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사망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cidence and Prognostic Factors of Radiation Pneumonitis in NSCLC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로 치료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방사선 폐렴)

  • Kim, Myung-S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6 no.1
    • /
    • pp.35-44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factors of treatment-related pneumonit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NSCLC)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 Materials and Methods: One-hundred-five patients with NSCLC treated with IMRT between 1 August 2004 and 30 November 2006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9 years, and squamous carcinomas were confirmed in 81 patients(77%). Sixty-six patients(62.9%) were classified as stage III, and 59 patients had lesions in the right lung. Twen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dose of 3,060 cGy preoperatively, and 10 patients were given a dose of 5,040 cGy postoperatively. Sixty-eight patients received a dose of 7,020 cGy for curative intent. Six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CORVUS planning system and 37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Results: Of 105 patients, 21 patients(20%) had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but only seven patients(6.7%) required treatment for radiation pneumonitis. Six of the seven patients had other serious lesions, including a bronchioesophageal fistula(one patient), recurrence in the treatment field(two patients), brain metastasis(one patient) and lung-to-lung metastasis(two patients); all of these patients died within 19 months after radiation treatment. Sixteen patients(23.5%) that received planning with the CORVUS system had abnormal lung findings. Five patients(13.5%) had abnormal lung findings with the use of the ECLIPSE planning system. Other prognostic factors such as perioperative radiation therapy, a volume over 10% of the V20 volume in the right lung,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uggests that IMRT could be a beneficial treatment modality for the reduction of radiation pneumonitis in NSCLC patients. However, the higher incidence of abnormal radiological findings in perioperative patients treated with relatively lower doses($3,060{\sim}5,040$ cGy) suggest the need for judicious treatment planning in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treatment.

The Result of the Surgical Treatment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비소세포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성적)

  • Park, Jin-Gyu;Jo, Jung-Gu;Kim, Gong-Su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9
    • /
    • pp.899-907
    • /
    • 1997
  • Recently, primary lung cancer has increased markedly in incidence & prevalence in korea. Prom July 1979 to June 1996, 183 patients were diagnosed and operated for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evaluated clinically. 1. There were 164 males and 19 females(M:P=8.6: 1), and the peak incidence of age was 50th and 60th decade of life(73.7%). 2. Most of symptoms were respiratory, whitch were cough(44.8%), chest pain(30.1%), dyspnea(20.8%), hemoptysis or blood tinged sputum(19.7%), sputum(15.3%), and asymptomatic cases were 12.0%. 3. Histopathologically, sguamous cell carcinoma was 68.9%, adenocarcinoma 19.7%, bronchioloalveol r cell carcinoma 2.2%, adenosguamous cell carcinoma 1.6%, and large cell carcinoma 7.7%. 4. In the operation, pneumonectomy was 41.0%, lobectomy 42.1%, bilobectomy 13.1%, stagmentectomy or wedge resection 1.6%, and explore tharacotomy 2.2%, and the overall resectability was 97.8%. 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in 31.9%, and operative mortality was 1.6%. 6. In postoperative stagings, stage I was 38.3%, stage H 14.8%, stage llla 31.1%, and stage IIIb 15.8%. 7.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1 year 77.8%, 3 year 42.7%, and 5 year 39.5%. The 5 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stage were stage 153.0%, stage H 46.5%, stage I[la 28.2%, and stage IIIb 13.8%(p<0.05),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 were lobectomy 45.0%, and pneumonectomy 30.3%(p<0.05), and according to mediastinal involvement were Nl 32.0%, and N2 11.1%(p<0.05). The 5 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43.1%, adenocarcinoma 23.3%, and large cell carcinoma 30.3 (p>0.05).

  • PDF

Surgical Treatment of Stage IIIA Non Small Cell Lung Cancer(NSCLC) (제 IIIA기 비소세포 폐암의 수술 성적)

  • 정경영;홍기표;김창수;김길동;김주항;신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2
    • /
    • pp.144-150
    • /
    • 1999
  • Background: Surgery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and standard treatment modal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However in stage IIIA lung cancer, the role of surgery is still controversial. To evaluate the role of surgery for stage IIIA NSCLC,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after surgery and the prognostic factors. Material and Method: We evaluated 158 consecutive cases of stage IIIA NSCLC patients operated on between 1990 and 1996. There were 130 male patients and 28 female patients, and the mean age was 58.5 years. All patients except one underwent lung resection beyond lobectomy and extended mediastinal dissection.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ere undertaken in 145(94.8%) patients. All patients(153) were followe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4months. Result: Twenty nine cases of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25 patients (15.8%). There were 5 operative mortality cases(3.2%) and the main cause of death wa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Local or distant recurrences developed in 84 patients(54.9%). The 5-year survival of 153 patients was 29.6%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8.0 months. The 5-year survival of non N2 disease group(36.8%) was better than that of N2 disease group(26.6%)(p=0.35) and the 5-year survival of squamous cell carcinoma (38.1%) was better than that of adenocarcinoma(25.7%)(p=0.39)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n combined therapy group(84 patients), radiotherapy group(37 patients) and chemotherapy group(24 patients), the 5-year survival were 31.3%, 32.4%, and 14.6%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of survival between radiotherapy and combined therapy group(p=0.31), however the survival of the combined therapy group was better than the chemotherapy group(p=0.005). The survival of the complete resection group(31.9%) was better than the incomplete resection group(16.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19).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good 5-year survival(29.6%) in patients with stage IIIA NSCLC result from the agressive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extensive mediastinal nodes dissection.

  • PDF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위에서 발생한 선-편평세포암종)

  • Cho, Yong-Kwon;An, Ji-Yeong;Hong, Seong-Kweo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6 no.1
    • /
    • pp.31-35
    • /
    • 2006
  • Purpose: A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is relatively rare, accounting for only about 0.5% of all gastric cancers. However, its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are still unclear, and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therapy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8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primary adenosquamous carcinomas out of 8,268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04.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8 patients was 49 ($41{\sim}69$) years, and the male : female ratio was 5 : 3. In 3 patients, the tumor was located at the mid body of the stomach, and in 5 patients, at the lower body or antrum. The tumor sizes were $2.5{\sim}8cm$. Seven patients showed metastase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The UICC stage distribution were: 5 stage II, 2 stage III, and 1 stage IV. In the stage IV patient, a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was performed, and he died 5 months after surgery. Of the 7 patients who underwent a radical gastr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tpy, the median survival was 34 ($12{\sim}66$) months, 2 patients died of cancer recurrence, and 4 patients are being followed up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 As for an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a radical gastrectomy including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should be performed for appropriate treatment of an adenosquamous carcinoma of the stomach.

  • PDF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암의 발생기작

  • 임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8-10
    • /
    • 1997
  • 종양은 아직 그 발생 원인과 기작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양이란 정상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 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에 의한 종양을 임상 및 병리 형태학적으로 양서 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한다. 양성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 세포는 정상 세포와 비슷할 뿐 아니라 그 주변 세포들과 확실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증식도 느리며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없다. 이에 반해 악성종양은 일반적으로 증식도 빠르고 이형의 세포로서 주변의 조직으로 확산, 전이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숙주인 개체를 사망시킨다. 악성종양은 다시 상피 조직에서 유례한 암, 비상피 조직에서 유래된 육종, 백혈구에서 유래된 백혈병 등으로 구별하지만 그의 본질은 거의 같으며 모든 악성종양은 통속적으로 암이라고 불리운다. 종양의 발생원인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화학물질, 바이러스 및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발암물질로 알려진 benzopyrene에 의한 발암 등 연구에 의해 화학적 발암원들은 직접 발암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체내에서 대사된 후 이들 대사 산물일 DNA 등에 작용함으로써 발암이 유도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화학적 변화를 거친 후에야 DNA에 영향을 미치는 것외에 다른 화학물질들은 또 다른 기작을 통해 암을 유발하는데 쥐의 피부에 benzopyrene을 한 번 처리하면 암을 유발하지 않으나 여기에 phorbol ester를 처리하면 높은 빈도로 암이 형성된다. 여기서 benzopyrene과 같이 세포의 DNA에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발암물질을 발암개시제라 하고 phorbol ester처럼 그 자체로는 발암능이 없으나 발암개시제에 노출된 세포에 영향을 미쳐 발암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것을 발암촉진제라고 한다. 암은 세포증식 제어계에 DNA가 이상을 일으킨 현상을 말하는 데 이와 같은 DNA의 변형된 유전정보에 의해 암과 관련된 단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DNA를 암유전자라 부르며 바이러스에서 유래된 것을 V-one 그리고 세포에서 유래된 것을 c-one이라 한다. 암유전자는 본래 암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증식제어 유전자로서 변이나 비정상으로 활성화 됨으로써 암을 유발시키므로 proto-oncogene이라 부른다. 또한 고등동물의 유전자 중에는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들이 있으며 이들은 세포의 성장 생존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는 세포의 암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의 이상으로 세포성장 억제기능이 상실되면 세포의 과잉 성장이 초래되면 결과적으로 암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암세포에서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함께 발견 되면서 정상세포가 암으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암억제 유전자의 이상과 암유전자의 활성화가 동시에 관여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 세포가 암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발암의 다단계설에서와 같이 여러 단계의 변과가 필요한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정상세포의 염색체가 변화되어 정상세포들이 가지고 있는 세포분열의 특이성을 상실하고 증식이 빠르고 저항력이 강한 세포가 선택 되어지고 비정상 서ㅔ포으 과잉 분여러에 의해 종양이 형성되며 이어서 혈관의 신생을 촉진하는 맥관형성, 전이 등이 과정을 거쳐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20세기 초까지는 암은 노화와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질병으로 여겨졌으며 그 치료도 조기에 발견된 암환자에게 외과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이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암환자의 80% 이상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암이 발생 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과거 치료에 중점을 둔 것에서 점차 예방의 가능성과 그 방법의 모색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치료적인 면에서도 외과적 수술 이외에 방사선 치료, 항암제의 투여 등 약물요법, 면역요법의 이용 이외에 더 나아가 gene theraph 및 tumor vaccines 개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국제암연구협회에서는 인간에게 발암이 가능한 물질의 종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암 가능성이 높다고 널리 알려진 위험요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흡연, 음주, 식이요인, 호르몬 및 기타 요인으로 약물, 자외선 등을 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 이들 요인에 의한 발암 기작이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이들에 의한 발암의 확률이 높다는 것은 사실이므로 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암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암발생의 예방법으로는 암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것과 이미 발생한 암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발암 위험인자들은 개개인의 생활습관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992년 대한 암협회에서는 '암 예방 14개 권장 사항'을 발표하여 국민 홍보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의 반 이상이 식생활 습관과 관련되어 있을 정도이므로 암예방에 있어서의 식품의 역할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한 생활습관과 더불어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암예방을 위한 기본이 될 것이다.

  • PDF

Gamma Irradiation Induces a Caspase-dependent Apoptotic Mechanism in Human Prostate Cancer PC-3 Cells (인간 남성호르몬 비의존형 전립선 PC-3 암세포에서 감마선의 Caspase-의존성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

  • Chang, Jeong-Hyun;Kim, Dong-Hyun;Jeon, Gye-Rok;Kwon, Heun-Yo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8
    • /
    • pp.1042-1048
    • /
    • 2008
  • Prostate cancer is the most predominant cancer in men and related death rate increases every year. Till date, there is no effective therapy for androgen independent prostate cancer.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for cell growth inhibition or apoptosis in human androgen independent prostate cancer PC-3 cells after gamma irradi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gamma irradiation to induce apoptosis in PC-3 cells and to assess the mechanism of gamma irradiation-induced apoptosis. Five different assay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cell proliferation assay, morphological assessments of apoptotic cells, DNA fragmentation analysis, quantification of apoptosis by annexin V (AV) and propidium iodide (PI) sta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Cell viability was inversely related to radiation dose. DAPI-positive cells were detected 48 hr after 40 Gy radiation exposure. And nuclear morphological changes of cells were observed by gamma irradiation. DNA ladder patterns in the cells exposed to gamma-radiation were appeared at 24 hr. Also, gamma irradiation induces apoptosis of PC-3 cells via Caspase3, Bax and PARP-dependent fashion.

Clinical Significance of S-Phase Fraction in Small Cell Lung Cancer (소세포 폐암에서 S-Phase Fraction의 임상적 의의)

  • Kim, Hui-Jung;Jung, Byung-Hak;Jeong, Eun-Ta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1 no.4
    • /
    • pp.363-371
    • /
    • 1994
  • Background: DNA content analysis of human solid tumor is now widely performed by flow cytometric study.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nd potentially important observation in this field is that proliferative activity(S-Phase fraction of cell cycle) may profoundly affect the prognosis. Method: S-Phase fraction(SPF) have been measured by flow cytometric method using tumor cells isolated from paraffin embedded tissue.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SPF of small lung cancer cell was assessed in 42 patients who died after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Results: 1)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was 190(${\pm}156$) days. Survival time were shortened, when TNM stage and PS scale were advanced. 2) Mean value of SPF of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was 27.4(${\pm}8.5$)%. SPF had nothing to do with advance of TNM stage and PS scale. 3) In each identical TNM stage, there were not statistic significance between SPF and survival times. 4) There was a tendency like that higher SPF, better chemotherapeutic response.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statistic significance between SPF and survival times, but SPF was a good predictive factor for chemotherapeutic response.

  • PDF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Naegleria fowleri monoclonal antibodies (Naegleyiu fowleri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33-42
    • /
    • 1992
  • Naegleria fowleri, a free-living amoeba commonly found in moist soil and fresh water, enters the body via the nasal mucosa and migrates along the olfactory nerve to t he brain, where it causes acute amoebic meningoencephalitis. In the present study 7 clo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cAbs) against N. fowleri were produced and the effector function of them was investigated. Their isotopes were IgGl (Nf 1, Nf 154), 19G3 (Nf 137) and 19A (Nf 1, Nf 2, Nf 256, Nf 279). Five McAbs (McAb Nf 2, Nf 279, Nf 27, Nf 154, Nf 137) were specific for N. fowleri by ELISA and recognized the antigenic determinants located on the trophoBoite surface by IFAT and immunoperoxidase stain. These aye McAbs had capacity to agglutinate N. fowleri trophozoite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the amoeba in culture medium. McAb Nf 2 inhibited proliferation of trophozoites in vitro significantly. Also the cytotoxicity of JV. fowleri against CHO cell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McAb Nf 2 and McAb Nf 154. From these results McAb Nf 2 was confirmed to weaken the virulence of the amoeba among 7 screened McAbs.

  • PDF

Anti-cancer Properties and Relevant Mechanisms of Cordycepin, an Active Ingredient of the Insect Fungus Cordyceps spp., (동충하초 유래 cordycepin의 항암 활성 기전 최근 연구 동향)

  • Jeong, Jin-Woo;Choi, Yung H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5 no.5
    • /
    • pp.607-614
    • /
    • 2015
  • Cancers are the largest ca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all over the world. Cordycepin, an adenosine analog, is a major functional component of the Cordyceps specie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Over the last decade, this compound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many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n ability to enhance immune function, as well a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Recently,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interesting properties of cordycepin as a chemopreventive agent as well. There is an accumulating body of experimental evidences suggesting that cordycepin impedes cancer progression by promoting apoptosis, inducing cell cycle arrest, modulating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and inhibiting invas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In many cancer cell lines, cordycepin inhibits growth and cell cycle progression by inducing arrest of the G2/M phase, resulting from the inhibition of retinoblastoma protein phosphorylation and induct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To induce apoptosis, cordycepin activates the extrinsic and intrinsic pathways, which promotes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nd the downstream activation of kinase cascades. Cordycepin also can activate alternative pathways to cell death such autophagy. In addition, cordycepin can inhibit the pro-metastatic processes of cancer cell detachment, migration, and invasion through a variety of mechanisms, including the nuclear factor-kappa B and activated protein-1 signaling pathways.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the variety of action mechanisms by which cordycepin may mediate chemopreventive effects on cancer and discussed the potential of this natural product as a promising therapeutic inhibitor of cancer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