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행학습효과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Korean Learning Education Contents for Children based on Mobile Platform (모바일 플랫폼 기반 유아용 한글 학습 교육 콘텐츠 개발)

  • Song, Mi-Young;Kim, Hyo-Won;Choi, Y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47-49
    • /
    • 2020
  • 본 논문은 유아기 언어 발달 시기에 한글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기 위해 기존의 학습지 형태의 한글 교육 선행 학습과는 달리 시각적, 청각적 효과로 몸의 감각을 통해 창의적이고 동적으로 사물을 배우며 이러한 자극으로 정보를 기억하고 축적할 수 있는 한글 학습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플랫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키우며 나아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유아가 한글 학습의 놀이 과정을 통해 창의력을 높이고, 다방면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뿐만 아니라 학습을 통해 스스로 이끌어가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신경회로망의 제어 분야 응용

  • 오세영
    • 전기의세계
    • /
    • v.38 no.2
    • /
    • pp.17-22
    • /
    • 1989
  • 신경회로의 실로 광범위한 응용중에 시스템 제어가 차지하는 중요도는 산업 공정제어 시스템이라는 막대한 시장으로 보아 가장 크다고 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경회로제어가 실제로 보편화도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1) 신경 회로의 경제적 구현 방식-Analog, Digital, Optical회로 2) 빠르고 효율적인 학습 알고리듬 3) 사용하기 쉬운 software 4) 신경회로의 응용분야 개발 신경회로는 이런 시스템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일 것이다. 이로 볼때 앞으로 20년간 현존하는 산업제어시스템은 차차 신경 회로제어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물론 그에 앞서 기존의 시스템과 신경 회로방식을 어떻게 효율적, 경제적으로 결합하느냐하는 system engineering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 PDF

A Design of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using Digital Textbooks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자기주도 문제해결학습 모형 설계)

  • Jeon, Da-in;Chu, Soek-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231-23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자기주도 문제해결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이 모형은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했을 때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했을 때 학습의 주도권이 교사에서 학생으로 넘어올 수 있도록 학생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통해 제공되는 자료를 ICT 도구를 활용해 스스로 분석 정리하고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공부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깨우치도록 하는 데 이 모형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자기주도 문제해결학습 모형을 학교 수업에 적용했을 때 기대되는 효과로는 문제해결력 향상, 학습에 대한 능동성 강화, 학습동기 증진, 수준별 학습 가능 등이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to extend self-learning ability in concrete operation age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와 적용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 Lee, Dong-Gi;Lee, Jae-In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50-659
    • /
    • 2004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에 역점을 두고있다. 이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신장을 위한 수학과 교수 학습 자료들이 제작되어 보급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특성에 맞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사례들을 분식하여 나타난 단점들을 수정, 보완하고, 초등학교 '확률과 통계'영역 중 3학년 나 단계의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PBL in Computer Education (PBL을 적용한 컴퓨터 교수.학습 효과 분석 연구)

  • Lee, Miw-Ha;Kang, Sun-J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0 no.2
    • /
    • pp.229-239
    • /
    • 2006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founded on the constructivist theory,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as to students' level in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BL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rea of 'application of software' in third-grade computer curriculum was redesigned for the three-week period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tended to exert differential effects with regard to students' level o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in computer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PDF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Kim, U-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33-136
    • /
    • 2016
  • 본 논문은 스마트 사회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서 디지털리터러시를 제안하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학습지향성을 자원기반관점의 핵심역량으로 채택하여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창업지원법상의 기술기반 창업기업 200개 업체를 표본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가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디지털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기업성과에 대한 학습지향성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 논문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사회의 등장으로 창업 및 기업성과에 대한 디지털리터러시의 영향이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리터러시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가 많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사회의 창업성공요인으로 디지털리터러시를 제안하여 학습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디지털리터러시의 조절효과 및 디지털리터러시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리터러시 관련 연구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둘째, 자원기반관점과 핵심역량이론에 따라 창업기업의 핵심역량으로서 학습지향성과 디지털리터러시를 채택하고 기업성과와의 관련성을 도출함으로써 두 가지 변수 모두 혁신형 창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스마트 사회의 핵심역량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업성과의 하위변수로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이외에 지적재산권의 출원이나 등록 등을 통해 측정되는 연구개발성과를 추가함으로써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성 및 미래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 PDF

Databas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applying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 Shin, Soo-Bum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2
    • /
    • pp.47-55
    • /
    • 2006
  • To determine efficient methods of database teaching, this paper applied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nalyzed the effects. Previous related studies were also examined, with the essential contents in database analyzed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oreover, this paper presented a strategy wherein the contents of database learning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asic knowledge and technical and extended knowledg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related studies, and the effects of databa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etermined by technique and attitude area as well as knowledge area. After preparing and apply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actual educational curriculum,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tabase, operating database, and constructing a database table whe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was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 and; (2)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more recepti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opted to take technique-oriented database courses. Therefor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ide from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should be applied and analyzed in database and computer science fields for maximum effects.

  • PDF

Pedagogical Effect of Learning-Teaching Module of Unit for the Logarithm According to Historico-Genetic Principle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교수학습 모듈을 적용한 수행평가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 Kim, Bu-Mi;Jeong, Eun-Seun;An, Youn-Jin
    • School Mathematics
    • /
    • v.11 no.3
    • /
    • pp.431-462
    • /
    • 2009
  • Introduction of logarithm in mathematics textbook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is the inverse of exponent. This introduction is happened that students don't know the necessity for learning logarithm and the meaning of logarithm. Students also have solved many problems of logarithm by rote. Therefore, we try to present teaching unit for the logarithm according to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We developed the learning-teaching module of unit for the logarithm according to historico-genetic principle, especially reinvention for real contexts based RME. Loaming-teaching module is carried out as the performance assessment. As a results, We find out that this module helps students understand concepts of logarithm meaningfully Also, mathematical errors of logarithm is revised after the application of learning-teaching module.

  • PDF

Associated Analysi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in Export of SMEs (중소기업 수출에서 FTA 정보학습 연관분석)

  • Cho, Yeon-Sung
    • Korea Trade Review
    • /
    • v.42 no.5
    • /
    • pp.93-1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in export SMEs. Therefore, this study has constructed an integrated model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on the of export performance in SME.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localization strategy,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was linked to export performanc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95 export SMEs.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six hypotheses including the control effect were tested. As a result,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SMEs positively influenced product innovation capacity. On the other hand, FTA information learning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as an anteced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export performance. In the moderated effects analysis, the moderated effect between the localization strateg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 innovation capacity. Whereas the moderated effect between the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the FTA information learning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 PDF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Program o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 A Meta-Analysis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 Lee, Hyeung Ju;Ko, Ho Ky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5 no.1
    • /
    • pp.113-137
    • /
    • 201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31 research papers that had analyzed the effects of applying, and performed a meta-analysis of the findings presented in each research pap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eta-analys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and the peer tutoring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in math manifested an above average size of effect in the cognitive domain. In particular, the effect was the greates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out of the two programs, peer tutoring was identified to have a sizable effect. Second, both programs displayed an above average size of effect in the affective domain, and peer tutoring was identified to have a higher effect than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when the programs were compared based on school levels, the size of effect was highes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follow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at order. When compared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affective domain, self-efficacy in math, learners' attitude toward math, and learners' interest in math were identified to.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for teaching underachieving students in math and conducting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