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측정모델

Search Result 5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Study on Intellectual Assets Measurement Model of Construction Corporation (건설기업 지적자산 측정모델에 관한 연구)

  • Son Young-Chan;Baik Jong-Keo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257-260
    • /
    • 2002
  •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rporation administration is very important. Though there is measurement, grasp problem, and because can improve. Corporation's tangible measuring is possible by specific amount of money of financial statement or loss and gain statement etc. but corporation's intangible property measurement isn't objective and there is no quantitative measurement method. So this research presents model which can do size of construction corporation's intangible property(Intellectual Assets) through model that measure corporation's intellectual assets to do quantification objectively and wish to present development direction of measurement method.

  • PDF

인터넷의 다차원적 사용이 정보만족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대용;장창균;김희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355-372
    • /
    • 1999
  • 정보시스템 성과의 척도로서 사용자 만족과 시스템 사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의 태도, 정보의 질, 시스템의 유용성등 다각적인 차원에서 측정되어 사용되는 반면에 시스템 사용은 이제가지 시스템의 사용시간이나 빈도만으로 측정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사용을 기능적 사용, 상황적 사용, 사용빈도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측정하여 시스템 사용과 사용자 만족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스템의 사용과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알려진 자기유능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컴퓨터 능력, 주관적 규범등이 시스템의 사용에 주는 영향과 그리고 정보 만족과 업무성과에 주는 영향을 설명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분석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PDF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Using BSC and Data Warehouse (BSC를 활용한 Data Warehouse 기반의 건설 프로젝트 성과관리)

  • Park, Moon-Seo;Kim, Nam-Ho;Lee, Hyun-Soo;Ahn, Chang-Bum;Lee, Kyu-S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2
    • /
    • pp.14-25
    • /
    • 2009
  • Many companies have managed their business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ir enterprise purpose. Performance management which applied concept of BSC (Balanced Scorecard) is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SC-based performance management is currently introduced with needs of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most companies actually have intermediate level of adapting BS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process or and structure.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ed on making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and defining each phase of it. In addition, the model and system are established with putting them together. With developing performance process in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companies are supposed to detect the deficiencies of the curr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and take some opportunity to be helped for supporting their decision-making.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values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application.

New transfer standard for low vacuum region

  • 우삼용;한승웅;김부식;이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44-44
    • /
    • 1999
  • 저진공(1 kPa~ 100 kPa)은 대기압 측정, 비행고도, 기체의 온도 측정, 질량의 부력 보정, 레이저의 굴절률 측정등에 사용되는 영역으로 과학적 중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대기압 이상의 압력 측정과 고진공 측정의 경계적 역할도 수행하고 있어 압력 표준기의 국제 비교에 필수적으로 권장되는 역역이다. 이 영역에 주로 사용되는 압력 표준기는 수은 압력계(Mercury manometer)와 분동식 압력계(Deadweight piston gauge or Pressure)가 있다. 이들은 이동이 불편하거나 불가능하므로 표준기의 국제 비교에 사용되는 전달 표준기로는 보다 이동이 간편한 탄성 압력계인 CDG(Capacitance diaphragm Gauge)가 있다. 이 게이지는 반도체 산업의 공정 제어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게이지와 함께 사용되는 컨트롤러의 부피가 크고 무거우며 영점 이동이 커서 측정때 마다 재조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정빔 진동형 진공 센서를 잔달 표준기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정빔 진동형 압력 센서는 수정빔으 공진주파수가 스트레인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제작된 센서로 주로 대기압 이상의 고압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수정빔의 압력과 주파수간의 관계를 측정하고 또한 내장된 수정 온도센서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여 온도 보상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규격에 나와 있는 수정빔의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거동에 관한 이론 모델식을 구하고 압력교정 자료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이 식과 비교 분석하여 적합한 특성식과 인자를 구하였으며 게이지의 불확도를 추정하였다.모델은 길이가 유한한 0-차원 실린더 모델로 가정하였고, 이에 대한 기하학적 성질 및 열역학적 성질은 유효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진공용기 이중 벽 내부로 흐르는 질소가스의 유량과 온도의 계산은 진공용기 내벽과 외벽을 각각 독립적인 열전달 요소로 가정하여 구성한 모델을 이용하였다. 전체 해석에서 각 열전달 요소의 비열 값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비열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의 방사율(emissivity)은 앞서 가정했던 각 온도 상승 곡선에 대해서 각각 0.1, 0.2, 1.3의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온도 상승 곡선중 2$0^{\circ}C$/hr의 온도상승율을 갖는 경우가 다른 베이킹 시나리오 모델에 비해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초대 필요 공급열량은 200kW 정도로 산출되었다. 실질적인 수치를 얻기 위해 보다 고차원 모델로의 해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KSTAR 장치의 베이킹 계획도 살펴본다.습파라미터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주기분할층의 파라미터들이 모형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함께 고려된다. 한편, 이러한 학습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본 모델의 학습성과가 local minimum에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웨이블릿분석과 인공신경망모형을 모두 전역적으로 최적화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local minimum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전역적인 학습성과를 높여 주는 인공지능기법으로서 유전자알고리즘기법을 본 연구이 통합모델에 반영하였다. 이에 대한 실

  • PDF

A Study on NOS Model System for The Construction Work Planing and Management (건설 시공 계획 및 관리 업무의 적용을 위한 NOS 모델 구축 연구)

  • Choi, Jaejin;Park, Hong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2 no.1
    • /
    • pp.10-18
    • /
    • 2016
  • This study presented a new NOS model through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apply the construction work planing and management to NOS(Network Operating System). First, This study presented CIMS(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classification - functional component classification - functional component classification - work classification - resource classification. Based on this system. this study presented how to establish PMMB(performance measurement management baseline) with proposed master target equation which analyzed the trend of performance measurement management baseline and proposed work target equation which analyzed the execution results.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NOS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fixed price method and cost plus fee method through the theoretical verification of executive performance analysis method.

A Study on the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using Balanced Scorecard (BSC를 이용한 지식경영 성과측정 방법에 관한 고찰)

  • 노규성;윤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89-298
    • /
    • 1999
  • 최근 조직에 지식경영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이를 도입하고자 관심을 갖고, 도입 중에 있는 조직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의 도입은 지속적인 구축과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지식경영을 도입하였을 때 과연 조직은 어떠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라는 점에 많은 질문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식경영을 도입함으로써 조직이 어떻게 변화하며,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해야 할 것인가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그 유용성이 강조되는 BSC 관점에서 점진적 지식경영 방법론에 토대를 둔 파일럿 영역단위의 접근에 기반한 산업별 조직의 가치활동의 가중치를 평가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지식경영의 성과측정 방법에 대한 지침 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economic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of industrial safety design (산업안전디자인의 경제적 성과측정 모델 연구)

  • Jinho, Ahn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3 no.1
    • /
    • pp.176-185
    • /
    • 2023
  • This study is a study to develop a model to measure the economic performance when introducing industrial safety design, which is emerging as a necessity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dustrial site nursing accident rate and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o this end, studies on the concept of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and industrial safety design and economic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field of industrial safety were conducted in terms of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pinions on drafts of related indicators were collected through user opinion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Delphi technique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and research was conducted to advance the model. In order to secure objectivit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industrial safety design, cost reduction effect, and sales increase effect was tes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fter going through these steps, two models of economic performance measurement of industrial safety design were finally developed: a model based on the first-stage disaster loss cost reduction effect and a second-stage sales increase effect. In order to be applied to actual industrial sites, it should be able to be presented as a standard for the degree of service level agreement of industrial safety design beyond a simple checklis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Government Website (지방자치단체 웹 사이트 품질평가모델의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Dong-Jin;Lee, Myeong-M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43-50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영리조직의 성과측정 방법론인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접근을 채택하여 지자제 웹 사이트 성과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후, 군단위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본 프레임워크 및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보인다.

  • PDF

Structural Factors Affecting Comfort Related Fluid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Fabric (직물에서 구조적 요인이 쾌적성과 연관된 유체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 홍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71-1372
    • /
    • 2003
  • 직물에서 구조적 요인이 쾌적성과 연관된 유체전달 특성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려된 구조변수는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구성성분 그리고 꼬임수이다. 측정한 쾌적성과 연관된 물성으로 수분 흡수성, 수분 증발성, 그리고 수분 투과성이다. 이들 물성은 고려된 구조 인자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결과들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이해를 위해 실에서 접촉적각, 직물에서 모세관 흡수 곡선, 그리고 기공크기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기존 이론들을 수정한 모델을 도입하여 모사 설명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Interoperability Capability Model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mponent Based System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상호운용 능력 모델 개발)

  • 류동국;김기두;이상일;김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18-420
    • /
    • 2004
  •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많은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초기에는 독자적인 운영에 만족하였으나 시스템의 효율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로 인하여 시스템간의 정보교환에서 기능교환에 이르기까지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이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이 발전하면서 컴포넌트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 또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LISI 모델을 확장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외 상호운용성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상호운용 능력 모텔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컴포넌트 상호운용 능력 모델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각 개발 단계에서 상호운용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상호운용 능력 모텔은 상호운용 성숙도 모델로 확장하여 기 개발된 시스템의 상호운용 성숙도 측정이나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