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중 간호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초

수술실 간호사의 목표관리특성과 직무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BO and Job Commitment on Nursing Performance in Operating Room Nurses)

  • 이연화;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09-31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목표관리특성과 직무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 수술간호팀의 자발적 참여의사가 있는 간호사 226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관계하는 영향요인은 목표관리특성중 목표구체성, 직무몰입, 측정가능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업무성과의 25.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술실 간호의 직무특성상 수술상황에 몰입되어 간호를 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목표관리특성 중에서 목표구체성과 목표의 측정가능성 부분에 대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부위마취 수술 노인환자의 수술 중 간호요구 (Nursing Needs for Elderly Patients with Regional Anesthesia during Operation)

  • 엄혜경;고성희;이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는 부위마취로 수술을 받는 노인환자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종합병원과 일개 준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척추마취, 경막외마취, 신경차단하에 수술을 받은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환자의 부위마취 수술 중 간호요구의 평균은 $3.08{\pm}0.38$점이었고, 영역별로는 교육적($3.47{\pm}0.50$점), 영적($3.37{\pm}0.78$점), 신체적($3.31{\pm}0.46$점), 정서적($2.72{\pm}0.50$점), 환경적($2.51{\pm}0.47$점) 간호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간호 요구는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술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 요구는 수술과, 수술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부위마취 수술 노인 환자에게 수술과 마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위마취 수술 노인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지침 및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증강현실 기반의 수술간호 실습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Augmented Reality-based Surgical Nursing Practic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 고정연;정애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수술간호 실습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 연구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구현, 평가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요구도 분석 결과 나온 세부 항목 중 전문가 집단과 간호대학생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수술 기구 항목이었다. 요구도를 기반으로 수술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며 진료과에 구분 없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7가지 분류의 51개의 수술기구를 선정하여 AR Book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기반 애플리케이션은 Unity 3D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하였으며, Android OS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여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전체 평균은 73.4±4.3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 만족도 조사 결과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제작된 증강현실 기반 수술간호 콘텐츠는 이전의 다른 학습 방법과는 달리 현실성과 휴대성, 접근성, 간편함을 갖춘 새로운 방식의 수술 기구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처음으로 개발한 부분에 그 의의가 있다.

심장판막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연구 (A Study o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eart Valve Surgery)

  • 배재문;심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75-3983
    • /
    • 2011
  • 본 연구는 심장판막수술환자에서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정도와 자가간호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2개 대학병원에서 외래방문 치료하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심장판막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정도는 총 4.0점 중 각각 평균 2.71점과 2.96점으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장판막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기술 (${\beta}$=.625, p<.001)로 심장판막수술환자들은 자가간호역량의 신체적 기술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결론은 자가간호역량은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장판막 수술환자는 자가간호역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 심장판막 수술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영역에 대한 간호사정과 그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on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 신효연;이명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13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level of adult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in the operating room.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48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from June 2003 to September 2()03. The 24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music therapy through headphon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to the end of the operation with local anesthes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10.0 for Windows. Results: Postoperative state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traoperative pul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respiratory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music therapy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hat relieves anxiety for adult patients undergoing local anesthesia. However, to determine the best use of this therapy, further study is required for different types of anesthesia and operations such as ambulatory surgery.

  • PDF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선택속성이 수술실 신규간호사의 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eb-based Video Program Selection Attributes of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 박정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85-494
    • /
    • 2021
  • 본 연구는 수술실 신규간호사의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선택속성이 학습 몰입을 매개로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인천 및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의 수술실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50개의 표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7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다. 참가자들은 인천과 경기에 있는 대학병원 수술실 250명의 간호사이다. 수집 된 데이터는 IBM SPSS Statistics 25.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위에 적합도 지표를 기반으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실 신규간호사는 수술과 1차적으로 직결되는 위생 안전요인과 환자 관리요인을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인지하였다. 학습 몰입을 통하여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이 있었고, 위생 안전요인의 경우 학습 몰입이 없어도 수술실 신규간호사가 중요성을 인지하여 차후 간호 수행능력에 관한 확신에 긍정적 영향이 미침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향후 시각적 효과에 더 비중을 둔 웹 기반 동영상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간호의 위생 안전요인뿐만 아니라 환자 관리요인 그리고 간호 관련 요인 모두가 환자의 생명과 회복에 핵심적 단계임을 신규간호사에게 적합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Clinic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이미진;안영미;조인숙;손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23-131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대상자의 수술 후 간호를 주제로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IM-PBL) 개발과정을 기술하고,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간호 수행능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조군 중재군 전후 시차 설계를 통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23일부터 5월 18일까지 총 4주간이었다. 연구대상은 4년제 간호학과의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중인 학생을 편의표집 하였고, 시차를 이용하여 대조군 18명, 중재군 18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기존 임상실습교육이 제공되고, 중재군에게는 임상실습 시간 중 150분을 SIM-PBL로 대체하였다. SIM-PBL의 효과 평가를 위해 시뮬이션을 기반으로 한 임상간호 수행능력 평가(simulation based clinical examination, SCE)와 자아효능감이 이용되었다. 결과 SIM-PBL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교육 후 임상간호 수행능력의 향상 정도가 일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신체검진: 3.019, p =.005; 수술 후 교육: t=2.428, p =.021). 그러나 자아효능감은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어떤 차이도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된 SIM-PBL은 간호대학생들의 아동대상자를 위한 수술 후 간호 및 투약수행에 대한 임상간호 수행능력의 일부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 문제기반학습의 두 가지 교육방법을 혼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구조화된 체크리스트 도구를 통해 객관적으로 임상간호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 및 중재의 크기에 따라 효과를 다양하게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될 것을 제언한다.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유형, 정서적 반응과 대처에 대한 융합연구 (Verbal Violence Type in Operating Room Nurses, Fusion Study on Emotional Response and Coping)

  • 오숙희;선정주;강희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53-62
    • /
    • 2019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유형, 정서적 반응과 대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 20곳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400명을 편의 추출하였고, 총 382부 중 372부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대상자가 경험한 언어폭력 가해자는 의사, 직속상사가 많았고, 대상자의 과반수이상이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이 발생하는 상황은 수술동안 사용해야 할 혹은 사용 중인 장비가 기능을 못할 때가 가장 많았고, 폭력유형은 반말을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언어폭력경험은 결혼, 임상경력,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언어폭력 정서적 반응은 성별, 직위와 대처와는 연령, 학력, 임상경력, 직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언어폭력 경험과 정서적 반응, 정서적 반응과 대처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언어폭력 대처방법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일조할 것이다.

수술 간호업무 중 발생한 의료오류의 분석;웹기반 보고체계를 적용하여 (Analysis of Medical Errors in Operating Room Nursing using Web;based Error Reporting System)

  • 김명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7-40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edical error reporting system and to validate an trait of error in the Operating Room. Methods: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30 nurses with below 5-year-career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as collected from 11, April until 22, April, 2005 using web-based error reporting system. Data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X^{2}-test$ using SPSS WIN 10.0 program. Results: A time of medical error in operating room nursing frequent occurrence was from 12 pm. to 4pm. 'Lack of sterile materials' management' was the best frequent occurrence of medical error in operating room nursing.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manager of healthcare organization must develop the error reporting system more familiar and ordinary. Afterward, we prevent the repetitive medical errors in nursing care through analyzing of error report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