    • 2016
  •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메타분석은 통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개입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개입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다. 논문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43편의 연구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3편의 연구물에서 183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하여 전체효과크기, 하위집단별 효과크기, 메타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704로 나타났다. 이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의미한다.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영역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참가자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혼성 집단, 여성 집단, 남성 집단 순으로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일반성인, 대학생(대학원생), 청소년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용전념치료가 과민성대장증후군(IBS)이 있는 사람들의 IBS 증상, 스트레스, 삶의 질 및 수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IBS-Symptoms, Stress, Quality of Life, and Acceptance-Action of People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 조민경;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01-509
    • /
    • 2018
  • 수용­전념 치료(ACT)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증상 심도, 지각된 스트레스, 과민성 대장 증후군 특이적 삶의 질 및 수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성인 156명에게 과민성 대장 증후군 진단척도를 실시한 뒤 1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였고, IBS 증상 심도,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 및 수용 행동에 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치료 집단에 7명, 통제 집단에 7명을 할당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0회기가 진행 되었고, 사후 검사 및 4주 후 추적 검사가 실시되었다. 최종 참여자는 치료 집단에 6명, 통제 집단에 6명이다. 연구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따른 IBS 증상 심도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질 및 수용 행동 상의 변화는 유의하였다. 적은 수의 참가자로 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참여 인원이 증가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은 있겠으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삶의 질과 수용 행동을 높이는데 수용전념치료가 효과적임을 입증하는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수용전념치료(ACT)가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T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elf-Control,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 유화경;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15-426
    • /
    • 2016
  • 이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을 보이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자기 조절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북 지역의 대학생 320명 중 SAPS-A에서 40점 이상에 해당된 42명에게 사전 검사로 SCRS, STAI 및 AAQ-16을 실시하였고, 최종 선발된 18명을 ACT 집단과 통제 집단에 각각 9명씩 배정하였다. ACT 프로그램은 8회기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 및 4주 후 추적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ACT 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또한 자기 조절 능력과 수용 행동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ACT가 스마트폰 중독 치료, 불안감소 및 자기 조절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ACT를 가정, 학교, 지역 사회 등에서 스마트폰 중독 치료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