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노동

검색결과 1,984건 처리시간 0.032초

미취업자 분류의 잠재노동력 차별성 검정 (Heterogeneity Tests of the Potential Labor Force among Not-employed in Korea)

  • 박명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117-141
    • /
    • 2020
  • 새로 분류된 잠재노동력을 유휴노동력에 포함시켜 산출한 고용보조지표와 실업률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미취업자를 실업자, 잠재노동력 및 이외 비노동력으로 분류하고 노동시장 행태를 분석하여 분류 간 차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노동시장 상태간 연간 이행률을 토대로 노동력 진입 및 이탈 행태에서 잠재노동력은 이외 비노동력과 다르며 일하려는 욕구가 작지 않은 유휴노동력임을 확인하였다. 인적 특성을 통제한 다항로짓모형 분석 결과는 잠재노동력과 실업자가 동일 집단이라는 가설을 기각하여 고용보조지표와 실업률을 동일 관점에서 해석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마르크스 철학의 인격 개념을 통해 본,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 (Sexual Identity on the Personality of Marxism)

  • 김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74-682
    • /
    • 2014
  • 마르크스 철학에 있어서 인격 개념은 '사회적 제 관계를 기반으로 한 활동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 개념을 여성과 남성의 성정체성의 차이 문제에 적용시켜보면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인격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프로이드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은 가부장제 사회에 있어서 남성 우월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을 무시한 점에서 비판 가능하다. 둘째, 남성과 여성의 활동성(특히 노동)의 차이, 즉 남성의 사회적 노동과 여성의 사적 노동은 남성과 여성의 인격에 결정적 차이를 야기시켰다.

농업 노동의 질적 차이를 반영한 감귤 생산 노동투입 효율성 비교 분석 -시장 임금차이를 기준으로-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Labor Efficiency between Quality-Adjusted Labor and Quality-Unadjusted Labor in Jeju Mandarin Produc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Market Wages-)

  • 이봉실;유영봉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8권3호
    • /
    • pp.153-16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elasticity based on the types of agricultural labor input regarding its qualitative difference in Jeju mandarin production. To estimate the production function of qualityadjusted labor, we have set up a Quality-Adjusted Index based on the market wage of the agricultural field. We hav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newly estimated labor inputs using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aggregate total labor hours (quality-unadjusted labor input) is overestimated compared to quality-adjusted labor with qualitative labor homogeneity. Moreover, by analyzing household labor and employment labor, we have observed that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household labor exceeds that of employment labor.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s that securing labor input homogeneity is crucial for analyzing agricultural labor hours' economic efficiency accurately.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riage and Childbearing on Labor Market Outcom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Women)

  • 유인경;이정민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35-86
    • /
    • 2020
  • 본 논문은 결혼과 출산이 여성의 노동시장 성과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결혼 여부와 시점의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차분-사건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결과의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해 4개의 비교집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한 해에 고용확률이 약 12%p 떨어지며 결혼 6년 차에 이르면 미혼시절보다 약 46%p 낮은 고용률이 나타났다. 고용확률의 감소로 인해 근로소득 역시 결혼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주관적인 생활만족도는 중기적으로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남녀 모두 결혼 이후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및 친인척 관계와 사회적 친분에 대한 만족도는 남녀 모두 결혼 이후 유의하게 높아졌다.

  • PDF

동아시아 자본 및 노동이동의 구조적 변화 (Mutation of Flows of FDI and Labour within East Asia)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5-228
    • /
    • 2006
  • 세계경제공간은 교통 정보통신의 기술혁신과 국제교역의 자유화 그리고 지역화의 강화로 생산제품의 교역뿐만아니라, 생산요소인 자본, 기술, 노동 등이 국경을 넘어 세계 모든 나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국제화(globalization) 과정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세계화된 경제공간에서 핵심부 기업들은 저렴한 생산요소, 특히 저임금 노동력을 찾아 주변 부국가로 자본을 수출하는 동시에 주변부국가로부터 노동력을 유인함으로서 자본과 노동의 국제화를 가져오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성장으로 세계 3극(triad) 경제체계에서 하나의 축으로 등장한 동아시아는 지역 내 국가간 발전격차에 따른 생산요소비용과 소득수준 차이로 자본은 들른 노동이동의 지역화와 자본과 노동이동의 방향 그리고 이주 노동자의 특성에 많은 변화를 보였다. 우선,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 역사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로 구분되어 진행되어왔던 지역 내 노동이동이 동아시아로 통합되고 있다. 그리고 지역 내 노동이동은 자본이동과는 역으로 소득이 높은 국가로의 단계적 이동구조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본유입이 많은 국가에는 기업내부 이동 노동자가, 자본유입이 적은 국가에는 일반 단순노동자가 유입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 PDF

노사관계(勞使關係) 개혁(改革)과 노동시장(勞動市場) 변화(變化)

  • 이주호;김대일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9권3호
    • /
    • pp.3-74
    • /
    • 1997
  • 우리나라의 과거 노사관계 개혁을 평가하고 향후 노사관계의 진로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기능(勞動市場機能)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노사관계에 있어서 제도개혁(制度改革)과 시장기능(市場機能)은 밀접히 연관되어 잇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1987년과 1997년의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노사관계 개혁을 '노동시장(勞動市場)의 성과(成果)(labor market performance)'를 분석함으로써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는 상품시장의 경쟁이 제한되어 있는 대기업부문을 제외하고는 시장의 가격기능(價格機能)이 기본적으로는 작동하고 있으며, (2)우리 노동시장의 경직화(硬直化)가 수급상황(需給狀況)의 변화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바 시장기능(市場機能)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혁(制度改革)이 요구되고 있고, (3)노사관계에 대한 시장규율(市場規律)(market discipline)을 강화하기 위해 상품시장에서의 경쟁 촉진, 공공부문의 개혁, 노동정책 틀의 변화 등이 요구된다는 결론(結論)에 도달하였다.

  • PDF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 노동조합과 기업규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Wage Differentials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Workers: Assessing the Effects of Labor Unions and Firm Size)

  • 이인재;김태기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3호
    • /
    • pp.1-26
    • /
    • 2009
  • 본고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10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를 분석한다. 근로자 개인의 관찰되지 않은 이질성을 통제한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의 추정 결과에 의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는 단순 횡단면 분석에서 나타난 임금격차의 약 50% 수준이다. 노동조합이 임금격차를 축소하거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을 향상시킨다는 실증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으며, 기업규모는 고용형태보다 임금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청년층 지역이동과 임금수준 효과 (Inter-Regional Migration and Wage Effects by College Graduates)

  • 조동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123-1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의 다양한 지역정보와 임금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대졸자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생애주기(고등학교-대학교-취업)에 따른 지역이동 관련 '임금수준' 연구를 최초로 분석하였다. 유형별 노동시장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대졸자 청년층은 거주했던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해 높은 임금을 노동시장에서 보상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노동시장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면 수도권으로의 인재유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PDF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업성, 사회적 지지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Emotional Labor, Professionalism, Social Support,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Clinical Field)

  • 고명숙;이현숙;김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43-3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업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3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현 부서에서의 근무경력, 전문직업성, 감정노동 빈도. 표면행위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의 진심행위와 간호업무성과 간에 긍정적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관리자는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간호인력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감정노동의 진심행위를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간호조직문화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관련 요인 연구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Labor Market Transition of Job Injured Workers)

  • 배화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93-710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 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과 관련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하는 제 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첫째, 요양기간 종료 후 비경제활동인구와 실직 중인 대상자가 각각 7.2%, 22.3%에 이르렀다. 둘째, 새로운 일자리로 복귀한 이들 중 기존에 담당하고 있던 직종과 다른 직종에 근무하는 비중이 31.5%였다. 산업재해로 인하여 직장과 직종이 동시에 바뀌는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성격을 보여준다. 셋째, 산재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행 중 일자리 복귀여부와 관련한 요인을 살펴보면 남성, 낮은 연령대, 교육연수가 높을수록, 요양기간이 짧을수록,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좋을수록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산재 전직장의 규모와 종사상 지위도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직업훈련 경험자 중 일자리로 복귀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장해등급 정도는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의 노동시장이행 각 단계를 고려하여 이행노동시장 관점에서 만들어진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