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행 인장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김정희 관련 인장의 실증적 분석: 김정희 자각 인장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eals Related to Kim Jeong-hui: Focusing on the Seal Engraved by Kim Jeong-hui)

  • 최준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19-428
    • /
    • 2020
  • 본 연구는 김정희와 관련된 인장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전각예술을 학술적으로 재정립하고 그 우수성을 널리 선양하고자 했다. 인장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고, 김정희가 새긴 인장과 그와 관련된 인장 중 변관이 있는 인장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 분석했다. 인영이 아닌 실제 인장 연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인장 측면에 변관이 있는 경우 김정희가 직접 인장을 새긴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장의 석질, 사용된 필법, 장법, 도법 등의 확인이 가능했다. 수작업이 아닌 공구로 새긴 모각인장을 통해 불확실한 제작 의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모두 실제 인장을 분석했기에 가능한 연구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고서화를 감정할 때 인장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되길 기원한다.

선행하중이 보강점성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loading to Reinforced Clay)

  • 노한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9-25
    • /
    • 2000
  • 배수성과 인장강성을 가지는 복합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한 포화점성토의 거동에 선행하중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위하여 평면변형을 시험을 수행하였다. 보강하지 않은 공시체와 보강한 공시체에 대하여 이방압밀(K=0.3, σ3'=50kPa)을 실시하고 비배수 및 배수전단시험을 일정변형율 속도를 실시하였다. 선행하중을 가한 시험의 경우는 이방압밀후 소정의 선행하중을 가하여 크리이프, 제하, 에이징 후에 비배수 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분석한 결과 포화전성성토와 같이 연약한 토질이라도 다짐을 잘하고 보강토의 큰 배수압툭강도를 이용하여 큰 배수압축강도를 이용하여 큰 선행하중을 가하여 과압밀 상태로 함으로써 비배수 전단시에 큰 초기강성을 가지는 것을 알수 있었다. 즉, 점성토의 보강토의 경우 보강에 의한 배수강도의 증가는 큰 선행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콘크리트 직접인장강도의 세장비 효과 (Effect of Aspect Ratio in Direct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 홍건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46-253
    • /
    • 2003
  • 콘크리트 부재는 직접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부재의 균열강도 등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는 재료 특성 중의 하나이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방법은 주로 직접인장, 휨인장, 쪼갬인장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나, 이 중 직접인장시험법은 시험체에 순수인장력을 가력할 수 있는 실험방법상의 문제로 거의 수행되지 못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인장시험방법의 검토 및 시험체의 세장비, 크기 등이 직접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단부 보강편을 이용한 직접인장강도의 실험은 RILEM 및 U.S.Bureau of Reclamation의 규정을 사용하였으며, 총 4가지 종류의 세장비와 2가지 크기의 시험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동일변수의 쪼갬인장강도 및 휨인장강도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신뢰성있는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인장웨브재 형태에 따른 각형강관 갭K형 접합부의 거동 비교 (Comparison on the Behavior according to Shapes of Tension Web member in gap K-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 정상민;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통권78호
    • /
    • pp.561-568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트러스 인장웨브재의 형상이 정방형 각형강관인 기존 연구(강관웨브형)와 고장력 강봉을 인장웨브재로 사용하기 위해 연결플레이트를 가지는(강봉웨브형) 냉간성형 각형강관 갭 K형 접합부의 거동 비교를 통하여 고장력 강봉 사용의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주관폭두께비가 33.3으로 동일한 강관웨브형 실험체 4개와 강봉웨브형 실험체 8개의 최대내력, 파괴모드, 초기강성, 연성율 등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접합부의 내력은 강관웨브형에서는 압축지관의 선행파괴로 결정되었으며, 강봉웨브형에서는 인장측의 선행파괴로 결정되었다. 무차원화 내력은 동일 폭비에서 강관웨브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폭비 증가에 따른 내력증가현상도 강관웨브형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강봉웨브형은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인장과 압축폭비로 나누어 살펴보면 인장폭비 증가에 따라서는 선형적인 증가현상이 나타남을 알았다. 파괴모드는 강관웨브형의 경우에는 압축지관의 미소 국부좌굴과 인장웨브와 주관 접합면의 소성파괴가 나타났고, 강봉웨브형의 경우는 주관플랜지면 소성변형 후 연결플레이트 용접부위의 파단이 나타났다. 따라서, 강봉웨브형에서 연결 플레이트를 갖는 갭K형 접합부의 경우에는 강관웨브형에 비해 주관의 폭두께비를 낮게 할 필요가 있으며, 폭비도 인장지관과 압축지관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의 용접성에 대한 실험분석과 메타분석 연구 (Laboratory and Meta Analysis for 9% NI Steel of 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 박상흡;안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70-677
    • /
    • 2016
  • 본 연구는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에 대한 실험분석과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LNG 저장 탱크 운반선 9% NI Steel에 대한 선행연구에 기초해서 메타분석을 수행한 후에, 9% Ni Steel의 패스(pass)와 다층용접(multi pass)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격반응검정(impulse-response test)을 통한 실험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9% Ni Steel의 다층용접(multi pass welding)에 대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시험한 결과 패스 1부터 패스 3까지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으나, 패스 3 이후부터 다층용접의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층용접(Multi pass welding)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패스(pass), 다층용접(multi pass)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용접시간(welding time)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용접시간(welding time), 인장강도시간(tensile time)이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윤 모래에서 인장강도의 예측 (II) : 검증 (Prediction of Tensile Strength of Wet Sand (II) : Validation)

  • 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37-44
    • /
    • 2008
  • 낮은 응력 상태에서 모래의 인장강도는 포화도 또는 흡입력에 따라 증가하다 최대값이 이른 후 감소한다. 최대인장 강도는 어느 포화도에서든 발생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습윤 모래의 인장강도를 정확히 표현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의 모래(워싱턴 주 시애틀의 검정 Esperance모래, 오스트리일리아 서부 Perth 해변 모래, Ottawa 모래)에 대해 실시된 일축인장실험, 함수특성실험, 직접전단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안된 이론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닫힌 형식의 식으로 표현된 이론은 이들 모래들로부터 얻어진 실험결과와 비교 시 전체 포화도 영역에서 인장강도 변화양상, 인장강도 크기, 최대인장강도, 최대인장강도가 발생할 때의 해당 포화도 등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장강도 측정에 의한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 of Straight Permanent Waved Hair by Tensile Strength Test)

  • 노정애;장병수;최태부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49-56
    • /
    • 2009
  • 본 연구는 스트레이트 펌에 의해서 손상된 모발의 인장특성과 미세구조적 변화를 인장강도기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건강모발과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후 형태적인 특징을 비교하였을 때 스트레이트 펌 모발에서 큐티클층의 큐티클세포들은 건강모발에 비하여 심하게 분리되어서 들떠있는 상태로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들은 세포막사이 복합체의 파괴에 의해서 분리되었고 세포질의 파괴나 부서짐의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모발과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인장특성에 관한 비교 실험에서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인장거리는 건강모발에 비하여 24.5%가 감소되어 약 3.05 mm의 차이가 나타났고 인장강도는 34.63%가 감소되어 $5.62\;g/cm^2$가 작았다. 또한, 최고응력은 34.59%가 감소되어 56.12 g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스트레이트 펌 모발의 인장특성은 탈색모발과 염색모발의 선행 연구결과보다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짐된 모래-벤토나이트 혼합토의 인장강도 측정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on Compacted Sand-Bentonite Mixtures)

  • 정수정;김태형;김찬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C호
    • /
    • pp.377-384
    • /
    • 2006
  • 다짐된 모래-벤토나이트 혼합토의 인장강도 측정을 위한 새로운 시험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축관입(UP)시험에 대한 이론적 실험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짐된 혼합토의 인장강도는 완전소성이론을 이용한 한계해석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으며 개량일축관입시험기(Improved Unconfined Penetration, IUP)는 기존의 일축관입시험기와 비교하여 시험기기의 개선을 통해 측정 오류를 감소시켰다. 선행 시험 결과 원반의 크기와 재하속도의 증가와 pH가 높아(산성)짐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반 직경이 25.4mm이며 재하속도가 0.5%/min~1%/min일 경우가 개량일축관입시험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할렬인장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개량일축관입시험법의 신뢰성도 확인하였다.

평면 변형 조건에서 일축 인장력을 받는 금속 재료의 불연속 변위 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gle of Localization of a Metal Specimen under Uniaxial Tension with Plane Strain Condition)

  • 박재균;김미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5-281
    • /
    • 2011
  • 일반적으로 인장 시험에 주로 사용되는 납작한 형태의 금속 재료에 천천히 인장력을 가하고 그 힘을 증가시키면 어느 순간에 루더스 밴드(Luders band)라고 불리는 소성 변형의 띠가 갑자기 발생한다. 이 띠들은 일정 각도를 가지고 평행하게 발생하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특정 경계조건에 대하여 이 띠가 발생하는 조건과 그 각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응력 조건에서 이루어진 Thomas(1961)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J_2$ 소성 변형 조건, 힘의 평형방정식, 그리고 구성방정식을 이용하여 평면 변형 조건에서 발생하는 밴드의 각도를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이 결과는 음향텐서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강판 휨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s)

  • 오병환;조재열;강동옥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33-244
    • /
    • 1997
  • 구조적으로 손상을 입은 구조물들에 대한 보강방법으로 강판, 카본쉬트, 아라미드섬유쉬트 등을 이용한 접착공법이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널리 Tm이는 방법은 강판접착공법이다. 강판접착공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보의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의 영향이나 강성, 파괴양상등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강판접착공법에서 파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박리하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철근콘크리트보부재를 대상으로 하여 주요실험변수로 선행하중의 크기, 강판의길이, 강판의 두께, 앵커볼트의 간격과 유무, 강판의 층수, 측면보강높이를 실험변수로 하여, 휨인장에 대해 강판잡착공법을 적용하여 포괄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3등분점하중법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처짐, 인장 및 압축 철근의 변형도, 콘크리트와 강판의 변형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파괴양상과 파괴하중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