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4초

발달장애 아동의 치료를 위한 협업 공유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제안 (Proposal of Collaborative Sharing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한지원;강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22-38
    • /
    • 2022
  • 최근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한 발달장애 시설 임시 폐쇄와 격리 등으로 수요자가 겪는 고통이 심해지고 있으며, 입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도 미흡한 상황으로 뚜렷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수요자를 위한 제도적, 심리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와 보호자를 위해 체계적인 입원 치료 가이드 및 퇴원 후 관리와 올바른 교육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서비스 사례분석을 통해 수요자들의 요구와 개선 요소를 도출한 뒤, 더블 다이아몬드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수요자들과 함께 Co-creation을 진행하였으며, 입원 전부터 퇴원 후까지 알기 쉬운 치료 여정과 올바른 정보와 소통을 할 수 있는 서비스 콘셉트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협업 공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사용성 평가 및 검증을 통하여 서비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사용자경험 중심의 발달장애 병동 보조 시스템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래피드퍼소나 수립방법의 유효성 검정 (An Empirical Test for Applying the Rapid Persona Method for the Service Design)

  • 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0-218
    • /
    • 2016
  • 최근 서비스디자인이 국민대상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면서 다양한 공공서비스의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일반국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디자인개선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전문적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와 활동을 계획하면서 제한된 시간과 비용, 그리고 구성원의 부족한 전문성에 따른 진행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같은 이유로 서비스디자인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퍼소나 방법론도 여러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디자이너 및 UX디자이너 사이에서도 퍼소나의 한계점을 이해하고, 한계를 극복 하고자 여러 가지 대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퍼소나 도출 방식에 대한 한계를 인식 하고, 이를 극복하면서도 사용자의 목표를 대변할 수 있는 빠르고 경제적 방법의 래피드퍼소나 제작 방법을 새롭게 제안 하였다. 또한 제안된 래피드퍼소나 제작방법을 실제 통계청 공공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증적 연구를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방법론을 통해 제한된 시간과 부족한 재화를 극복하고 빠르고 쉽게 퍼소나를 수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및 UX디자인 과정에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XL-BPMN 모델 기반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 기법 (A Business Service Identification Techniques Based on XL-BPMN Model)

  • 송치양;조은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3호
    • /
    • pp.125-138
    • /
    • 2016
  • 서비스 지향 개발에서 서비스 식별은 워크플로우, 목표와 시나리오, 유스케이스, 컴포넌트, 휘처, 패턴 등에 기반해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비즈니스 가치 관점에서 의미적 접근에 의한 서비스의 식별은 아직 구체화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XL-BPMN 모델 대상의 구조적 및 의미적 분석에 의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기반해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식별하고, 이 프로세스는 XL-BPMN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로 디자인한다. 이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서, 액티비티들간 구조적 패턴과 속성 기반 의미적 유사성의 통합된 분석 결과에 의해 밀접한 액티비티를 바인딩해서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를 식별한다. 이를 통해, 상위 비즈니스 가치 관점의 XL-BPMN 모델을 통한 정확성과 모듈성이 높은 단위 비즈니스 서비스 식별을 할 수 있다. 식별된 서비스의 재사용을 통해서 서비스 지향 개발을 더욱 가속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연구: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Health Care Servi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of the Senior Citizens: Focusing on Unstructured Data Analysis)

  • 김성호;김협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69-89
    • /
    • 2022
  •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의 건강 문제는 의료분야를 포함해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하여 텍스트마이닝, 사회연결망 분석 등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프로세스로 개선하여 6단계로 적용하였다. 소셜미디어에 존재하는 노인인지 개선,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관련 키워드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활용 범위 확장 및 기존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방법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Refining Ideas for Social Problem Solving Based on Design Thinking in Digital Convergence Era)

  • 백승철;조성혜;김남희;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5-16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발전 과정에서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자원 문제, 환경문제 등 사회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경제, 문화, 교육 등에서의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한 사회문제 발생과 복지예산의 증가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망에서 정부와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본질적인 발생 원인과 이해관계자, 지역성과 문화에 대한 복합적 조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사회문제 해결형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혁신회사 IDEO, 스텐포드 d.school등의 디자인 사고 기반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아이디어 구체화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서비스화를 위한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소셜벤처, NGO, 공익활동가 등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총체적 서비스 경험을 만드는 서비스 스케이프 디자인과정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scape Design Process Creating the Whole Service Experiences)

  • 안주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63-70
    • /
    • 2008
  • The service sector is growing and service is complicated with various customer needs in the competitive markets. Bill Hollins urges that services must be designed. I believe that service experiences must be designed with servicescape as an environment surrounding services. Servicescape is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of service. Service experiences do not depend only on the aesthetic impression of physical servicescap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ervices is that the most value of services are accomplished from interaction between customer and service encounters. The design of physical servicescape affects the interaction between customer and service encounters and the behavior of both customer and service suppliers' including social factors such as display emotions and the interpersonal distance between customers. Servicescape design should control tangible and intangible area of service events. In addition servicescape design creates customer's good experiences in the servicescape. This research proposes the possibilities and proper design process of servicescape design. Servicescape Design should control the activities including interrelations of participants, efficient service delivery process, and the united images of services for creating the satisfied service experience values.

뉴 실버세대를 위한 노인의료주거단지계획의 기본프레임워크 연구 (Research on Basic Framework of Elderly Medical Residential Area for New Silver Age Group)

  • 강정란;김경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38
    • /
    • 2014
  • 노인은 대부분의 활동을 주거 공간 중심으로 보내게 되므로, 노화에 따른 만성적 지병과 신체활동의 기능저하로 말미암아 주거와 의료 서비스의 결합은 노인의 생활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주거와 의료서비스를 결합한 노인의료주거단지에 있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연구와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참여와 공동창작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설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를 본 연구에 도입함으로써 주체적이고 활동적인 서비스의 소비자로서의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 PDF

서비스디자인 접근법을 활용한 화학테러현장 대응매뉴얼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response manual of chemical terror incident using the service design analysis)

  • 함승희;박남권;이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25-333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학테러현장에서 총괄지휘권을 갖는 경찰을 중심으로 현장대응매뉴얼의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 분석기법을 적용해 관찰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밝혀내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경찰의 테러 대응 매뉴얼에서 화생방 테러 대응 지휘체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분석에서 매뉴얼의 사용자 외에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관계가 적용되는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서비스 디자인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치안서비스의 수혜자인 피해시민의 관점에서 대응매뉴얼의 서비스 프로세스를 진단하였으며, 현장대응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해시민과 현장대원간, 후방대원간, 프로세스간 대기지점(Waiting Point)과 실패요소(Failure Factor)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화학테러 현장 대응 활동을 서비스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각 관계기관과 현장에 있는 시민과의 상호작용 및 비가시 영역에서의 후방지원활동과 장비 시설물의 활용성을 한 번에 검토함으로써 문제요소별 개선대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실시간 대응 프로세스에 포커스를 맞춘 서버사이드 봇 탐지 프레임워크 구현 사례

  • 강병탁;유동규;최해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14
    • /
    • 2016
  • 서버사이드 탐지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보안 업계에서 필수와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서 탐지시스템의 실시간 대응능력을 더욱 높이고 탐지 룰을 시스템의 점검시간 없이 더욱더 다이나믹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론과 시스템적 프로세스가 게임 개발사나 게임 서비스 제공자, 데이터 분석가들에게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던 서버사이드 탐지 시스템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어떤 식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 실제 게임에 반영한 사례를 통하여 새로운 구조와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AI-driven Visual Code 기반의 도시 인포 서비스 시스템 디자인 (Development of AI-driven Visual Code-based C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 안성희;홍수민;문서정;이자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3
    • /
    • 2022
  • 팬데믹이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가속화되면서 개인화의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의 정보시스템의 많은 부분들이 디지털 트윈으로 가고 있다. 때문에 오프라인의 사이니지 등은 이미 개인화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만족도나 낮고 이를 반영하여 다양화시키기에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며 물리적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 프로세스의 기술 융합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오프라인 정보 표기와 전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개인화 기반 도시 인포메이션 시스템의 물리적 사이니지와의 정보 데이터 간의 상호운용을 실현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QR 코드 등 비쥬얼 코드-기반 기존의 인터랙션 기술들의 장점을 활용하고 AI 기반의 필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시 복합정보데이터와 개인데이터와의 연동 및 변별 시스템을 설계하여 AR서비스 환경을 디자인 하였다. 개인화 서비스를 위하여 'Personal Data'와 타사용자의 'Feedback Data를 기존의 클라우드 정보와 AI-Analytic-Process에 개입시켜서 개인화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모델로 개발하였다.

  • PDF