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수부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3초

초대형 Containership 선수부 구조 최적 배치

  • 이진호;이경석;임강재;한성환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7-50
    • /
    • 2005
  • 최근 Containership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선수부의 선형 변화에 따른 선체의 구조부재 배치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선수구조는 선형 변화 특히, Bow Flare Angle의 작은 변화에도 Bow Impact Pressure가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함으로 외력에 의한 구조 배치 변경 및 추가적인 구조보강에 대한 여유를 갖고 설계를 진행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수부의 선형 및 구조 배치 변화에 따른 강도 평가를 구조해석을 통하여 구조 안정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 안정성 평가 절차 및 구조 해석 결과에 따른 구조 최적 배치 및 구조개선 사항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 PDF

투척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ch confidence on athlete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throwers)

  • 이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54-40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척선수들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1년 4월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개최된 제40회 전국종별육상선수권에 참가한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남 여 육상투척선수 19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 입력하였다. 지도자와 선수의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으로 각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첫째, 투척선수들의 지도자 신뢰는 선수만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은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인 기술분석, 지도능력, 코치자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투척선수들의 지도자신뢰는 인지된 경기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승리의지, 기량발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투척선수들의 지도자신뢰는 선수만족은 물론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 프로그램 개발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Student Athletes :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Fields)

  • 유강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01-40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부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운동선수부를 위한 진로탐구에 대하여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파악하며,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단계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진로탐구 연구를 참고하여 '문제 정의'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시각화' - '모의 분석'의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선수 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2) - 파랑충격하중 면적의 추정 -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System of Bow Flare Structure(2) - Prediction of Wave Impact Load Area -)

  • 이상갑;박종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87-94
    • /
    • 1999
  • 선수 구조부의 파랑충격현상은 대단히 복잡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고 정확하게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직 경험적인 설계에 의존하고 있다. 파랑충격하중에 의한 선수 구조부의 손상은 주로 충격압력역적과 파랑충격하중의 면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 단계로서 파랑충격하중에 대한 선수 구조부 강도의 추정을 위하여 효율적인 부재치수의 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파랑충격하중의 면적을 추정하고자 한다. 동적 비선형 범용 프로그램 LS/DYNA3D를 이용하여 DWT 300,000급 VLCC의 선수 구조부를 이상화된 패널구조 모델의 중앙부에서의 최대 손상변형을 비교하여 추정하고자 한다. 이것은 다음 단계의 선수 구조부의 동적 구조해석의 검증에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 6.5MPa, 후부높이 1.0MPa, 그리고 지속시간 5.0msec인 파랑충격압력 곡선 하에서, 강성이 작은 보강재로 보강된 경우 파랑충격하중의 면적은 $1.5s{\times}1.5s$ 보강재 간격(s), 강성이 큰 스트링거로 보강된 경우는 $2.5s{\times}2.5s$로 추정하였다.

  • PDF

선수 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3) - 동적 구조해석 -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System of Bow Flare Structure(3) - Dynamic Structural Analysis -)

  • 이상갑;박중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99-110
    • /
    • 2000
  • 파랑충격하중에 의한 선수 구조부의 손상은 주로 충격압력역적과 파랑충격하중이 가한 면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세 번째 단계로서 LS/DYNA3D를 이용하여 파랑충격하중에 대한 DWT 300,000급 VLCC의 선수 구조부의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검증을 하고자 한다. 극치 6.5MPa, 후부높이 1.0MPa, 지속시간 5.0msec인 파랑충격압력 곡선을 강성이 작은 보강재로 보강된 선수 구조부에는 면적 $1.5s{\times}1.5s$, 대체로 강성이 큰 스트링거 등의 부재로 보강된 경우는 면적 $2.5s{\times}2.5s$에 가한다. 이상의 동적 구조해석을 통하여 넓은 간격의 보강재가 부착된 선수 구조부에는 외판과 보강재에 큰 손상변형이 발생한 것 이외는 고려 중인 유조선의 선수 구조부는 본 연구의 파랑충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지닌다고 사료된다.

  • PDF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의 기질 및 인지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Basketball and Baseball Players)

  • 김건중;한덕현;김선미;오명진;유주형;이동민;민경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34-141
    • /
    • 2023
  • 연구목적 과거 스포츠 선수의 신체, 기술적인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 훈련하던 경향과 더불어 최근 선수의 기질, 성격 그리고 인지 능력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의 중요성에도 초점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 및 기질과 인지기능에 따라 선수들 및 일반인들 사이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더불어 차례가 정해져 있고 느린 템포의 경기를 하는 야구 선수와 빠른 템포의 경기를 하며 순간적인 판단을 자주하는 농구 선수 간의 기질과 인지 기능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 예상했다. 방법 2023년 한해 동안 프로 농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7명, 프로 야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1명, 선수 생활을 해본 적 없는 일반인 44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 컴퓨터화된 신경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 군의 인구 특성, 기질 및 성격 특성, 인지 기능의 평균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Bonferroni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전과 비주전 선수들간의 기질 및 성격, 인지 기능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간의 기질 비교에서, 보상의존, 지속성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다. 성격 검사에서는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던 반면 자기초월은 농구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들은 비 주전 선수들에 비해서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의 점수가 높았다. 인지 능력 검사인, 감정지각 검사에서,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가 대조 군에 비하여 correction rate가 높았다. 심적회전 검사에서 농구 선수 그룹이 가장 correction rate가 높았고, 카드정렬 검사에서는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의 움직인 카드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감정지각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 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심적회전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프로 농구 및 야구 선수들과 일반인 간의 성격, 기질 그리고 인지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프로 선수들의 기질은 일반인과 비교하여 높은 보상의존과 지속성 경향성을 보였다. 성격에선 프로 선수가 일반인과 비교하여 자기지향성과 연대감 경향성이 높았지만 자기초월성 점수는 낮았다. 인지 능력 검사에서 감정지각 검사, 심적회전 검사, 카드정렬 검사 모두 운동 선수가 일반인보다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 선수들이 성격, 기질 및 인지 능력 면에서 일반인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선수 육성과 지도 목표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99회 전국체전 남자 고등부 카약 2인승 1000m 경기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igh School Boys' 2 Person Kayak 1000 Meter Sprint at the 99th National Sports Festival)

  • 손지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77-282
    • /
    • 2019
  • 본 연구는 전국체전 남자 고등부 K-2 1000m 결승 경기의 랩타임을 250m 단위로 계측한 후, 2018년도에 개최된 World Championship 남자 일반부 동일 종목 결승 경기의 랩타임 자료와 비교 분석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국내 고등부 최상위 선수들의 최종 기록 평균은 242.89초, 국제무대 최상위 선수들은 199.58초로 43초의 경기력 차이가 난다. 랩타임별로는 250m 구간마다 9초, 12초, 9초, 13초 뒤처지는 기록을 나타냈다. World Championship 참가 선수들은 Super Fast-Even Pacing-Even Pacing-Spurt 전략을 쓰는 반면, 국내 1-3위 선수들은 Slow-Fast-Super Slow-Super fast의 페이스 조절 전략을 쓰고 있었고, 4-9위 선수들은 Fast-Slow-Fast-Slow의 페이스 조절 전략을 주로 쓰고 있었다. 국내 고등부 선수들은 세계대회 수준의 경기력을 갖추기 위해 페이스 조절 전략의 수정 및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술 및 체력 훈련이 필요하다.

해저 유기퇴적물 수거를 위한 저속 쌍동형 선형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w Speed Twin-Hull Form for Seabed Organic Sediment Collection)

  • 박제웅;김도정;오우준;정우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6-2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연안의 해저면에 누적된 퇴적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저속 쌍동형 정화선에 대한 선수선형의 개념설계에 대해 수행하였다. 선형설계는 선체건조가 용이하도록 단순화하였으며, 쌍동선 선형의 선수 Water line, 선수각 등의 변화에 따른 저항성능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Ansys CFX를 이용한 수치시뮬레이션과 회류수조에서의 모형시험결과와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선수부 선형변화에 따른 저항성능과 자유표면 유동특성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선수재 위치와 어깨부 체적의 선수부 이동에 따른 파형개선으로 조파저항이 감소하는 등 저항성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일반화물선과 원목운반선의 선각외판 부식도의 선령별 변화 (Corrosion Loss of the Shell Plates of the General Cargo Vessels and the Lumber Carriers According to the Age)

  • 박중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1981
  • 한국국적을 가진 일반화물선 30척과 원목운반선 15척의 외판부식도를 선령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화물선 1)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경흘수선부가 가장 크다. 2) 선수미방향의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선수부가 중앙부나 선미부보다 크나, 큰 차이는 없다. 3) 깊이 방향의 부식도는 선령 16년 이하에서 건현부, 만재흘수선부, 하부만곡부, 경흘수선부의 순으로 크다. 또 35년에 있어 부식도는 경흘수선부와 만재흘수선부는 건현중앙부에 약 3배, 상부만곡부는 그것의 약 2배 되어 수선부가 가장 부식이 심함을 나타낸다. 2. 원목운반선 1) 전평균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상부만곡부가 가장 크다. 2) 선수미방향의 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선수부가 가장 크나, 큰 차이는 없다. 3) 깊이 방향의 부식도는 어느 선령급에서나 건현부가 가장 작고, 상부만곡부가 가장 커서 그 부식도는 건현부의 약 2배가 된다. 3. 일반화물선과 원목운반선. 원목운반선의 부식도의 전평균은 일반화물선의 그것의 약 3배나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