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동저항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Highly-stabilized Power Supply for KCCH Cyclotron Magnets (KCCH 싸이클로트론 전자석용 정밀전원장치 개발)

  • 송인호;신현석;최창호;채종서;김유석;이한석;하장호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9.07a
    • /
    • pp.581-58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12펄스 위상제어 정류기 및 수동 필터와 능동필터로 구성된 KCCH 싸이클로트론 전자석용 고정밀, 고안정 전류 전원장치를 위한 각 구성 부분의 제어 및 설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2펄스 싸이리스터 컨버터의 출력전압 제어를 위하여 아날로그 phase-locked oscillator 점호방식과 함께 부하에 비해 빠른 동특성을 가지는 내부 전압제어 루프를 구성하여, 입력전원과 변압기의 불평형에 의해 발생하는 저차고조파를 줄어들게 하였다. LC 수동필터와 MOSFET으로 구성된 능동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출력전압 리플을 허용치 이하로 낮추었다. 12펄스 컨버터 출력전압 리플의 최대 peak-to-peak값이 0.1% 이하가 되도록 수동필터 값을 설계하였으며 설계과정을 제시하였다. 16bit D/A와 A/D에 의해 디지털로 제어되는 pass bank MOSFET 레귤레이터는 출력리플의 slow drift 제어와 설정치 값의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MOSFET는 전압 구동형 소자이며 turn-on 전류 도통 시에 양의 저항계수를 갖기 때문에, 첫째 전류 구동소자에 비해 간단한 구동회로를 가지며, 둘째 소자의 병렬 연결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전류 전원장치 각 부분의 설계에 대하여 상세한 설계결과를 제시하며,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설계방식의 우수한 정적 및 동적 특성을 입증한다.

  • PDF

Flux saturation detector for Reactor (리액터 포화 검출시스템)

  • BAE, Joung-Hwan;Baik, Bo-Hyun;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1-142
    • /
    • 2015
  • 전기전자 기술발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전기전자 부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전자 부품은 트랜지스터, Op Amp 등의 능동소자와 저항, 캐패시터, 리액터 등의 수동소자로 구분할 수 있다. 능동소자의 경우에는 사용용도에 따라 대부분 제조사에서 명확한 사양을 제공하지만, 수동소자의 경우는 명확한 사양을 제공하지 못하는 부품들도 있다. 정격범위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는 소자에 대표적으로 리액터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정격에 미달하는 수준의 제품도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리액터 설계사양에 해당하는 철심의 자속밀도에 대한 실제 제품의 자속밀도포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기의 동작설명과 그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Sensorless Active Damping Method of LCL Filter for Grid-connected Inverter (계통연계형 인버터용 LCL 필터의 센서리스 능동 댐핑 기법)

  • Sung, Won-Yong;Ahn, Jung-Hoon;Ahn, Hyo-Mi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75-76
    • /
    • 2015
  •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출력 전류의 고조파 저감을 위해 L 또는 LCL 필터를 사용된다. L필터에 비해 LCL 필터가 동일 인덕턴스로 높은 고조파 저감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LCL 필터를 이용하지만, 시스템에 공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댐핑 기법과 함께 사용되어왔다. 특히, 능동 댐핑 기법은 추가적인 수동소자가 필요 없기 때문에, 수동 댐핑 기법에 비해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가적인 센싱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센서가 필요없는 3상 계통연계 인버터용 LCL 필터의 능동 댐핑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계통연계 인버터에서 센싱받는 계통전압과 계통전류를 이용하여 캐패시터 전류를 계산하고, 이를 전류제어 루프에 보상함으로써 가상 저항 능동 댐핑 기법을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THE EFFECT OF AIR DRAG IN OPTIMAL POWER-LIMITED RENDEZVOUS BETWEEN COPLANAR LOW-EARTH ORBITS (유한 전력 추력기를 사용하는 우주비행체의 동일 평면상에서의 랑데뷰시 공기저항의 영향)

  • 맹길영;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5 no.1
    • /
    • pp.221-228
    • /
    • 1998
  • The effect of air drag was researched when a low-earth orbit spacecraft using power-limited thruster rendezvoused another low-earth orbit spacecraft. The air density was assumed to decrease exponentially. The radius of parking orbit was 6655.935km and that of target orbit was 7321.529km. From the trajectories of active vehicles, the fuelconsumption and the magnitude of thrust acceleration, we could conclude that the effect of air drag had to be considered in fuel optimal rendezvous problem between low-earth orbit spacecrafts. In multiple-revolution rendezvous case, the air drag was more effective.

  • PDF

A Remote Laboratory for Basic Electric Circuits Using Remotely Controlling Passive Devices (원격 제어용 수동소자를 이용한 회로이론 원격 실험실)

  • Lee, Yoo-Sang;Jeon, Jae-Wuk;Moon, Il-Hyeon;Yang, Won-Seok;Lim, Jong-Sik;Ahn, Dal;Choi, Kwan-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2
    • /
    • pp.324-332
    • /
    • 2007
  • In this paper, we developed remote control devices that can be controlled passive component e.g. resistor, inductor, capacitor that is a basic element in the electric circuit. We embodied a remote laboratory for basic circuit theory which learners can experiment controlling element value to remote through the internet. It was seen that is useful applying passive component developing to a remote laboratory. Because developed passive components can response in an experiment altering several element values to remote, they will be used very usefully in a remote experiment that equip various experiment theme. Therefor the proposed laboratory will be solved problems of virtual laboratory which students do not handle instruments in engineering experiment. With our proposed system, students can experiment any time, anywhere.

  • PDF

A 60GHz Active Phase Shifter with 65nm CMOS Switching-Amplifiers (65nm CMOS 스위칭-증폭기를 이용한 60GHz 능동위상변화기 설계)

  • Choi, Seung-Ho;Lee, Kook-Joo;Choi, Jung-Han;Kim, Moon-Il
    • Journal of IKEEE
    • /
    • v.14 no.3
    • /
    • pp.232-235
    • /
    • 2010
  • A 60GHz active phase shifter with 65nm CMOS is presented by replacing passive switches in switched-line type phase shifter with active ones. Active-switch phase shifter is composed of active-switch blocks and passive delay network blocks. The active-switch phase shifter design is compact compare with the conventional vector-sum phase shifter. Active-switch blocks are designed to accomplish required input and output impedances whose requirements are different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nd passive delay network blocks are composed of lumped L,C instead of normal microstrip line to reduce the size of the circuit. An 1-bit phase shifter is fabricated by TSMC 65nm CMOS technology and measurement results present -4dB average insertion loss and 120 degree phase shift at 65GHz.

A Study on Effect of Pad Design on Assembly and Adhesion Reliability of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표면실장기술(SMT)의 조립 및 접합 신뢰성에 대한 패드설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Dong-Woon;Yu, Myeong-Hyeon;Kim, Hak-sung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9 no.3
    • /
    • pp.31-35
    • /
    • 2022
  • Recentl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high-density semiconductors for large-capacity data processing is increasing.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researching the reliability of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CB pad design on assembly and adhesion reliability of passive component was analyzed using design of experiment (DOE). The DOE method was established using the pad length, width, and distance between pads of the PCB as variables. The assembly defect rate of the passive element after the reflow process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misplacement direction of the chip resistor. The shear force between the passive element and the PCB was measured using shear test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older according to the pad design was analyzed through cross-sectional analysis.

A Comparative Study of Induction Heating Inverter By Using Normalized Resister Parameter (표준화 된 부하 저항을 이용한 유도 가열용 Inverter 비교 연구)

  • Roh, S.C.;Kim, G.H.;Shin, D.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8.07f
    • /
    • pp.1908-1910
    • /
    • 1998
  • 지금 까지 유도 가열용 인버터의 여러 가지 회로 방식이 소개 되었다. 그러나, 회로 방식을 선정 하는데 있어서 설계자의 취향, 또는 종래의 회로을 채택으로 인하여, 각기 다른 출력, 스위치 소자의 정격 전압, 전류, 및 수동 소자의 정격 전압, 전류을 만족하는 회로 선정이 될 수 있는 수식적 모델링, 비교 실험이 부족 하였다.

  • PDF

Synthesis of an Ungrounded Inductance using Operational Amplificers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비접지 inductance의 구성방식)

  • 이태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11 no.4
    • /
    • pp.19-24
    • /
    • 1974
  • An ungrounded inductance, necessary for construction of general type networks, is synthesized using two operational amplifiers and several passive elements. Through indefinite admittance matrix procedure. it is proved that the synthesized network is equivalent to an ungrounded pure inductance with a positive and a negative resistance in the parallel arms. A practical low-pass filter is made according to this synthesis method, and the resultant characteristic has been verified by means of IBM's simulation program ECAP (Electronic Circuit Analysis Program).

  • PDF

고층 아파트의 최적 열공급 시스템

  • 민만기;최영돈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47-254
    • /
    • 1992
  • 이 글에서는 고충아파트에서 층간 열공급의 불균일성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였고 이 불균일 성을 해소시키는 새로운 열공급 설비 기술을 설명하였으며 그 내용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온수 난방 고층아파트의 층간 열공급의 불균일성은 온수공급관과 회수관의 정수압력의 차 이에 의한 유동저항에 의해서 발생한다. (2) 다구역배관망 시스템은 온수공급관과 회수관의 정수압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공급 불균일성의 해소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3) 연속난방방식에서 서모스타트의 설치는 각세대의 열공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에너지 절 약면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이나 고장의 위험성이 가장 크며, 운전의 미숙에 의한 열공급 제어의 불균일성을 초래하기 쉬우며 외기온도가 매우 낮으면 층간 열공급제어가 되지 않을 수 있어서 자동유량조절밸브를 병용하거나 온수공급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필요가 있다. (4) 자동유량조절밸브에 부착하면 단구역 배관망 시스템에서도 층간의 유량공급의 불균일성을 없앨 수 있으나 순환 펌프유량이 부족하면 밸브의 자동유량조절 기능이 상실된다. (5) 수동유량조절밸브는 TAB에 의해서 충간의 유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펌프 성능변화 관부식 등이 발생하면 TAB를 다시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의 고장이 적고 유 동저항을 적게 발생시키며 한 개의 밸브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의 범위가 큰 점에서는 가장 유 리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