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고기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4초

마이크로파 처리한 소고기 및 돼지고기의 미생물 변화 및 이화학적 특성 (Microbial chang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and pork loin with microwave treatment)

  • 이경애;변광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7-221
    • /
    • 2005
  •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소고기 및 돼지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총 균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료는 발전 주파수 2450MHz, 출력 500Watt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50% duty cycle로 10초 및 20초간 처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소고기 및 돼지고기의 육즙손실과 TBA가를 증가시켰으며 육즙 손실은 소고기에 비해 돼지고기가 더 많았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한 소고기 및 돼지고기는 마이크로웨이브로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L값과 b값이 증가하였으며 a값은 변화하지 않았다. 한편 전단력은 20초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한 소고기와 돼지고기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소고기 및 돼지고기의 미생물 총 균수를 감소시켰다. 미생물 총 균수는 20초간 처리에 의해 미생물 총 균수가 2 log cycle 감소하였다. 따라서 20초 정도의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돼지고기의 미생물 총 균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어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매우 효과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비선호 부위 소고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품질향상 및 소고기의 숙성효과 (Quality improvement and aging effect of beef by low-temperature treatment of non-preferred parts of beef)

  • 김현경;김순철;김현진;김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53-7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1++등급 소고기에 비해 1등급 저온처리 및 숙성기간에 따른 소고기의 품질향상 및 숙성효과를 시도하였다. 1++등급 소고기의 지방함량과 전단력은 13.03%와 114.26N이었으나, 1등급 소고기는 3.21%와 149.67N이었다. 한편, 1등급 소고기를 -26℃에서 12시간 저온처리하고 0℃에서 14일간 저온 숙성한 결과 전단력은 87.85N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부드러움, 다즙성, 풍미 및 씹는 질감는 향상되었다. 필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 등급 소고기에서 22.17mg/100g으로 낮았으나 1등급 3개 시료에서 41.31~45.11 mg/100g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저온처리에 따른 함량 변화는 없었다. 소고기의 특정 성분으로 타우린은 30.94~34.41 mg/100g으로 소고기 등급에 따른 함량차이는 적었지만 Anserine과 Creatine은 19.68 mg/100g, 소고기 1++등급은 70.01 mg/100g으로 낮았다.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로서의 올레산(c18:1)/스테아르산(c18:0)의 함량비는 1++등급 소고기는 5.29로 낮았으나 1등급 쇠고기는 6.13~6.78로 높았다. 또한 1등급 소고기는 저온처리 조건 및 숙성기간에 따른 이들 지방산의 함량비에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26℃에서 12시간 동안 저온 처리한 후 0℃에서 14일 동안 숙성함으로써 1등급 소고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느타리버섯이 육류의 연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yster Mushrooms on Meat Tenderization)

  • 정구민;안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29-833
    • /
    • 2012
  • 느타리버섯을 생고기와 익힌 고기에 30분간 도포하여 연육효과를 조사한 결과, 상당한 연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고기의 경우, 버섯 무첨가 시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가 각각 981, 640 g-force인데 비해, 전체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는 각각 648, 487 g-force이었고, 갓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42, 478 g-force, 줄기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57, 488 g-force로 전반적인 버섯 첨가에 의한 연육효과는 약 20~35%이었다. 연육효과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커, 느타리버섯분말 5% 첨가군과 버섯추출분말 2% 첨가군의 경도가 가장 낮았다.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버섯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버섯분말 5% 첨가한 생소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무첨가군에 비하여 전체가 34.64%(748 mg%), 갓이 34.64%(748 mg%), 줄기가 32.92%(739 mg%) 증가하였고, 버섯추출분말 2% 첨가한 생소고기는 전체가 65.14%(787 mg%), 갓이 75.21%(834 mg%), 줄기가 71.18%(815 mg%) 증가하였다. 이는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이소고기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성분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전체, 갓, 줄기의 부위별 연육효과는 별 차이가 없어 사용부위는 굳이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고기 Stew에 야채첨가가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 (Lipid Degradation of Beef Stew with and without Vegetables)

  • 한명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3-508
    • /
    • 1990
  • 소고기 Stew의 Process, treatment과 storage가 Stew의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했다. Process는 Stew을 조리한 후 Polyethylene 용기에서 $5^{\circ}C$에서 저장한 것(P1)과 barrier에 $0^{\circ}C$에서 저장한 것(P2)을 이용했으며, treatment은 Stew을 만들 때 쇠고기(T1), 소고기와 양파(T2), 소고기와 당근(T3) 그리고 소고기, 양파 및 당근(T4)을 넣어 만들었다. P1 Stew는 0, 2, 4일간 저장했으며, P2 Stew는 0, 2, 4주 동안 저장하였다. 조리한 소고기 Stew는 조리하지 않는 것이 비교해서 cephalin 양이 39%, lecithin 양이 21% 감소했으며, 그 외 대부분의 인지질과 지방산도 감소했다. Process의 차이나 storage의 차이에 따라 cephalin이나 lecithin의 양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소고기와 당근으로 만든 Stew에서 당근이 cephalin의 가수분해를 약간 억제했다. 특히 P1 Stew가 P2 Stew보다 높은 TBA가를 나타냈으며, P1 Stew의 TBA가는 4일간 저장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P2 Stew의 TBA가는 4주 동안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 PDF

열전소자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소고기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i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plasma during storage)

  • 권기현;성정민;김지영;김병삼;김소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열전소자와 플라즈마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된 컨테이너와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EPS) 박스에 소고기를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변화 측정 결과 저장기간 동안 TCS-1 컨테이너가 $2^{\circ}C$ 이하로 온도유지가 잘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EPS 박스는 저장 3일 이후 소고기가 부패되어 더 이상 실험이 불가능 하였다. 소고기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휘발성염기질소(VBN)과 지방산패도(TBA)값의 측정 결과, 저장 7일째 TCS-1의 VBN은 7.72 mg%, TBA는 0.52 mgMA/kg, TCS-2의 VBN 값은 9.20 mg%, TBA는 0.91 mgMA/kg로 측정되어 TCS-1이 TCS-2 보다 유의적으로 적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소고기의 신선도를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변화는 저장 7일 TCS-1은 4.62 log CFU/g, TCS-2는 7.09 log CFU/g으로 측정되어 TCS-1이 유의적으로 미생물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 또한 저장 7일째 TEU-1은 모든 항목에서 6.5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TCS-2는 4.1 이하의 평가를 받아 소고기의 상품성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분석항목에서 TCS-1이 TCS-2보다 소고기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 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소고기의 내부 구조 평가 (Evaluation of Internal Structure of Beef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im, S. M.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6호
    • /
    • pp.531-538
    • /
    • 1999
  • 비파괴 품질 평가 기술인 핵 자기공명 분광법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소고기의 내부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완 상수 T$_1$과 T$_2$가 육류의 내부 구조와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근육부분의 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T$_1$이 증가했다. 지방 부분의 T$_2$는 배 내부 부분의 T$_2$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육류의 원하는 부위의 T$_2$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구하였다. 근육 부분의 T$_2$가 길었으며 지방 부분의T$_2$가 짧았다. 부위별로 최적의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 인자 TR과 TE를 구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근육, 지방 그리고 뼈 성분에 따른 육류의 품질을 비파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연속살균장치에서의 소고기 정육면체의 열전달특성 측정 (Dynamic thermal properties of particulate foods in a continous flow cooking system)

  • 홍지향;한영조;고학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3-530
    • /
    • 1999
  • 연속살균장치는 $130^{\circ}C$에서 $140^{\circ}C$의 초고온에서 연속적으로 식품을 열처리 하는 공정으로 재래 배치식 공정에 비하여 순간적인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제적인 공정이나, 액상과 고상으로 구성된 저산도 식품은 고상입자의 대류열전달 계수와 장치내 체류시간이 정확히 구명되지 않아서 연속살균기술이 성공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연속살균장치에서의 액상식품과 고상식품사이의 대류열전달 계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속살균장치의 Hold tube에서 정육면체 모델 식품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연속살균장치의 홀드튜브에서 정육면체 모델 식품의 온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소고기를 대상으로 이 시뮬레이션 모델의 입력변수인 비열, 열전도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0.0에서 15.0 centipoise의 점도를 가지는 모델 액상식품의 15.6에서 45.2liter/min 의 유속에 대하여 액상과 소고기 정육면체의 대류열전달계수는 792에서 2107W/$m^2$K으로 예측되었다.

  • PDF

원산지와 근내지방도에 따른 소고기의 지방 함량과 단일불포화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ntent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of Beef by Country of Origin and Marbling Score)

  • 권하나;최창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06-1812
    • /
    • 2015
  • 본 연구는 원산지와 근내지방도에 따른 소고기 등심 내 수분, 조단백, 조지방, 지방산 조성, 융점 및 지방산과 융점의 상관관계를 구명할 목적으로 국내산 한우고기 근내지방도 3, 5, 7 및 9에 대하여(근내지방도별 각각 20두씩) 총 80두와 수입산 소고기 30두(미국산 및 호주산 각각 15두)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한우 근내지방도 3, 5, 7 및 9와 미국산 및 호주산 소고기가 각각 11.91, 13.23, 17.03, 23.92, 8.36 및 4.47%로, 한우 근내지방도 9가 가장 높았고 호주산 소고기가 가장 낮았다.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oleic acid(C18:1n9)의 함량은 각각 44.92, 47.19, 46.23, 47.70, 43.70 및 38.28%를, MUFA/포화지방산(SFA)의 비율은 각각 1.15, 1.25, 1.22, 1.27, 1.10 및 0.86으로 조지방 함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각 소고기 시료에서 추출한 지방의 융점은 한우 근내지방도 9($27.4^{\circ}C$)가 가장 낮은 반면, 호주산 소고기($41.15^{\circ}C$)가 가장 높았다. 소고기 내의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와 같은 SFA와 총 SFA는 융점과 정(+)의(r=0.203, 0.279, 0.807 및 0.880) 관계를, palmitoleic acid(C16:1), oleic acid(C18:1n9)와 같은 MUFA와 총 MUFA는 융점과 부(-)의(r=-0.541, -0.857 및 -0.906)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소고기 내 지방 함량이 높을수록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C18:1n9)의 함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한우고기의 근내지방도가 증가할수록 M/S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CR을 이용한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a Method to Detect Cattle Material from Processed Meat Product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 권영철;하도윤;허윤위;김태규;최유정;조대훈;남상윤;손병국;황보원;양병선;김의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5-140
    • /
    • 2017
  •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축산물 가공식품 내에 존재하는 소고기 성분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축산물 가공식품 78종류를 무작위로 선별하였다. 가공식품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이용하여 소의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strain-specific primer를 직접 제작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한 후, 증폭된 반응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 수행 결과, 소고기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17개의 축산물 가공식품이 정확히 증폭되었고, 증폭산물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소의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서열과 95%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검출을 적용하였을 시, 소고기 성분이 함유된 축산물 가공식품을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식품 원재료의 허위기재 등에 의한 불량식품 유통 근절 및 종교적 이유로 인한 금기 식품감별 등과 같은 과학적 식품 감시에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저온 유통 용기에 따른 소고기의 저장 중 품질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beef during storage using cold chain containers)

  • 권기현;김종훈;김병삼;차환수;김지영;김소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88-795
    • /
    • 2015
  • 개발한 수배송용기[TEPP-1(250 L), TEPP-2(50 L)]와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EPS) 박스에 소고기를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잠열재, 용기내부, 샘플중심의 온도변화 측정에서 저장기간 동안 수배송용기 TEPP-1가 설정온도 $5^{\circ}C$로 온도유지가 잘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pH변화 또한 유의적으로 큰 변화 없이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고기 구매에 영향을 주는 색변화는 TEPP-1에 저장 시 가장 적었고, VBN은 저장 7일에 8.39 mg%로 유의적으로 가장 적은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TBA역시 TEPP-2보다 적게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육즙 손실은 저장 7일에 TEPP-1은 0.87%로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TEPP-2는 1.78% 육즙 손실을 나타내었고, 미생물의 변화는 저장 4일까지 두 수 배송용기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 7일에 TEPP-1 6.65 log CFU/mL, TEPP-2는 7.62 log CFU/mL로 증식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조사 또한 저장 7일째 TEPP-1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6.5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지만 TEPP-2는 3점 이하의 평가를 받아 소고기가 부패되어 상품성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EPS 박스는 저장 3일 이후 더 이상 실험이 불가능하였고, 모든 분석항목에서 TEPP-1(250 L) 수 배송용기가 TEPP-2(50 L)보다 소고기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저장 7일까지 소고기의 신선도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