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혁신행동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ibrarians'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ervice Quality in Public Libraries)

  • 송현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417-439
    • /
    • 202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조직 성과인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 공공도서관 7곳의 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 데이터 77건, 이용자 데이터 309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사서를 대상으로 혁신행동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행동의 완성 단계인 아이디어 구현은 정보통제 차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혁신행동의 첫 단계인 아이디어 생성은 서비스의 영향력과 정보통제 차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디어 생성에 머무르고 아이디어 홍보와 구현 등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 상황은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 혁신행동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외식서비스종사원의 성격특성, LMX,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LMX(Leader-Member Exchange) and Innovative Behavior of Foodservice Employees')

  • 김영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5-1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종사원의 성격특성, LMX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종사원의 혁신행동의 선행변수로 예상되는 성격특성과 LMX에 관한 이론적 문헌고찰과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증조사는 부산지역 호텔레스토랑과 독립 외식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서비스종사원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1일부터 15일까지 약 15일간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결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종사원의 성격유형은 친화성, 성실성, 외향성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LMX 유형은 리더와 종사원 간의 관계가 공헌적 관계가 형성된다면 종사원의 아이디어 개발의 가능성이 있으며, 리더와 종사원 간의 관계가 존경, 공헌, 충성적 교환관계가 형성된다면 혁신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융복합시대에 지식서비스기업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Organization CEO' Transformational Leader 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Age of Convergence)

  • 유진혁;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47-16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서비스의 특성을 보이는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하여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이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학습조직의 역할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도권 소재 35개 지식서비스기업 종사자 348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구축의 7요인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조직구축의 7요인 중 지속적인 학습기회의 창출, 연구와 대화의 활성화, 팀(부서)단위 협업 및 학습촉진, 전략적 학습리더십의 4가지 요인만이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금융기관의 디지털플랫폼역량과 고객지향성이 서비스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Platform Capabilities and Customer Orient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on Service Innovation Behavior)

  • 김상철;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07-217
    • /
    • 2020
  • 본 연구는 금융기관의 디지털플랫폼 역량과 고객지향성이 활용·탐색을 통하여 서비스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하여 금융기관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80부의 설문지를 SPSS 25와 SmartPL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디지털플랫폼역량은 활용과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객지향성은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탐색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활용과 탐색은 모두 서비스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금융기관의 서비스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플랫폼역량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실증연구를 통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 및 연구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시도가 필요하다 하겠다.

정보통신기술산업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혁신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CSR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of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Members' Innovative Behaviors & Memb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in the ICT Industry: Moderating Effect of CSR Management)

  • 황규하;박현숙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53-17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정보통신기술산업의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한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사회책임경영 수준과 조직변화수용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ICT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417부를 회수하였고,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EO의 변혁적 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조직 시민행동에 대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책임경영은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저항에 대한 개인의 행동: 혁신저항과 불신의 영향 (Inadividual Behaviors Regarding Financial MyData Service Resistance: Impacts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Distruct)

  • 김상현;박현선;손창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291-314
    • /
    • 2023
  • 데이터 경제의 확산과 함께 개인 데이터를 개인이 주도하는 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해 마이데이터의 개념이 등장했다. 마이데이터는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이 주체적으로 정보를 관리 및 통제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금융 분야에서는 개인이 마이데이터를 2022년부터 도입하여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며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까지도 적극적으로 가세하여 빠른 확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 사용자의 다양한 수용행동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긍정적 수용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저항 및 수용저항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의 개인특성과 혁신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정보유출우려, 기술변화속도, 현상유지관성, 정보제공민감성, 기술스트레스가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불신과 혁신저항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수용지연과 수용거부와 같은 수용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시장에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Members' Value Innovative Culture Perception on Innovative Performances and Management Outcomes -The Roles of Mediating Innovative Behaviors and knowledge-sharing-)

  • 이금심;황복주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71-91
    • /
    • 2017
  •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과 조직 구성원의 가치혁신문화 인식이 혁신행동 및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혁신행동과 지식공유를 매개로 조직의 혁신성과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함으로써 기업 경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각 변수의 측정변인들을 추출하고 가설검정을 위해 423명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LISREL 9.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개인 창의성의 창의적 사고기술과 조직의 가치혁신 문화 인식의 의미 있는 업무, 위험감수문화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가치혁신 문화 인식의 의미 있는 업무 요인만이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행동은 지식공유 및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는 혁신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융기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서비스품질의 매개효과와 신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Financial Institu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Moderating Effect of Trust-)

  • 서승희;강신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13-132
    • /
    • 2021
  • 본 연구는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조직유효성을 고무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교육서비스품질을 매개변수로, 조직유효성을 종속변수로, 신뢰를 매개변수와 종속 변수 간 조절변수로 하는 조건부과정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전국에 근무하는 금융기관 종사자들로부터 설문수집한 데이터를 SPSS v22.0 및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교육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교육서비스품질은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와 혁신행동 간 관계를 제외하고는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리스마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교육서비스품질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는 교육서비스품질과 혁신행동 간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교육서비스품질의 매개효과를 신뢰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비대면 근무환경에서 교육서비스품질 관리의 중요성, 핀테크 등 혁신행동에 카리스마보다 개별적 배려의 중요성 등을 시사한다.

혁신 서비스 이용 결정이 위험회피 성향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cision to use innovative services on the choice of consumers with a risk-averse tendency)

  • 박기경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146-160
    • /
    • 2023
  • 코로나 19로 인하여 비대면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여러 새로운 서비스도 주목받고 있다. 이렇게 갑작스레 변화된 환경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하는 시도가 소비자의 기존 선택 행동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까? 특히 변화를 두려워하고 기존의 선택 경향을 고수하려는 소비자의 행동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다면 혁신 서비스 개발은 예상보다 더 많은 잠재 소비자를 획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나타난 언택트 서비스 중 하나인 무인 결제 서비스를 대상으로 혁신 서비스 이용 시도가 위험회피 성향을 가진 소비자의 기존 선택 행동에 변화, 즉 안전대안보다 위험대안을 선호할 가능성을 높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탐색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소 위험회피 성향이 강할수록 혁신 서비스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는 실험법을 사용하여 혁신 서비스 이용 여부와 소비자의 조절초점 간 상호작용과 심리적 기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방초점 소비자는 무인 결제 서비스 이용을 시도하는 조건에서 이용하지 않은 조건에 비하여 고위험 금융상품과 비유사 확장 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택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반하여 향상초점 소비자는 무인 결제 서비스 이용 시도 여부에 따른 차별된 선택 가능성을 보이지 않았다. 나아가 예방초점 소비자에게 나타난 이러한 선택 변화는 혁신 서비스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데 주저함이 많다고 알려진 위험회피 성향의 소비자의 행동 변화 조건을 밝혀 혁신 서비스의 잠재적 소비자층을 발견하고, 관련 시장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실무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actitioners on Innovative Behavior via Job Satisfaction : A Comparison between Manufacturing and ICT Industries )

  • 최민석;황찬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91-110
    • /
    • 2024
  •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