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호유형

검색결과 810건 처리시간 0.026초

음악적 자극과 수학적 과제 유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뇌파분석 (EEG Signal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Task Type and Musical Stimuli)

  • 정유라;장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73-77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과제 유형에 따라 음악적 자극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뇌파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음악적 자극은 선호 음악과 비선호 음악, 수학적 과제는 암기형과 절차형의 과제로 구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뇌파 실험에서 계측한 데이터를 인간의 집중과 관련이 있는 세타파, SMR파 및 중간베타파로 구분하여 상대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는 수학적 과제의 유형과 관계없이 음악적 자극이 주어진 상황 중 선호하는 음악이 주어졌을 때의 파워가 더 높게 관측되었고, 선호하는 음악이 무음악과 비선호 음악이 주어진 상황보다 과제 해결 시 긍정적인 정서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TV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주관성 연구 -프로그램 기획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Viewers' Subjective Perception of Food TV Program -Focus on Program Planning Intentions-)

  • 윤선민;홍장선;김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51-664
    • /
    • 2018
  • 음식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끌면서 음식과 접목시킨 다양한 소재의 방송프로그램이 대거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각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기획의도에 대한 선호유형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프로그램과 기획의도에 대한 시청자들의 선호유형을 도출하였고 총 3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제1유형은 능동적 실용정보 습득형으로 실용성과 오락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휴식의 수단으로써 음식과 음식프로그램을 즐기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문화적 교양지식 추구형으로 전문적 정보를 탐구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음식의 본질적 의미와 올바른 정보전달에 주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제3유형은 동질적 생활밀착 투영형으로 명명하였다. 주로 음식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에 만족감을 느끼는 유형으로 방송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스토리텔링과 소통에 즐거움을 느낀다. 이와 같이 각 유형들은 서로 다른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것을 토대로 음식프로그램의 컨셉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및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Stress, Quality of Sleep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Mye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in Nursing students)

  • 박다혜;장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29-53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 선호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수면의 질,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간호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MBTI의 선호유형에 따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외향형일수록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beta}=.23$, t= 2.01, p=.047), 사고형일수록 물질적지지(${\beta}=.06$, t=.77, p=.025), 판단형일수록 평가적지지(${\beta}=.24$, t=1.52, p=.014), 인식형일수록 자존감지지(${\beta}=-.21$, t=-.35, p=.011)가 스트레스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 시 MBTI 선호유형에 따른 개별적 중재방안이 필요하며, 학과, 대학 및 전문가의 융합을 통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인문치료의 진단 및 평가: 감각유형에 따른 말속도와 기본주파수의 실험음성학적 분석 (Diagnosis and Evaluation of Humanities Therapy: The Phonetic Analysis of Speech Rates and Fundamental Frequency According to Preferred Sensation Type)

  • 이찬종;허윤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1-2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선호감각유형과 발화속도 및 기본주파수 (이하, $F_0$)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36명 (남학생 17명, 여학생 19명)을 대상으로 선호감각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읽기와 그림보고 말하기 과제, 그리고 대화과제를 실시하여 말속도를 측정하였고, 일상대화시의 $F_0$와 말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D (내부언어) 유형을 제외했을 때 V (시각) 유형의 경우 읽기과제에서 말속도와 상관성이 있었고, D (내부언어) 유형을 포함했을 때 A (청각) 유형과 F0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VAK (시각, 청각, 촉각) 유형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말속도의 경우 인터뷰 과제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VAKD (시각, 청각, 촉각, 내부언어) 유형의 평균에서는 전체 과제에서 V (시각) 유형이 A (청각) 유형보다 발화속도가 빠르고 $F_0$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에서 선호감각유형과 $F_0$와 말속도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문치료 진단 및 평가에서 주관적 감각유형검사와 함께 말소리의 객관적 분석을 통하여 감각유형검사의 보완적 역할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교육 및 상담에서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호감각유형과 발화속도 및 $F_0$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의 기초토대를 마련하였다.

무선인터넷 컨텐츠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red Content Types in Mobile Internet Service)

  • 우지에;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무선인터넷 서비스 사용자의 특성(성, 나이, 직업)에 따라 컨텐츠 선호 유형이 달라지는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무선 인터넷 컨텐츠와 관련한 기존문헌들을 중심으로 무선인터넷 서비스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무선인터넷 컨텐츠 유형을 도출 및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에게 설문지를 의뢰함으로써 다양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사이버대학교의 강좌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s design of online lectures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classes of Cyber University)

  • 배윤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07-314
    • /
    • 2010
  • 국내에서의 사이버교육에 대한 수요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이버대학교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술적 정보 유형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유형을 파악하고 한국사이버대학교 재학생 1,1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가장 선호하는 강의 유형과 가장 교육효과가 높은 강의유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강의 유형에 대한 수강경험이 강의 유형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으며 강의 콘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요구사항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강의 유형은 e-Stream+flash의 유형이었으며 멀티미디어형 강의가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험해 본 유형의 강의 콘텐츠를 선호하였으며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는 왼쪽의 고정메뉴를 선호하였다. 온라인 강의에서 강의 콘텐츠의 충실성 뿐 아니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강의 콘텐츠 디자인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에서 사이버 교육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린이·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대출도서 선호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of Preferred Loan Book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한윤옥;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55-2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청소년의 선호도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8개교 5학년 394명과 중학교 7개교의 1학년과 2학생 374명 총 768명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출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별로 선호도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품분석지표를 통해 얻어진 선호도서의 결과 중 특이값의 결과가 에너지를 사용하는 중추센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머리형(사고형), 가슴형(감정형), 배형(본능형)의 영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격유형별 맞춤식 독서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갤럭시폰 사용자의 감성 유형 (The Classification of Galaxy Phone User's Sensibility Type)

  • 이영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37-140
    • /
    • 2012
  • 본 연구는 갤럭시 폰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요소의 주관적 관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주관성 연구를 위해 Q 방법론을 통해 3개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합리적 행동 추구 유형으로 갤럭시 폰에 대한 직 간접 체험을 통해 감성품질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으며 휴대성과 사용성을 중요시 하고 외형의 형태와 재질에 관해서는 낮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 유형은 계획된 행동 추구 유형으로 주관적인 개인의 지각을 중요시하며 기능, 물리적 느낌 그리고 사용성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즐거움과 효율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3 유형은 차별적 개성 추구 유형으로 개인이 소유한 제품을 통해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기며 심미적 요소의 차별을 통한 개성 표출을 중요시하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 PDF

성격유형별 선호도서 추천을 위한 서평 키워드 활용의 유효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sing Keywords in Book Reviews for Customized Book Recommend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 차연희;최성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43-372
    • /
    • 2021
  • 이 연구는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를 추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선별하고, 선별된 키워드가 실제 성격유형별 도서의 구분 및 추천에 활용 가능한지 여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생 5~6학년과 중학생 1학년 수준에 맞는 도서를 선정하여,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성격유형별 선호도서로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전문가 집단 5인 이상 의견이 일치하는 도서가 절반에 해당하며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또, 선정된 도서의 서평 데이터를 모아 어휘자동추출시스템으로 추출한 키워드로 도서를 성격유형별로 분류한 결과와 전문가 집단이 최종 판정한 결과를 비교하면, 소수의 도서를 제외하고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써 서평 키워드를 활용하여 성격유형별 선호도서로 구분하고, 성격유형별 도서추천에 유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