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식모델링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odeling for Impact of Capital about Economy Growth (축차적 자본투입에 따른 경제성장 모델링)

  • Song, Yeo-Hy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41-244
    • /
    • 2009
  • 많은 저개발 국가들이 경제성장을 하기위한 다양한 요인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모델링은 외부 변수로서 자본의 투입에 따른 효과만을 고려하여 모델링을 세워보았다. 경제발전을 이루는 초기조건들이 나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수식으로 표현하여 보았고, 적기에 투입된 자본의 축차적 투입이 결국 경제의 레벨을 올려서 그것이 경제발전에 기여하게 된다는 직관을 수식적인 모델링으로 확인하게 된다. 3가지의 중요한 가정을 통해서 단순화한 경제모델을 바탕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이러한 단순 모델링을 향후 일반적인 모델링화 할 수 있는 방법은 추가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

  • PDF

Improvement of WRF-Hydro streamflow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머신러닝기법을 이용한 WRF-Hydro 하천수 흐름 예측 개선)

  • Cho, Kyeungwoo;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5-115
    • /
    • 2019
  • 하천수 흐름예측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WRF-Hydro와 같은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한다.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은 물리적 현상을 일반화한 수식으로 구성되어있다. 일반화된 수식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지역적 특성도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수식에 사용되는 입력자료는 측정값으로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 예측결과는 계통오차와 우연오차가 존재한다. 현재 매개변수 보정을 통해 예측결과를 개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인 Data-driven 모델을 구축하여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 결과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Data-driven 모델 구축을 위해 머신러닝 기법인 instance-based weighting(IBW)과 support vector regression(SVR)을 사용하였다. 구축된 Data-driven 모델은 한반도 지역 주요 저수지 및 호수의 하천수 흐름예측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해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으로 WRF-Hydro를 구동하였다. 입력자료는 기상청의 국지수치예측모델자료(LDAPS), HydroSHEDS의 수치표고모델자료(DEM), 국가지리정보원의 저수지 및 호수 연속수치지형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Data-driven모델은 기존 과정기반 모델링 시스템의 오류수정 한계를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research on the AC machine modeling using the d-q transform (d - q 변환을 이용한 교류기 모델링에 관한 연구)

  • Park, Jin-Ho;Hong, Sun-Ki;Kim, Beom-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78-1879
    • /
    • 2011
  • 주로 사용하는 3상 교류 전동기는 3상의 전압, 전류가 인가되며, 이 3상인 a, b, c상 변수들을 변환하여 d. q, 0축으로 이루어진 직교 좌표계상의 변수로 변환하는 것을 좌표 변환 이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교류기의 모델링 또는 해석 시 이 방식을 통하여 실행한다. 기본적으로 좌표 변환 즉 d - q변환은 사용하나 그 이후에 d축과 q축의 전류와 자속쇄교수 구해가는 방식과 d축과 q축을 해석하는 관점의 변화에 따라 모델링에 사용되는 수식이 변환하며 이러한 수식들을 활용하여 모델링을 함으로써 서로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그 비교를 통하여 교류기에 이론적으로 더 근접하고 단순화된 모델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래서 본론에서는 3가지 모델링을 비교한다. 각각의 모델링마다의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그러한 장단점을 비교하여 교류기에 더 근접한 모델링을 결정했다.

  • PDF

Mathematical Model for High Pressure Mercury Lamp (고압수은등의 수학적 모델링)

  • 진상규;김석환;지철근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5
    • /
    • pp.19-23
    • /
    • 1994
  • 방전등 점등회로의 이론적 해석을 위해서 방전등을 충실히 표현할 수 있는 수식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전등 내 전자 밀도의 변화를 토대로 만족 할 만한 수식 모델을 제시하였다. 한편, 램프의 전압 전류의 수식 모델을 이용하여 구한 값을 실측치와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수식 모델의 간단한 응용예를 보였다.

  • PDF

The Numerical Formula Control Modeling Regarding on the Grounding Conductor Size Selecting (접지도체 굵기 산정에 관한 수식제어 모델링)

  • Song, Young-Joo;Choi, Hong-Ky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4
    • /
    • pp.107-116
    • /
    • 2006
  • The international standard to determine grounding conductor size can be applied for a wide range of items because it includes the specific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it has a problem where the numerical formula is complicated. However the JIS and domestic standard numerical formula are simple but have many constraints. The new grounding conductor size selecting method is necessary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ed an improved method for selecting the grounding conductor size and simple numerical formula with a numerical formula control modeling. and we verified reliability of paper used case study.

Risk Detection Modeling Against DoS Attacks (서비스 거부 공격 대응을 위한 위험 탐지 모델링)

  • 문경원;황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78-480
    • /
    • 2004
  •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서비스 거부 공격(DoS : Denial of Service) 방법과 유형이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DoS 공격은 사용자 시스템에 네트워크 트래픽의 과도한 부하를 주어 서비스를 마비시키거나 시스템을 다운시킨다. DoS공격은 빠른 시간 안에 시스템을 위협하는 특징 때문에,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DoS 공격상황에서의 위험상황을 모델링 한다. 제안된 모델링은 패킷분석에 기반 하여 의미 있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수식화 해서 위험 탐지 모델을 정의한다. 제안된 모델링을 통해서 DoS공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roduction speed of workers with maximum profit of workers and cooperators (작업자 및 회사의 이익이 최대가 되는 생산속도 분석)

  • 이상복;이재현;성락근;이승호;이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2-35
    • /
    • 2000
  • 이 논문에선 작업자와 회사 모두 이익이 최대가 되게 작업자의 생산속도를 정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작업자의 이익은 생산량에 비례하고, 불량률에 반비례한다. 회사의 이익은 작업자의 생산량에 비례하고 작업자의 불량품만큼 감소한다. 또한 회사에서는 검사 등에 비용이 들어간다. 이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이익을 나타내는 함수를 수식으로 모델링하였다. 또한 회사의 이익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작업자와 회사 모두가 최대 이익을 갖는 경우의 생산속도를 해석적으로 여러 경우로 나누어 해를 구하였다.

  • PDF

Function Approximation Using Cao s Fuzzy System (Cao의 퍼지 시스템을 이용한 함수 근사)

  • 길준민;박대희;박주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5 no.3
    • /
    • pp.111-116
    • /
    • 1995
  • 본 논문의 목적은 Cao의 퍼지 추론에 기초한 퍼지 시스템이 Universal Approximator임을 증명함으로써 Cao의 퍼지 시스템을 비선형 모델링 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우리는 Cao의 퍼지 논리 시스템을 특별한 형태로 수식화하고 수식화된 Cao의 퍼지는 논리 시스템이 임의의 비선형 함수를 충분히 정확하게 근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이와 같이 증명된 이론은 Cao의 퍼지 시스템이 실제의 공학적 문제에 어떻게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 PDF

두꺼운 감광막의 노광 파장에 따른 측면 기울기에 관한 연구

  • 한창호;김학;전국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3.12a
    • /
    • pp.82-85
    • /
    • 2003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응용 분야에 있어서 RF나 Optic등에 응용되는 금속 구조물이나 배선을 위한 도금, 두꺼운 구조물의 식각등을 위해서 수십 um두께의 감광막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감광막은 도금을 위한 전단계에서 몰드 형성에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두께 형성이 가능하고 금속과의 선택적 제거가 쉬운 장점이 있다. 감광막 몰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수직에 가까운 측면 기울기, 두께, 도금액에 대찬 저항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측면 기울기 개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감광막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내고 수식모델링을 통해 측면 기울기를 예측하고자 한다.

  • PDF

Simplified Controller Design Method Using Average Model for DC-DC Converter (평균모델링을 이용한 DC-DC컨버터의 간략 화된 제어기 설계)

  • Cho, Young-Chan;Shin, Duck-Shic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227-228
    • /
    • 2018
  • 연속도통모드의 DC-DC컨버터 제어기 설계에 있어 평균모델링 기법은 복잡한 수식전개 및 해석의 수고로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기법으로 원하는 제어기 성능을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평균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3가지 종류의 DC-DC컨버터의 제어기를 설계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성능의 타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