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수출에서 FTA 정보학습 연관분석

Associated Analysi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in Export of SMEs

  • 조연성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투고 : 2017.09.20
  • 심사 : 2017.10.30
  • 발행 : 2017.10.31

초록

본 연구는 수출 중소기업의 FTA 정보학습의 역할을 실증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중소기업 수출성과 경로에서 FTA 정보학습의 조절효과를 포함한 통합적 모형을 구축했다. 중소기업의 현지화 전략, 제품혁신 역량, FTA 정보학습의 관계를 수출성과에 연계하여 수출 중소기업 195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했으며, 조절효과를 포함한 6개 가설을 검정했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현지화 전략은 제품혁신 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FTA 정보학습은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수출성과 선행요인으로 제품혁신 역량과 FTA 정보학습은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조절효과의 경우 현지화 전략과 FTA 정보학습은 제품혁신 역량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 제품혁신 역량과 FTA 정보학습은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in export SMEs. Therefore, this study has constructed an integrated model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FTA information learning on the of export performance in SME.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localization strategy,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was linked to export performanc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195 export SMEs.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six hypotheses including the control effect were tested. As a result,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SMEs positively influenced product innovation capacity. On the other hand, FTA information learning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as an anteced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export performance. In the moderated effects analysis, the moderated effect between the localization strategy and FTA information learning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duct innovation capacity. Whereas the moderated effect between the product innovation capacity and the FTA information learning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SM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