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섭동이론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9초

아인슈타인-본-인펠트 중력 이론에서 새로운 웜홀의 스칼라장 섭동과 안정성 (Scalar Perturbation and Stability of a New Wormhole in Einstein-Born-Infeld Gravity)

  • 김진영
    • 새물리
    • /
    • 제68권11호
    • /
    • pp.1262-1267
    • /
    • 2018
  • 음의 중력상수를 갖는 아인슈타인-본-인펠트 중력 이론에서 별난 물질(exotic matter)을 도입하지 않고 웜홀을 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의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웜홀의 목은 메트릭 해가 매끄럽게 접합되는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목을 지탱하기 위한 별난 물질을 필요치 않는다. 이러한 웜홀의 안정성을 논의하기 위해 최소결합된 스칼라장의 거동을 고려하였다. 새로운 웜홀 배경에서 스칼라장의 유사정준 모드를 웜홀의 목에서는 순전히 들어가는 선속으로 정의하면 웜홀 해의 안정성은 블랙홀의 안정성을 논의할 때 사용되는 방법과 같이 유사정준 모드로 논의할 수 있다. 섭동방정식의 해석적 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유사정준 모드를 수치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랙홀의 경우와 근본적인 차이점은 급수전개시 지름성분 방정식의 이차항의 계수가 블랙홀의 경우에는 n = 0부터 전개되지만 웜홀의 경우 n = -1부터 전개된다는 것이다.

고분자액체에 대한 포텐셜의 비교 (Comparison of Potentials for Polymeric Liquids)

  • 정해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45-549
    • /
    • 2002
  • 고분자액체에 대한 이론들은 많은 경우 cell, hole, free volume 또는 lattice 등의 개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여기에 van der Waals 포텐셜이나 Lennard-Jones 6-12포텐셜 또는 이를 개선한 형태의 포텐셜을 보통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액체를 설명?求?성공적인 이론으로 알려져 있는 격자유체이론에서 불연속적 격자를 고전적으로 연속적으로 격자로까지 확장한 연속격자유체이론과 Flory의 상태방정식이론을 개선한 Dee-Walsch의 Cell 이론에 각각 Mie(p,6)포텐셜을 적용하여 반발포텐셜항의 지수 p에 따른 PVT 값을 계산하여 실험값과 비교를 하였다. 또한 격자유체이론, Flory의 상태방정식이론, 섭동법을 이용한 Cho-Sanchez 이론의 계산값과도 비교를 하였다. 계산결과를 통하여 고분자액체에 대한 포텐셜로 Van der Waals 포텐셜, Lennaed-Jones 6-12 포텐셜, Mie(p,6)포텐셜들을 비교하였다.

단순화된 입출력선형화방법에 의한유동전동식의 강인한 속도 및 효솔제어 (Robust Speed and Efficiency Control of Induction Motors via a Simplified Input-Output Linearization Technique)

  • 김규식;고명삼;하인중;김점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9권10호
    • /
    • pp.1066-1074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유동전동기에 최근에 개발된 비선형 제어이론을 적용시켜 회전자 속도와 회전자 자속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선형 시스템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제안한 제어기가 유도전동기를 고성능뿐만 아니라 고효율로 제어할 수 있음을 수학적인 분석, 시뮬레이션, 그리고 실험을 통해 보였다. 제안한 제어기는 d-p동기 회전축과 x-y고정자축 사이의 변환, 전기각 속도의 적분, 그리고 전압방정식에서 역기전력과 결합항의 보상등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기존 벡터 제어기보다 계산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고 특히 전동기 매개변수의 변화에 강인한(robust)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이 제안한 설계방법은 최근에 개발된 이론인 특이섭동기법(singular perturbation technoque)과 비간섭 궤환제어(noninteracting feedback control)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실제로 이 이론들이 유도 전동기의 속도 및 효율제어에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본 논문을 통해 보이고 있다.

Borresen의 소격해법에 의한Adjoint속의 근사적 결정 (An Approximate Determination of the Adjoint Flux by the Borresen's Coarse-Mesh Method)

  • Kim, Chang-Hy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56-61
    • /
    • 1989
  • Borresen의 1.5군 소격 확산이론에 의거하여 2군 중성자 속에 대한 adjoint 함수를 근사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한가지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열 중성자 속에 대한adjoint 함수의 누설항을 1.5군 이론의 원리에 입각하여 기하학적 buckling에 의해 근사적으로 기술하게 되는데 이때 그 기하학적 buckling은 속중성자속의 adjoint 함수로부터 구하게 된다. 한편 제안된 계산 방법의 정확도를 알기 위해 adjoint함수 계산에 대한 KIDD 전산코드의 계산결과와 제안된 방법의 계산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로부터 제안된 방법이 정확도면에서 만족스런 adjoint함수를 예측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 방법은 섭동 이론과 관련하여 반응도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도 보였다.

  • PDF

비파괴 측정을 위한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 연구 (The Study of Near-field Scanning Microwave Microscope for the Nondestructive Detection System)

  • 김주영;김송희;유현준;양종일;유형근;유경선;김승완;이기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8-517
    • /
    • 2004
  • 근접장의 특성과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의 배경이론을 설명하였고 유전체 공진기 제작에 앞서 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를 이용한 모의 시뮬레이션을 기술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원통형 유전체 공진기를 제작하여 금속탐침과 결합한 근접장 마이크로파 현미경(near field scanning microwave microscope : NSMM)을 구성하였다. 제작한 유전체 공진기의 특성은 HFSS를 이용하여 모의 실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Tip의 기하학적 모양에 따른 공간분해능과 감도(sensitivity)를 연구하였고 contrast가 가장 좋은 hybrid tip을 개발하였다. 전도도가 서로 다른 금속시료에 따른 NSMM의 반사계수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실험결과와 이론적 시료의 임피던스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NSMM으로 공간 분해능이 $1{\mu}m$의 Cr과 NiFe 패턴의 이미지를 비접촉, 비파괴방법으로 얻었다.

외면이 주기적으로 울퉁불퉁한 실린더에서 비틂 탄성파의 전파속도 (Propagation Speed of Torsional Elastic Waves In a Cylinder with a Periodically Corrugated Outer Surface)

  • 김진오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54-60
    • /
    • 1999
  • 본 논문은 길이방향으로 조화함수 형태로 변화하는 외경을 가진 환형 단면의 탄성 실린더에서 전파하는 비틂 탄성파의 전파속도에 대한 이론적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주기적인 미소한 외경 변화를 섭동법에 의해 다루어 전파속도의 근사해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전파속도는 외경 변화 폭의 제곱에 비례하는 양만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결과는 앞서 보고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한다. 실린더의 두께가 얇을수록, 그리고 외경변화 빈도가 클수록 외경변화로 인한 전파속도 감소효과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

자기장과 온도장으로 재하된 강자성 판의 좌굴 (Buckling of Ferromagnetic Plates in Thermal and Magnetic Fields)

  • 이종세;왕성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27-739
    • /
    • 2002
  • 강자성 판의 자기-열-탄성 상호작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자기-열-탄성에 관한 일반화된 변분원리에 기초한 이론적인 모델이 제안되었다. 자탄성 선형화이론과 섭동법을 사용하여, 온도장과 자기장으로 재하된 단순지지 강자성 평판의자-탄성 좌굴과 자기-열-탄성 좌굴거동을 해석하였다. 또한 해석적인 고찰이 어려운 보다 복잡한 강자성 판의 자기-열-탄성 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비선형 유한요소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하여 유한한 강자성 판의 자기-열-탄성 ?과 좌굴거동 그리고, 이에대한 온도장과 자기장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유한한 Bandwidth를 갖는 비선형 불규칙 파열에서의 Threshold Crossing Rate, 위상분포와 파군특성 (Threshold Crossing Rate, Phase Distribution and Group Properties of Nonlinear Random Waves of finite Bandwidth)

  • 조용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25-233
    • /
    • 1997
  • 부체의 장주기동요, 연안구조물과 계류선의 파괴 등과 같은 역기능으로 인해 파군현상의 정확한 해석은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연안계에서 발생하는 파랑과 가장 근접한 비선형불규칙 파랑계를 산정하여 해안구조물의 피로거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파군당 파랑의 수와 해안구조물의 first excursion failure mode를 결정하는 high run에서의 파랑수를 중심으로 파군현상을 해석하였다. 해석과정에 mapping technique과 유의파경사를 perturbation parameter로 섭동이론이 사용되었다. 해석결과 Gaussian wave계에서 균등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위상함수는 평균값 주위에 집중분포하였고, 그 정도는 비선형성이 증가할수록 심화되었다. threshold crossing rate의 경우 비선형성이 심화될수록 평균해수위보다 큰 쪽으로 분포형이 이동하였으며 파군당 파랑수와 high run에서의 파랑수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최근 설치범위가 심해쪽으로 확대되는 해안구조믈의 경우 피로거동에 대한 보강이 요만된다.

  • PDF

화염 전달 함수를 이용한 열음향 연소 불안정 해석 모델 소개 (Introduction to Thermoacoustic Models for Combustion Instability Prediction Using Flame Transfer Function)

  • 김대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8-10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많은 가스터빈 산업체 및 연구기관에서 연소불안정 현상과 관련된 변수들을 예측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열음향 해석 모델에 대한 기술 소개 및 최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선형 시스템 해석을 통하여 연소 불안정이 발생하는 고유 주파수 및 불안정 초기 성장률의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정의된 시스템에서의 음향파와 열발생율 섭동간의 선형 관계식을 선형 음향 이론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고, 이 관계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화염 전달 함수로부터 n-${\tau}$ 함수를 구하여 열발생율 섭동 결과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부터 선형 특성 해석에는 상당한 진보가 이루어져 왔고, 실제 가스터빈 연소기에 적용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한계 진폭과 과도기 현상 예측을 위해서 요구되는 비선형 동적 특성 모델링 기술 개발은 현재 간단한 연소기와 버너의 적용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실제 복잡한 가스터빈과 같은 연소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비선형 경계 조건을 고려한 시스템 동적 특성 연구와 화염의 비선형 거동을 더욱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전달 함수에 대한 예측 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착물 분자궤도함수의 일점 전개에 의한 입방결정장 분열 파라미터 10Dq의 고찰 (A Study of the Cubic Field Splitting Parameter 10Dq by Means of One-Center Expansion of Complex MO)

  • 김호징;이상엽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7-77
    • /
    • 1978
  • 착물의 분자궤도함수를 중심 금속이온의 핵을 원점으로 하는 함수들을 기저함수 집합으로 하여 일점 전개하고, 그 결과를 섭동론적인 입장에서 해석했다. $KNiF_3$의 결정구조 (perovskite structure)내에 존재하는 공유결합성이 비교적 작은 $[NiF_6]^{4-}$의 경우에도, 리간드의 배위로 인한 섭동으로 중심 금속이온의 $e_g$궤도함수와 $t_{2g}$궤도함수에 g궤도함수 이상의 각운동량을 갖는 들뜬상태 배치가 상당히 크게 섞여 들어온다는 것과, 이들 궤도함수들이 갖는 변형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기서 MO계산에 의해 얻어지는 $e^*_g$궤도함수와 $t^*_{2g}$궤도함수 사이의 에너지차는 결정장 이론에서 정의되는 단일한 파라미터로서 10Dq의 의미는 갖지 못하며, 엄밀한 입장에선 그와 같은 파라미터는 정의될 수 없음을 밝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