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해

Search Result 2,12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Characteristic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Wind Speed in the Korean and Japanese West Coast (우리나라와 일본 서해안의 풍속 분포 특성 분석)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12
    • /
    • 2017
  • 최근 20년간(1996년 12월~2016년 2월)의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서해안의 풍속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관측점 3곳 중에서 2곳(군산, 목포)의 풍속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약해지는 추세를 보인다. 풍속이 약해지는 추세는 목포보다 군산이 더 크다. 일본 서해안의 관측점 3곳 중에서 1곳(Akita)의 풍속은 시계열 분포 상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나 2곳(Kanazawa, Tottori)은 풍속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약해지는 추세를 보인다. 관측점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풍속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약해지는 추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우가 일본 서해안의 경우보다 그 추세의 정도가 더 크다. 일본 서해안의 풍속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풍속보다 강한 특성을 보인다. 이는 겨울철 동해의 해상이 서해보다 더 거칠고 그에 따라 선박 운항 상의 위험도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nalysis of Erosion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Friendly Remodeling of Revetment Structures in the West Coast Area of Korea (환경친화적 연안 호안구조물 리모델링을 위한 서해안 침식특성 분석)

  • Park, Jong-Ryul;Oh, Kuk-Ryul;Ha, Jong-Joo;Kim, Kee-Dong;Jeo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32-2037
    • /
    • 2010
  • 충청남도 서해안은 생태환경의 보고로서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 독특한 자연적 특성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 비해 대규모 간척 및 매립으로 인한 해양생태계 피해에 현저히 노출되어 있으며, 서해안 지역은 최근 산업화 및 관광권화가 진행되며 무분별하게 설치된 호안구조물은 그 기능을 상실하여 상당수가 설치전보다 오히려 서해안의 독특한 환경성과 관광성을 악화시키고 있어 서해안 특성을 고려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연안 호안구조물 리모델링을 위해 서해안의 침식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방법은 충청남도 서해안의 4개 시 군 29개 지점을 대상으로 1년여에 걸쳐 수행된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서해안의 침식 현황을 파악하고, 기 조사된 서해안 지역의 침식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침식원인을 유형화하였다. 조사 분석결과 서해안의 대표적인 침식유형은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의 반사파로 인한 해빈침식(자갈화), 사구 토사포락,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 저면 세굴에 의한 호안구조물 붕괴, 방파제 설치에 의한 침식 등 대표적인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침식 유형별 발생지점 수는 총 29개 지점 중 각각 19개 지점, 13개 지점, 5개 지점, 4개 지점에서 나타났다. 이는 호안구조물이 미설치된 곳은 사구 토사포락에 의한 침식 발생빈도가 높았고, 반면에 호안구조물이 설치된 곳에서는 호안구조물의 기능 상실로 인한 해빈침식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지점으로 선정하였던 29개 모든 지점에서 토사유실로 인한 자갈화가 진행되어 서해안의 갯벌, 사구, 해안습지 등이 유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서해안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형화된 직립 급경사 호안구조물의 역효과로 피해가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ariation of Monsoon in Western Korea (우리나라 서해안의 계절풍 변화)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9-20
    • /
    • 2013
  • 겨울철에 우리나라 서해 및 서해안은 북서계절풍이 지배적이다. 지속성이 강한 계절풍은 선박의 안전운항과 기상재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30년간(1981-2010년)의 장기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서해안에 있어서의 겨울철 계절풍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인천, 군산 및 목포에 있어서의 풍속은 12월, 1월 그리고 2월에 공통적으로 시간의 흐름과 함께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풍속이 약해지는 정도는 특히 군산에서 크고 인천과 목포에서는 서로 비슷하다. 우리나라 남해안에 위치하는 통영의 경우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오히려 풍속에 강해지는 변화 특성을 보여 서해안의 계절풍 변화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인천, 군산 및 목포 중에서 풍속이 가장 강한 곳은 목포이고, 그 다음은 군산, 인천의 순이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계절풍이 약해지는 것은 겨울철의 전형적인 서고동저형 기압배치의 변화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감조구간과 도회의 발달

  • 범선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64
    • /
    • 2003
  • 한반도의 서해안선은 그 길이가 4,000여km에 달하는데, 굴곡이 매우 심하다. 반도 서부의 직선거리는 600여km에 그친다. 드나듦이 큰 해안선은 간석지의 발달뿐만 아니라 서해의 조석현상의 특성에도 영향을 준다. 조석은 해파(wave)의 일종으로 12시간 이상의 주기를 가졌다. 이것의 파장은 수천km이고, 파고는 10m를 넘을 때도 있다. 조석은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하류구간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중략)

  • PDF

Seismic performance of Piers in Seohae Grand Bridge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

  • 이재훈;손혁수;배성용;박찬민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67-81
    • /
    • 2000
  • 서해대교는 국내에 교량구조물에 관한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전 설계된 교량으로서 현재 내진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종방향철근 및 횡방향 철근이 겹침이음된 중공육각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으로 이미 시공이 완료된 상태이다. 최근,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두됨으로서 내진 설계 규준에 적합하지 않은 철근상세를 가지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이 의문시되었다. 따라서, 비내진 철근상세를 가진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교각의 축소모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종방향철근 겹침이음이 교각의 전체적인 내진거동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대 이상의 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축소모형 실험결과에 의한 시험체의 파괴양상, 유효강성, 연성, 응답수 정계수 및 등가점성감쇠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가속도변위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서해대교 PSM교 교각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서해안을 통과한 태풍의 피해 양상

  • Mun, Seung-Rok;Lee, Mi-Ran;Choe, U-Jeong;Yang, Se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1-23
    • /
    • 2012
  • 최근 서해안을 통과한 태풍 곤파스(2010년), 무이파(2011년)의 영향에 따라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내습하는 태풍 중 서해안으로 통과하는 진로의 태풍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태풍에 따른 피해 발생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한국 서해안 오징어의 어황 및 해황특성

  • 최광호;조규대;강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30-431
    • /
    • 2001
  • 우리 나라 수산물 중 어획량이나 일반 대중의 기호도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오징어에 관한 연구는 주 조업어장인 동해를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1980년 들어 서해안 오징어 어장이 개발되면서 서해안 오징어에 대해 Kim and Lee (1981)는 어황과 어황특징, Kim et al. (1984)은 어장과 어황조건을 각각 연구하였으나, 이 후 서해안 오징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략)

  • PDF

Study on Biochemical Pollutant Markers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 IV.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in the Yellow Sea (해양오염의 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오염지표에 관한 연구 IV. 황해산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의 지질성분의 변화)

  • CHOI Jin-Ho;KIM Dong-Woo;PARK Chung-Kil;KIM Jae-Il;YANG Dong-Beom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0 no.4
    • /
    • pp.601-607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ollutant marker for diagnosis of marine pollutions by the changes in lipid components of the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in the Yellow Sea of Korea. Hemoglobin levels in serum of wild flounders in the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lower $(15\~30\%)$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control) of the East Sea. Triglyceride (TG) contents in serum of wild flounders in the Yellow Sea were higher $(15\~50\%)$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Tota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contents in serum of flounders in the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higher $(20\~25\%\;and\;15\~35\%,\;respectively)$ than tho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Atherogenic index (Al) in serum of wild flounders in the Yellow Sea were significantly higher $(10\~60\%)$ than these of wild flounder in Pohang but T-Chol/PL ratios showed almost no change in serum of flounders in the Yellow Sea we examin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ar-coastal water as well as neritic water of the Yellow Sea might be affected by pollutant input.

  • PDF

Reserch for West Sea Northern limit line(NLL) of legal personality (서해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에 관한 연구)

  • Kim, HoCh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5
    • /
    • pp.19-26
    • /
    • 2013
  •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divided the two Koreas when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in 1953, July 27 but there was no regulation for the sea border. Since then, The North has constantly denied the legitimacy of the sea border, which has remained the inter-Korean maritime border. But the armistice agreement has been virtual maritime demarcation line for the avoidance of hostil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tain and manage the armistice system peacefully. Therefore we should strengthen the Korea's sovereignty over the NLL by tightening the effective control.

한국 서해산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성성숙

  • 김성연;정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03-604
    • /
    • 2001
  • 이매패강 개량조개과에 속하는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jilippi)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서해안과 남해안의 조하대 사니질에 서식한다. 지금부터 15년전에는 서해안에 간척공사가 대단위로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개량조개가 갯벌에 다량 서식하고 있어 쉽게 발견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환경변화로 극히 일부지역에서만 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